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Taxonomy and distribution of Corycaeidae (Copepoda: Cyclopoida) in the Korean Waters in Summer

        강영실,허성회,이삼석,KANG, YOUNG SHIL,HUH, SUNG-HOI,LEE, SAM SEUK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1990 韓國海洋學會誌 Vol.25 No.2

        The family Corycaeidae in the neighbouring seas of Korea was taxonomically studied based on the zooplankton samples collected in August, 1986. In this study, nine species belonging to two genera and three subgenera of the Corycaeidae were identified and described with illustrations; Corycaeus (Corycaeus) speciosus, G.(C.) crassiusculus, C. (Ditrichocorycaeus) affinis, C.(D.) andrewsi, C.(D.) erythraeus, C.(Onychocorycaeus) pacificus, c.(O.) catus, C.(O.) agilis, and Farranula gibbula.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these species showed that C.(D.) affinis appeared to be and indicator species of the coastal waters, and C.(C.) speciosus, C.(C.) crassiusculus, c.(O.) catus, C.(D.) andrewsi, and Farranula gibbula appeared to be indicator species of the warm-oceanic waters.

      • KCI등재

        한국 남해 연안전선의 생물$\cdot$화학적 특성 및 영양역학 구조

        강영실,전경암,KANG Young Shil,JEON Kyeong Am 한국수산과학회 1999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2 No.1

        전선역의 생물$\cdot$화학적 특성 및 영양역학구조를 밝히기 위하여 한국 남해안의 전선대 해역과 비전선대 해역에서 수온, 영양염, chlorophyll a와 동물플랑크톤을 조사, 분석하였다. 영양염은 비전선대 해역이 전선대 해역에 비해 높았으나, chlorophyll a는 전선대 해역에서 높았다. 특히, 전선의 중심지에서도 성층과 비성층의 분기점이 되는 수심 20m층에서 chlorophyll a가 가장 높았다. 그러나 전선의 중심지인 정점의 수심 20m층에서 영양염이 가장 낮았다. Chlorophyll a는 영양염과 모두 음의 상관성을 보였으며, 특히 $SiO_2^{-}-Si$와 가장 높은 음의 상관성을 보석, 전선대에서 영양염 농도가 낮은 것은 chlorophyll a생산에 사용되었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동물플랑크톤 출현량은 전선대해역에서 비전선대해역 보다 월등히 높았으며, 특히 전선대 해역의 전선을 중심으로 한 연안에서 가장 높았다. 동물플랑크톤 중 copepods가 $90\%$ 내외의 높은 조성률을 보이나, 전선의 중심지에서 copepods는 약 $60\%$의 조성률을 보인반면 siphonophores와 euphausiids가 높은 조성률을 나타내었다. Copepods는 비전선대 해역에서는 chlorophyll a와 높은 상관성을 보인반면, 전선대 해역에서는 포식자인 siphonophores와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따라서 copepods 출현량은 전선대 해역에서는 top-down조절을 받고 있으며, 비전선대 해역에서는 bottom-up조절을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Biolog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trophodynamics in the frontal zone were investigated in the southern waters of Korea, Temperature, nutrients (dissolved inorganic nitrogen, $PO_4^{3-}-P$, and $SiO_2^{-}-Si$) chlorophyll a and zooplankton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long the two transects, the frontal zone and the non-frontal zone, in April, 1994. Nutrients were higher in the non-frontal zone than in the frontal zone. But chlorophyll a concentration was high in the frontal zone, particularly at the 20 m depth of the main frontal station (St. TII-2), where was located at the junction between the stratified layer and the non-stratified layer with the lowest nutrients. Zooplankton was more abundant in the frontal zone than in the non-frontal zone, particularly at the innermost station of the frontal zone. Copepods showed high composition rate more than $90\%$ at all stations except the main frontal station (St. TII-2). At the main frontal station (St. TII-2), euphausiids and siphonophores were dominated. Chlorophyll a revealed a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SiO_2^{-}-Si$ in both transects and copepods in the non-frontal zone. Copepods also showed very close relationship with siphonophores in the frontal zone. This suggests that the abundance of copepods could be controlled as bottom-up in the non-frontal zone and as top-down in the frontal zone.

