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볼 클레이 첨가에 따른 세라믹 다공체의 물리적 특성변화

        강용성(Young Sung Kang),김상식(Sang Sik Kim) 大韓環境工學會 2014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6 No.2

        세노스피어(Cenosphere)와 볼 클레이(Ball Clay)를 이용하여 소성온도 1,250℃, 소성시간 30분의 조건하에서 미세 기공을 가지며 비중이 작은 세라믹 다공체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세라믹 다공체의 평균 기공크기는 2.5 × 10-5 m 전후였으며, 기공이 잘 발달되었다. 세라믹 다공체의 기공율은 세노스피어 100중량비 대비 볼 클레이를 5중량비로 투입했을 때 기공율이 67.1%였다. 그러나 볼 클레이의 중량비가 20, 40, 100 증가함에 따라 기공율은 각각 58.4, 56.7, 47%로 감소하였다. 세노스피어 100중량비 대비 볼 클레이 투입량이 100중량비일 때, 세라믹 다공체의 겉보기 밀도는 1.04 g/cm3로 볼 클레이 5중량값인 0.51 g/cm3 대비 약 2배 증가하였으며, 반면에 흡수율은 100% 이상이 감소하였다. 세노스피어 100중량비 대비 볼 클레이 투입량이 100중량비일 때, 세라믹 다공체의 압축강도가 30 (MPa)였으며, 볼 클레이 5중량비 대비 약 76% 이상으로 향상되었다. A porous ceramic which has fine porosity and small specific gravity is made with Cenosphere and Ball Clay under condition of 1,250℃ in calcination temperature and 30 minutes of calcination time. The average size of porous ceramic was about2.5 × 10-5 m and pores are well developed. The void-fraction of porous ceramic was 67.1% under the input of Cenosphere and Ball clay with the weight ratio of 100 to 5. However, as weight ratio of Ball Clay increased to 20, 40, 100, the void fraction decreased to 58.4, 56.7, 47% respectively. When the weight ratio of Cenosphere and Ball Clay was 100 to 100, the apparent density of porous ceramic was 1.04 g/cm3. which is twice the density when the weight ratio of Ball Clay was 5. On the other hand, absorption rate decreased by at least 100%. In condition of weight ratio of Cenosphere and Ball Clay was 100 to 100, compressive strength of porous ceramic was 30 (MPa), improve by about 76% or more when the weight ratio of Ball Clay was 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