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책문제의 성격과 해결양식간의 부합관계

        강신택(Sintaek Kang) 서울행정학회 2007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17 No.4

        This is a preliminary interpretation of the government innovation of Rho Moo-Hyun "Participation Government"(2003-2008) from a perspective for understanding of the "congruence between the types of policy-problems and their modes of problem-solving." The paper is focused on an exegesis of the framework for interpretation of the congruences between problem types and solutions. Some research questions are suggested. The main framework of this paper attempts to relate the historical changes of the Korean Government, dominant institutional logics and social science methodologies, and modes of problem-solving for critical issues of the governance. With this framework, we may find out some reasons for an apparent inability or unwillingness of the policy-community to search for appropriate modes of problem-solving in the government innovation.

      • KCI등재

        한국 행정학의 연구논리에 관한 성찰

        강신택(Sintaek Kang)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회과학원 2016 사회과학연구논총 Vol.32 No.1

        이 글은 한국의 행정학 연구논리에 관해 성찰하고 그 과제를 제시해 본 것이다. 1945년 해방과 1948년 정부수립 이후 한국 국가 발전 과정에서의 관료제를 통한 행정의 공과를 개관하고 관료제의 역할 변화와 관련된 행정학의 연구논리의 시각 내지 접근방법의 변화에 관해 성찰했다. 국가 건설기와 경제 발전기에 한국 행정학이 국가 발전과 행정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할 수 있었던 것은 도구적 합리성을 추구하는 실증적 경험적 연구의 논리가 기여한 바도 컸다. 그러나 민주화 이후에 대두된 매우 복잡한 사회경제적인 문제를 개혁하고 정부의 행정을 혁신하기 위해서는 주류 사회과학방법론만을 사용하는 연구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해석학 및 비판이론적 논리도 수용해야할 필요성이 커졌다. 이 글은 이와 같은 성찰을 배경으로 이 시대에 요구되는 좀 더 적실한 연구의 논리를 추구하기 위해 행정철학사, 현상학, 해석학 등을 검토하고 아울러 행정윤리에 관한 실천적 방안을 제안했다. This article deals with some reflections on the logics of inquiry of public administration in Korea. We have reviewed merits and demerits of bureaucracy in the processes of national development since the liberation of nation in 1945 and establishment of the Korean Government in 1948, and have evaluated changing emphasis of the logics of inquiry along with the transformation of bureaucracy. During the periods of the nation-building and industrialization, the positivistic empirical approach was regarded as appropriate to promote instrumental rationality. However, after democratization, there appeared various limits and defects of the mainstream social science methodology to properly deal with very complicated socio-economic problems and administrative reforms and innovation. In response to the growing demands for interpretative and critical approach, we have studied philosophical approaches to public administration, phenomenology, hermeneutics, and administrative ethic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