      • KCI등재

        한국 남해안에서 살파류(Tunicata: Thaliacea)의 대번식과 해양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강영실,조영조,고우진,김성수,전경암,오현주,Kang, Yeong-Shil,Jo, Young-Jo,Go, Woo-Jin,Kim, Seong-Soo,Jeon, Kyeong-Am,Oh, Hyun-Ju 한국해양학회 2000 바다 Vol.5 No.1

        한국 남해안에서 1997년 4월과 6월에 대량 출현한 살파류(salps)의 출현밀도 및 분포 특성을 밝히고, 이들 종의 대량 발생과 해양환경과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또한, 이러한 살파류의 대량 발생이 해양생태계의 영양역학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논의하였다. 살파류는 주로 제주도 동남부 해역을 중심으로 대량 발생하였으며, 쓰시마난류와 밀접한 상관성을 보였다. 또한 1997년 4월과 6월의 표층수온이 평년(1961${\sim}$1998)에 비해 $2{\sim}5^{\circ}C$내외로 높았으며, 표층 염분은 평년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살파류의 출현밀도가 높은 4월과 6월에는 클로로필$_{-a}$농도와 요각류의 출현 밀도가 매우 낮았다. 고등어 어획량 역시 이 시기에 매우 낮았다. 따라서 한국 남해안에서 살파류의 대량 발생은 쓰시마난류의 강한 영향 및 이 시기에 먹이생물이 충분히 공급되므로서 일어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살파류의 대량 발생은 상대적으로 먹이경쟁관계에 있는 요각류의 생산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또한 피${\cdot}$포식자관계 및 먹이공급 변동 등으로 영양역학구조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결과로 어류생산에도 영향을 미쳐 고등어의 어획량이 1997년 4월과 5월에 매우 낮아진 것으로 판단된다.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salps was elucidated in the South Sea of Korea with focusing on the April and June, 1997 when swarm of salps occurred. We also discussed on its distributional pattern in relation to environment conditions and its impact on marine ecosystem with emphasizing on trophodynamics. Salps were abundantly distributed in the south-eastern area of Cheju Island where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Tsushima Warm Current. In April and June, 1997, surface water temperature was $2{\sim}5^{\circ}C$ higher than the average over 1961-1998, while surface water salinity was lower. Chlorophyll-a concentration, density of copepods and catches of mackerel sharply decreased in April and June, 1997.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warm of salps was due to not only transportation by strong Tsushima Warm Current but also supply of abundant foods. Low densities of copepods may be related to the presence of swarm of salps because of food competition between them. The fact that the catches of mackerel were very low in April and May, 1997 suggests that the trophodynamics between salps and copepods also influence the fish resources.

      • Centropages dorsispinatus (Copepoda, Calanoida)의 두부에 있는 갈고리 형태의 돌기에 대하여

        강영실,이삼근,KANG, YOUNG SHIL,LEE, SAM GEUN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1992 韓國海洋學會誌 Vol.27 No.3

        A hook-shaped process on the cephalosome of the female of Centropages dorsispinatus was obseryed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wo raw of sensory pores, each with a central cilium were found just anterior to the process. The tip of the process was bifurcated.

