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령왕릉(武寧王陵) 장례과정(葬禮過程)에서 <설치식(設置式) 관(棺)>의 검토(檢討)

        강원표 ( Kang Won-pyo ) 백제학회 2021 백제학보 Vol.- No.38

        무령왕릉의 발견은 백제 상장의례 연구의 시발점이 되었지만, 정확한 조사보고가 이루어지지 못한 탓에 장례과정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했다. 특히 관의 안장방법과 위치, 관 내 부장품의 위치 등에 대해서 구체적인 검토가 진행되기 어려웠다. 이에 장례 과정을 밝히기 위해서는 유물의 실제 위치 파악이 중요하다고 판단하여 1973년 보고서와 이후 복원안의 문제점을 살펴 정확한 유물 출토위치와 관 안장 위치를 추정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목관의 안장방법을 재검토하였다. 왕과 왕비의 관은 300kg가 넘는 것으로 추산되었다. 무덤의 입구가 좁고, 연도와 묘실의 크기가 협소하므로 인력으로 무거운 관을 들어 왕릉 내에 안치하는 작업은 불가능에 가깝다. 따라서 무령왕릉의 관은 시신이 안치된 관을 빈장지에서부터 운구하여 묘실에 안치하는 <운구식 관>이 아니라, 묘실 내에 미리 설치되어 있던 관에 시신을 안치하는 <설치식 관>으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운구를 위한 손잡이로 추정되었던 관고리가 실제 역할을 할 수 없으며, 두침과 족좌에 운구 시 진동에 대비한 고정 흔적이 없는 점, 좁은 실내에서 조립이 용이하도록 안쪽에 홈을 파고 모서리를 깎아 가공한 관재, 머리 부분에 타격흔적이 없는 관정을 통해서도 뒷받침된다. 관 내부는 3개 공간으로 나뉘고 시신은 가운데, 부장품은 위, 아래 공간에 안치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지금까지 무령왕릉의 상장례는 중국의 유교적 상장례의 관점에서 살펴본 연구가 많았다. 하지만 무령왕릉 장례과정 중 목관의 안장방법을 검토한 결과 중국의 전통 상장례와 상당한 차이가 있음이 확인된다. 묘실 내 미리 설치된 목관에 시신 안치, 관 내부 공간을 구획하여 가운데는 시신 안치공간으로, 머리 위와 아래는 부장공간으로 활용한 점 등은 백제의 전통적인 장례 방법으로 보인다. 당시 백제가 중국 상장의례에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은 매우 높으나 얼마나 적극적으로 수용하였는지에 대해서는 좀 더 검토가 필요하다. 묘제의 변화가 상장례의 변화와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닐 것이다. 향후 백제 상장례에 대한 연구는 묘제의 변화와 장례 방식의 변화양상을 종합적으로 살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excavation of the tomb of King Muryeong and the discovery of the epitaph in 1971 have become the starting point of research on the mortuary practice of Baekje. However, in-depth studies on the funeral process of the tomb of King Muryeong have not progressed as expected due to the inability to accurately report the investigation. The situation of the excavation of artifacts in the burial chamber is reviewed to analyze the funeral process of the tomb. After identifying the problems of the 1973 report, subsequent restoration plans, the exact location of the excavation, and the location of the coffin inside the tomb are estimated again. Thereby, the installation method of the wooden coffin is reviewed. The coffins of the king and queen were estimated to weigh over 300kg. The entrance of the tomb is narrow and the size of the path and the burial chamber is confined; it is almost impossible to lift a heavy coffin and place it in the royal tomb. Therefore, it is reasonable to view the tomb of King Muryeong as an “installation-style coffin” rather than a “carry-in-style coffin,” and it is believed that the bodies of the king and queen were moved from the temporary burial place and placed in a coffin that had already been placed in the burial chamber. The coffin rings, which were supposed to be handles for carrying the coffin, are too weak to support the weight of carrying the coffin. This inference is supported through the headrest and footrest that have no signs of fixing against vibration during transportation, coffin timbers that have been cut and chamfered inside for easy assembly in a narrow room, and coffin nails that have no striking marks on the head. The coffin is divided into three sections; the body is placed in the middle, and the burial goods are placed in the upper and lower sections. All artifacts outside the wooden coffin are thought to have been used for rituals in the burial chamber. Thus far, there have been several studies on the mortuary practice of the tomb of King Muryeong from the perspective of China's Confucian mortuary practice. However, examining the burial and ritual processes of the Baekje King through excavated artifacts show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traditional Chinese mortuary practice. The burial of the body in a pre-installed wooden coffin in the burial chamber, and the interior space of the coffin divided into a burial section for the body and spaces for burial goods are considered the traditional funeral practices of Baekje. Even though there is a very high possibility that Baekje was heavily influenced by the mortuary practice in China at the time, it is necessary to examine how readily it was adopted. The change of the burial system does not necessarily coincide with the change of the mortuary practice. In the future, it is hoped that a study of the mortuary practice of Baekje would comprehensively examine the changes in the rituals along with the changes in the burial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