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DESAL 및 EFDC 모형을 이용한 간척담수호 염분변화 모의

        강의태 ( Euetae Kang ),이승헌 ( Seungheon Lee ),장규상 ( Kyusang Jang ),함종화 ( Jonghwa Ham ),정광욱 ( Kwangwook Jung ) 한국농공학회 2018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8 No.-

        우리나라 농업용 간척은 70년대부터 현재까지 약 1,600지구 95,000ha가 완공되었으며, 현재는 5개 지구 40,199ha의 간척공사가 시행 중이다. 그리고 간척농지에 필용한 수자원 공급을 위해 조성된 하구 및 간척지 담수호의 총 저수량은 약 27억톤으로, 우리나라 전체 저수량의 약 21%에 해당된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하구담수호는 조성 연도가 짧을 뿐만 아니라 바다와 인접한 지형, 지질학적 영향 등으로 염분농도가 높아 농작물의 성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그 활용이 제한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DESAL 및 EFDC 모형을 이용하여 해수 유입 차단 후 담수화 과정에서 염분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현재 사업이 진행중인 H 간척지의 담수호를 대상으로 배수갑문 운영조건, 기상변화 등 다양한 담수화 추진 방안별 염분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제염기간 산정 및 최적의 담수화 개시시기를 결정하고자 하였다. 제염기간 산정을 위해 농업용수 취수가능 기준을 염분농도 2 dS/m(1,280 ppm) 이하로 설정하였으며, 염분모의 결과 외부 기상조건에 따라 염분의 증감이 반복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제염예상 기간은 30개월이 소요될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평수년과 저수년의 경우, 여름철 큰 강우 이전에 담수호의 염분을 최대한 배제 한 후 상류 유입수를 채우는 방안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고, 풍수년의 경우 큰 강우 이후의 가을철에 담수화를 시작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담수화 개시 직후 해수유입이 차단되면서 염도가 일시에 낮아지면, 기존 해수역에 서식하던 생물들의 집단 폐사 및 분해로 담수호의 환경피해가 예상된다. 따라서 담수화에 따른 환경피해 최소화를 위한 대응방안 수립 등의 연구가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 새만금호 성층구조 발달특성 분석

        배요섭 ( Yosop Pae ),최선희 ( Sunhee Choi ),강의태 ( Euetae Kang ),김상현 ( Sanghyun Kim ),강창현 ( Changhyun Kang ) 한국농공학회 200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9 No.-

        우리나라는 4계절의 변화가 뚜렷하여 내륙에 있는 호소들은 계절별로 성층현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성층현상(Stratification)은 수심이 깊고 유속이 늦으며 물의 체류시간이 긴 정체된 호소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며, 온대성 기후지역에 속한 호소에서는 여름과 겨울 2차례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 수심이 얕고, 체류시간이 짧은 호소는 열전달이 상대적으로 용이하여 성층이 뚜렷하지 발달하지 않는 것에 비해 1년에 수회 반복되어 나타나는 특징을 보인다. 새만금호는 2006년 끝막이 공사 이후 홍수 조절을 위해 수위관리를 해오고 있으며, 수질개선을 위해 해수를 이용해 혼합ㆍ희석시키는 대규모 수질관리정책을 시행해 오고 있다. 이에 따라 일반적인 호소와는 다소 다른 성층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즉 계절별 온도경사에 따른 밀도차이의 층 구분이 생기는 일반적인 호소와는 달리 새만금호의 성층구조에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은 하천수(담수) 유입, 해수유통에 의한 해수유입이다. 즉 수량적인 변화와 염분농도가 성층구조 형성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내외측의 수온차가 클 경우 매우 복잡한 형태로 나타난다. 장기간 모니터링 자료들은 새만금호의 성층구조는 해수유통량에 의해 영향 받고 있으며, 특히 내측과 외측의 수온차이로 인해 성층이 변화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은 관측결과는 내측의 적조발생 원인분석, 저층수배제시설의 최적운전조건을 결정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