      • KCI등재

        인공어초어장의 어류 군집상과 어획량 변동

        이정우,강영실,LEE Jeong-Woo,KANG Young-Shil 한국수산과학회 1994 한국수산과학회지 Vol.27 No.5

        각 해역에 시설된 사각형, 반구형, 원통형 인공어초어장의 어류 군집상 및 어획량 변동을 조사하여 인공어초 모형에 대한 어종 친화성과 해역별 최대효과를 가져 올 수 있는 적정 어초모형에 대해 논의하였다. 1988년 5, 7, 9, 11월에 각 1회씩 삼중자망으로 어획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어획된 어류는 종별로 분류하여 계수하였다. 인공어초어장에서 출현한 총 어종수는 45종이며 볼락류, 쥐노래미, 가자미류, 쥐치 및 말쥐치의 출현빈도가 높았다. 사각형 인공어초어장에서는 총 38종이, 원통형 인공어초어장에서는 총 31종이, 그리고 반구형 인공어초어장에서는 총 18종이 출현하였다. 해역별 주요 우점종은 대부분이 가자미류, 가오리류, 쥐치, 말쥐치, 쥐노래미, 볼락류와 같은 연안정착성 혹은 저서성, 암초성어류였으며 남해 외양만이 회유성 어종인 고등어가 최우점종이었다. 인공어초모형에 따라 저서성, 암초성, 회유성 어류의 조성률이 다르게 나타났다. 사각형 인공어초어장에서는 회유성어류의 조성률이 높은 반면 반구형 인공어초어장에서는 저서성 어류 및 부착생물을 주로 먹이로 하는 어류의 조성률이 높았다. 동해 중부연안을 제외한 전 해역의 인공어초어장중 사각형 인공어초어장에서 어획량이 가장 높았으며, 동해 중부연안은 원통형 인공어초어장에서 어획량이 가장 높았다. 인공어초모형별 어류 군집상은 사각형 인공어초어장과 반구형 인공어초어장은 서로 차이가 있으며, 원통형 인공어초어장은 이 두 인공어초어장의 중간적인 성격을 띤 군집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해역별로 보면 남해연안과 서해 남${\cdot}$중부연안의 군집상이 유사했고, 남해외양과 동해 남${\cdot}$중부연안의 군집상이 유사하였다.인 점을 고려하여 볼 때 수은 오염에 주의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6. 카드뮴의 어종별 96hr-LC50은 넙치 28.4mg/l, 숭어 2.55mg/l, 조피볼락 28.7mg/l으로 나타났다. 7. LAS의 96hr-LC50은 0.79mg/l이었고, 숭어에 대한 96hr-LC50은 0.06mg/l, 조피볼락 1.08mg/l으로 기수성 어류인 숭어의 내성이 매우 낮은 점이 특이하였다.치사하지 않으므로, 본 실험의 결과를 기초로 하여서 무수 수송 장치를 만들면 충분히 실용화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X>로 상당히 높게 나타났고, EPA, DHA 등 w3 계의 장쇄(長鎖)고도불포화지방산의 조성비가 $22.13\%$로 높게 나타났으며, 양적으로 많은 지방산은 포화산 중에는 palmitic acid($C_{16:0}$), monoene산 중에서는 palmitoleic acid($C_{16:1}$), polyene산 중에서는 hexadecatetraenoic acid($C_{16:4}$), eicosapentaenoic acid ($C_{20:5}$), docosahexaenoic acid($C_{22:6}$) 등이 함량이 많았다. Carotenoprotein으로부터 분리한 총 caroteoid 함량은 $8.80mg\%$였고, 주 carotenoid는 mytiloxanthin($74.79\%$), 3,4,3'-trihydroxy-7',8'-didehydro-${\beta}$-carotene($18.26\%$)였다 Community structures and fish densit were investigated on three different types of artificial reefs, dice, turtle artificial reef and tubes, constructed in the Korean waters. Variations of fish fauna according to type of artificial reef and the proper artificial reef in each area for optimizing harvest were discussed. Fish were captured by trammel gill net during May, June, September and November, 1988 and both identified and counted. Fourty-five fish species were found in the artificial reefs. Of these, Sebastes spp., Hexagrammos otakii, Pleuronectidae, Navodon modestus and Stephanolepis cirrhifer showed high occurrence-frequency. The dominant species groups were coastal settlement, demersal or rock fishes such as Pleuronectidae, Rajiformes, Stephanolepis cirrhifer, Navodon modestus, Hexagrammos otakii and Sebastes spp. in all of the Artificial reefs except the oceanic area of southern waters. Scomber japonicus was predominant in the oceanic area of southern waters. Composition of demersal, rock and pelagic fishe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s of artificial reef. Dice artificial reefs were occupied by rock fish, on the other hand turtle artificial reefs were dominated by dermersal fish. Fish density was high at the dice artificial reef in all survey areas except the middle area of Eastern waters, with high fish density evident in the Tube artificial reef. Fish community structures were remarkably different between Dice and Turtle artificial reefs. The Tube artificial reef showed intermediate characteristics between the above two types of artificial reefs. The coastal areas of Southern waters and the middle and southern areas of Western waters revealed similar fish fauna. Results from the oceanic areas of Southern waters were well associated with the middle and southern areas of Eastern waters.

      • KCI등재

        동중국해 북부해역 클로로필-a의 분포특성과 해양환경 특성

        오현주,강영실,박정훈,OH Hyun Ju,KANG Young Shil,PARK Jung Hoon 한국수산과학회 1999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2 No.1

        동중국해 북부해역의 클로로필-a의 분포특성과 해양환경과의 관계를 밝히기 위하여 1995년$\~$1997년 3개년간 매년 2, 5, 8, 11월에 해양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온과 염분은 전 조사월에 중국연안인접해역에서 낮아 동고서저의 분포를 보였으며, 수온약층과 염분약층이 50m 수층을 중심으로 8월에 강하게 형성되었다. 용존산소는 8월에 평균 3.77ml/$\iota$로 가장 낮았으며 특히, 중국연안인접해역의 저층을 중심으로 2.0ml/$\iota$이하의 저산소층이 분포하였다. 투명도는 5월에 가장 높으며 2월에 가장 낮았다. 총질소와 인산인은 11월에 가장 높고 규산규소는 8월에 가장 높아 계절적으로 변동 양상이 달랐다. 총질소, 규산규소는 주로 저염수가 분포하는 중국인접연안역을 중심으로한 해역에서 높게 나타났다. 특히 염분이 가장 낮은 8월에 총질소와 규산규소의 농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와 달리 인산인은 비교적 고른 분포양상을 보였다. 클로로필-a는 동계인 2월에 0.372$\mu$g/$\ell$로 가장 낮게 나타났고, 8월에는 평균 0.512$\mu$g/$\ell$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수층별 연평균 값은 10m 수층에서 0.632$\mu$g/$\ell$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수층이 깊어질수록 점차적으로 낮아졌고 저층인 150m 수층에서 다시 0.243$\mu$g/$\ell$로 높아졌다. 계절별 평균 클로로필-a의 수직분포에서 2월에는 표층에서 5월에는 30m 수층, 8월에는 10m 수층에서, 11월에는 10m 수층에서 최대 값을 보였다. 또한, 투명도가 평균 15.7 m로 가장 깊은 5월에 클로로필-a의 최대 농도 분포층도 30m로 가장 깊었다 이는 클로로필-a의 수직적 분포와 투명도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의미한다. The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chlorophyll-a and their relationship to the oceanographic condition were investigated in the northern part of East China Sea in February, May, August and November during 1995$\~$1997. The temperature and salinity were high in the eastern area and low in the western area. Thermocline and halocline were strongly formed at the 50 m depth in August. Dissolved oxygen was low in August with value of 3.77 ml/$\ell$, particularly in the near coast of East China, where dissolved oxygen was less than 2.0 ml/$\ell$. Transparency was high in May while low in February. Total nitrogen and phosphate concentrations were high in November while silicate concentrations was high in August. They showed the seasonal variations. Total nitrogen and phosphate revealed high concentrations in the near coast of East China, where the salinity was the lowest. Especially, total nitrogen and silicate were higher in August than the other survey months in the near coast of East China. Phosphate showed the even distributional pattern. Chlorophyll-a appeared high in August with 0.512$\mu$g/$\ell$ and low in February with 0.372$\mu$g/$\ell$. Annual means in each survey depth was high at the 10m depth with 0.632 $\mu$g/$\ell$ and gradually decreased toward the more deep depth. But the cencentrations at 150m depth near the bottom again increased as 0.243 $\mu$g/$\ell$. In the seasonal patterns of vortical distribution of chlorophyll-a, the maximum depth value was surface in February, 30 m in May, 10 m in August and 20 m in November. Transparency showed the highest value in May. It means that there are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chlorophyll-a and transparency.

      • KCI등재

        한국 동해 중부 해역의 지표성 요각류 및 모악류의 분포와 수괴 특성

        박주석,이삼석,강영실,허성희,PARK Joo-Suck,LEE Sam-Seuk,KANG Young-Shil,HUH Sung-Hoi 한국수산과학회 1991 한국수산과학회지 Vol.24 No.3

        요각류와 모악류 중 주요 수괴 지표종의 분포에 근거하여 한국 동해중부해역의 수층별 수괴의 시$\cdot$공간적 변동을 밝히기 위하여 14개의 정점에서 2월과 $8{\~}9$월에 폐쇄망으로 수층별로 동물 플랑크톤을 채집, 분석하였다. 요각류 중 난류 외양성 종인 Pleuromamma gracilis, Calanus tenuicornis와 모악류의 Sagita enflata 및 S. minima, 한류성 종인 Calanus cristatus, Calanus plumchrus 및 S. elegans 그리고 심해 한해성 종인 Gaetanus armiger의 분포와 수괴 변동과의 관계를 밝혔다. $0{\~}100m$ 수층에서는, 한류성 종인 C. cristatus, C. Plumchrus 및 S. elegans의 분포로써 북한한류 세력이 주문진 연안까지 강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밝혔다. 주문진-죽변이북 연안해역에서 S. elegans는 출현하지 않다가 죽변연안에서 다시 출현하는 것은 동한난류의 강한 연안측 침투로 북한한류는 하층으로 잠입되고 표층에서 주변해역보다 약 $2{\~}4^{\circ}C$ 높은 고온수가 분포하기 때문이다. 난류종인 S. enflata의 출현역시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100{\~}300m$ 수층에서는, 2월의 경우 울릉도 서북방 해역이 동한난류의 영향을 받는 수괴임을 C. tenuicomis와 P. gracilis의 분포로써 입증하였으며, $8{\~}9$월의 경우, 동한난류의 영향을 받는 울릉도 서북방 해역과 북한한류수계인 속초-주문진 연안역 사이에 혼합성을 띈 수괴가 존재하는 것을 S. bedoti의 분포로써 밝혔다. $300{\~}500m$ 수층의 경우, 2월과 $8{\~}9$월 모두 S. bedoti와 S. enflata의 출현수역인 울릉도 서북방을 제외하고는 모두 동해고유수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8-9원에 있어서 전선 역에 혼합종인 S. bedoti가 풍부한 반면, 난류종인 S. minima와 S. enflata가 없거나 아주 소량 출현하는 것은 수괴 배치이동과 잘 일치하므로, 이들은 전선형성을 밝히는데 유용한 지표종들이었다. Zooplankton samples were collected vertically from different layers with a closing net at 14 stations in the middle East Sea of Korea in February, August and September to study distribution of biological indicators for analysis of water masses. Horizontal and vertical distributions of important species of copepods and chaetognathas known as indicator species were closely related to distributions of different water masses and oceanic fronts. Pleuromamma gracilis, Calanus tenuicornis, Sagitta enflata and Sagitta minima were found to be reliable indicator species to determine warm water mass with warm core, and Calanus cristatus, Calanus tonsus and Sagitta elegans could be used as cold water species for evaluating the movement of cold current from North Korea, and Gaetanus armiger was deep sea water species. Therefore, it was found that North Korean Cold Current down to the south along the coast appeared to be significant in the surface around Chumunjin area, and from here towards the south the cold water containing S. elegans submerged under warm water with S. enflata which were about $2{\~}4^{\circ}C$ higher than that of the vicinity and reappeared near Chukpeon area in surface layer. In the layer between loom and 300m depths, distribution of Pleuromamma gracilis and Sagitta bedoti indicated that warm water mass and front zone influenced by the different water systems were formed in northwestern area off Ulreung-do. In $300{\~}500m$ layer, the proper cold water could be estimated to be present in the northwestern area off Ulreung-do throughout the survey period by the high abundance of Gaetanus armiger. In August, distributions of S. bedoti, S. enflata and S. minima were valuable index to find oceanic fronts and warm core.

      • KCI등재

        황해 동남 해역의 수괴지표성 요각류 및 모악류의 분포와 수괴특성

        박주석,이삼석,강영실,이병돈,허성회,PARK Joo-Suck,LEE Sam-Seuk,KANG Young-Shil,LEE Byung-Don,HUH Sung-Hoi 한국수산과학회 1992 한국수산과학회지 Vol.25 No.4

        수괴지표성 요각류 및 모악류의 분포, 군집구조 그리고 요인분석으로써 황해 동남 해역에 분포하는 수괴의 시공간적 변동 및 특성을 밝혔다 본 연구에서는 요각류인 Undinula darwini, Lucicutia flavicornis, Pleuromamma gracilis와 모악류인 Sagitta enflata는 난류 외양성 종으로, Euchaeta russelli 와 Euchaeta plana는 난류성이나 내성이 강하여 분포 범위를 넓게 가지는 종으로, Sagitta wassa는 연안성 종으로, Sagitta bedoti는 혼합성 종으로 그리고 Centropages abdominalis는 연안 저온성 종으로 특성 지어졌으며, 이들의 분포로써 수괴를 분석하였다. 2월의 경우, U. darwini, L. flavicornis, P. gracilis, E. russelli, E. plana 그리고 S. enflata가 출현하는 제주도 서방, 수온 $14^{\circ}$ 이상인 해역이 쿠로시오 난류 수괴로, 수온 $10^{\circ}$이하이며, C. abdominalis가 출현하는 진도 이북해역이 황해 냉수괴로 나타났다. E. plana와 E. russelli가 소량 출현하며, 혼합성 종인 S. bedoti가 출현하는 수온 $12-14^{\circ}$인 제주도-진도간 해역은 혼합 수괴인 것으로 나타났다. 8월의 경우, 수온 약층을 경계로 하여 0-20m층과 20m- 저층으로 분리하여 수괴를 분석하였다. 0-20m 층의 경우, E. plana와 E. russelli가 출현하는 대흑산도까지 난류가 미치며, 집괴 분석 및 수괴지표성 종의 분포로써 볼 때 수괴는 연안에서 외양으로 가면서 크게 대별되어졌다. 20m-저층의 경우, 난류성 종인 E. russelli와 E. plana가 출현하며 수온이 $12^{\circ}C$이상인 제주도 서북방 해역이 난류의 영향을 받는 해역으로 나타났으며, 저온성 종인 C. abdominalis가 출현하는 진도 이북 해역이 황해 냉수괴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계 0-20m층의 진도부관 해역 및 20m- 저층의 진도 이북 해역에서 C. abdominalis가 출현하는 것으로 보아 냉수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Distribution of indicator species of copepods and chaetognaths were studied as an indicator species of water mass in the southeastern area of the Yellow Sea. Undinula darwini, Lucicutia flavicornis, Pleuromamma gracilis, Euchaeta resselli, Euchaeta plane and Sagitta enflata were found to be reliable indicator species for determining warm water mass. Of these species, E. plana and E. rusrelli have a weak tolerance on the low temperature. Sagitta crassa was indicator species of neritic waters; Sagitta bedoti was that of mixing waters. Centropages abdominalis represented neritic cold waters. In February, U darwini, L. flavicornis, P. gracilis, E. russelli, E. plana and S. enflata occurred in the western waters of Cheju-Do where warm waters over $14^{\circ}C$ occupied. Centropages abdominalis occurred in the northern area beyond Chindo with water temperature less than $10^{\circ}C$. E. plana, E. russelli and S. bedoti were found at the regions between Cheju-Do and Chindo where the water temperature was $12- 14^{\circ}C$ corresponding to the mixing waters. Based on cluster analysis and T-S diagram in February three different water masses were identified from the south to the north. In August, water masses were analyzed at two different layers, 0-20m and 20m- bottom layers, separated by bhermocline depth. In 0-20m layer, E. plana and E. russelli were found from the western waters of Cheju-Do to Daehuksando. In 20m- bottom layer, E. russelli and E plena occurred at the northwestern waters of Cheju-Do with the water temperature warmer than $12^{\circ}C.\;C.$ abdominalis was found at the northern area beyond Chindo. Based on the cluster analysis and T-S diagram in August three different water masses at 0-20m and 20m-bottom layers were identified from the coast to the offshore. C. abdominalis was found at the adjacent water of Chindo at 0-20m layer and the northern area beyond Chindo at 20m~bottom layer. This fact suggested that the cold water mass existed at tile adjacent waters of Chindo in summer.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윤충류 Brachionus plicatilis 및 저서 요각류 Tigriopus japonicus의 초기 생활사를 이용한 해양생태독성시험 방법에 관한 연구

        이승민,박경수,윤성진,강영실,오정환,Lee, Seung-Min,Park, Gyung-Soo,Yoon, Sung-Jin,Kang, Young-Shil,Oh, Jeong-Hwang 한국해양학회 2008 바다 Vol.13 No.2

        Marine ecotoxicological standard method was applicated using marine rotifer and benthic copepod as primary consumer of marine ecosystem. Marine rotifer, Brachionus plicatilis and benthic copepod, Tigriopus japonicus were designated as standard test species with the endpoints of 24hr neonate mortality (24hr $LC_{50}$) and 48hr population growth (48hr $EC_{50}$) for rotifer, and 48hr nauplius mortality (48hr $LC_{50}$) for benthic copepod. Tests method was referred to those of ASTM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with the replacement of test species which are widely distributed in Korean waters. The two species showed a wide tolerance on salinity ($5{\sim}35\;psu$) and can be easily cultured in small space even they were not as sensitive as in the mortality test using the nauplius of marine invertebrates. However, these species revealed the significant "concentrationresponse relationship" tested with ocean disposal wastes, and reproducibility using cadmium as standard reference material between laboratories. Accordingly, these two species have good potential as test species for marine ecotoxicological test species. Also, we strongly recommend that at least one of these species be included in the test species of "battery test" in marine bioassay. 해양생태독성평가를 위한 표준시험방법 개발을 위하여 해양생태계의 1차 소비자인 윤충류 및 저서 요각류를 이용한 시험방법을 정립하였다. 표준시험생물로 윤충류 Brachionus plicatilis와 저서 요각류 Tigriopus japonicus를 선정하였으며, endpoint는 윤충류 신생개체의 사망률(24 hr $LC_{50}$) 및 개체군성장률(48 hr $EC_{50}$)과 저서 요각류 유생($100{\sim}200\;{\mu}m$)의 사망률(48 hr $LC_{50}$)로 설정하였다. 표준시험방법은 미국재료시험협회 (ASTM)의 독성시험법을 참고하였으며, 표준시험생물은 국내 해양생태계의 특성 및 종의 유용성 등을 고려하여 재설정하였다. 윤충류 B. plicatilis와 저서 요각류 T. japonicus는 광염성으로 $5{\sim}35\;psu$ 구간에서 실험이 가능하고, 또한 배양이 용이한 점이 고려되었다. 상기 두 종을 이용한 독성시험은 시험생물 확보 및 배양이 쉽고 시험기간이 짧고 간단한 장점이 있는 반면 독성시험의 민감도가 무척추동물의 유생을 이용한 시험법보다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두 종 모두 해양유입 유해물질을 이용한 독성실험결과, 농도-반응의 선형관계가 뚜렷하였다. 카드뮴을 이용한 윤충류 개체군성장에 대한 실험실간 교차분석결과 $EC_{50}$이 각각 39.3 mg/L와 33.7 mg/L로 유사한 값을 보였다. 따라서 윤충류 및 저서 요각류는 독성시험생물로서 유용한 것으로 판단되며, 위의 두 종중 최소 1종은 해양생태 독성실험의 "battery test"에 포함할 것을 권장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