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건강과 참살이의 계보 : 개념에서 경험과 실천으로

        강신익 한국의철학회 2020 의철학연구 Vol.29 No.-

        현대인이라면 누구나 건강과 행복을 인생 최고의 목표로 여긴다. 그래서 우리의 전통 의학과 문화에 건강이란 말 자체가 없었다는 사실은 충격일 수밖에 없다. 우리는 불과 한 세기 전 서양에서 들어온 건강(健康)을 지극히 당연한 자연 현상으로 여기며 살고 있다. 더구나 지금 우리가 쓰고 있는 건강이란 말에는 서양의 헬스(health)와는 무척 다른 기원과 의미가 있다. 서양의 헬스는 전체성(whole), 성스러움(holy), 치유(heal) 등과 어원을 공유하지만 우리의 건강은 단순히 튼튼하고 편안한 것만을 뜻한다. 이 연구는 건강이라는 말의 어원과 현대적 의미 그리고 그 문화적 변천을 탐색함으로써 우리가 몸을 경험하는 방식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추적한다. 그 결과 튼튼하고 편안한 상태라는 뜻의 건강은 동서양의 전통 어디에도 없는 근대의 발명이라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리고 미병(未病)이 동아시아 전통사회에서 건강과 비교할 만한 몸의 경험이라고 제안한다. 이어서 서양의 의학과 문화 그리고 철학에서 건강의 개념과 경험이 어떻게 표현되고 실천되는지 추적한다. 기계적 환원론과 생명통계이론, 시스템 이론을 적용한 건강 개념들을 살펴본 다음, 잠재역량과 생애경로를 통한 경험으로서의 건강, 니체와 깡길렘과 푸코의 철학에 나타나는 실천 규범으로서의 건강으로 넘어간다. 그리고 건강이 아닌 참살이의 실천규범으로 몸의 살림살이를 제시한다. 국가와 전문가와 자본이 제시하는 완벽한 건강 대신, 약하고 불완전한 몸으로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며 더불어 살아가는 참살이가 새로운 의학과 삶의 규범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우리 몸의 살림살이는 몸에 의한 몸을 위한 몸의 실천, 즉 참살이여야 한다.

      • KCI등재

        사회생물학 달리 보기: 새로운 사회생물학 또는 생명사회학을 찾아서

        강신익 대동철학회 2012 大同哲學 Vol.59 No.-

        사회생물학은 생물학의 법칙으로까지 여겨지는 자연선택의 원리를 인간의 사회생활에까지 적용하려는 야심찬 생물-사회적 기획이다. 생명의 생존과 진화는 적응과 선택이라는 법칙에 따르며 그 속에서 발견되는 일관된 행동의 원칙은 ‘경쟁’이다. 따라서 상호부조와 공감의 환상을 불어넣는 그래서 경쟁을 약화시키는 보편적 복지는 자연의 법칙에 어긋나는 정책이다. 사회생물학자들은 과학과 이데올로기를 엄격히 분리하기를 좋아하지만 역사상 그리고 원리적으로도 그 분리가 가능하지 않다는 것이 이 논문의 주장이다. 이런 점에서 사회생물학은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까지 유행했던 사회다위니즘과 우생학의 변형이다. 사회생물학은 진화와 유전을 결합시킨 신 종합설에 뿌리를 두고 있고 진화생물학에서 경쟁 대신 상호부조를 강조하는 집단선택설을 거의 완전히 몰아냈다. 하지만 그 이후에 이루어진 유전학, 면역학, 동물행동학, 인지과학 등 ‘다른’ 과학들은 경쟁 일변도의 설명이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는 증거들을 축적해 가고 있다. 사회생물학은, 그들의 중심 신조인 경쟁과 선택의 틀을 벗어나지 않고서는 생물학 내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새로운 발견들을 거의 또는 전혀 설명하지 못한다는 것이 이 논문의 두 번째 주장이다. 따라서 생물학적 원리를 사회와 문화에 일방적으로 적용하는 사회생물학(統攝)이 아닌, 생물학의 하위분야에서 이루어진 연구 성과들이 서로 소통하여 새로운 구조와 이론을 만들어내는 생물학의 작은 통섭(小通涉)에서 새로 시작해야 함을 주장한다. 그런 다음에야 심리학, 인류학, 사회학 등 인간의 문화를 연구하는 학문과의 큰 통섭(大通涉)을 꿈꿀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이렇게 생물학적 사실과 문화적 가치가 함께 진화하는 과정을 연구하는 학문분야를 생명사회학(Bio-Sociology)으로 부르자고 제안한다. Sociobiology is an ambitious social project that tries to explain social lives of human beings within the purview of biological principle of natural selection. The evolution of life follows the biological law of adaptation and selection, the consistent principle of which is ‘competition.’ It follows then that general welfare system promoting the illusion of mutual aid and demoting competition violates the natural law. Sociobiologists like to separate their assertion from any political ideologies but I argue that the separation has been and will be impossible due to the inherent nature of intertwinement of the two domains. From this vantage point, sociobiology is a variation of the social Darwinism and eugenics that prospered from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y. This is my first point to make. Sociobiology is based upon the ‘new synthesis’ which sees evolutionary biology from the perspective of genes instead of individuals and groups. It has expelled group selection view from the evolutionary biology almost entirely, which put emphasis on mutual aid. However, new developments in other biological sciences such as genetics, immunology, ethology and cognitive sciences are accumulating evidences pointing to the other direction. My second point is that sociobiology will not be able to incorporate the new evidences into its theoretical framework unless it abandoned or at least loosened its central credo of competition and selection. Therefore I argue that we are to construct another new synthesis that I propose to call Bio-Sociology instead of Sociobiology. It begins by seeing the same biological and cultural phenomena from different perspectives. The perspectives come from different fields of biology as well as from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such as psychology, anthropology and philosophy. I argue that the structure of co-evolving biology and culture is to emerge from this kind of mutual exchanges of various perspectives and idea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앎과 삶으로서의 몸 : 동·서 의학에서 바라본 몸 Medical Perspectives of the East and the West

        강신익 한국과학철학회 2001 과학철학 Vol.4 No.1

        의학의 대상을 사람의 몸으로 규정하는데 반대하는 사람은 아마 없을 것이다. 하지만 그 몸을 어떻게 규정하여야 하는가에 대해서는 일치된 견해가 있는 것 같지 않다. 주류 의학이 규정하는 몸과 인문학 분야에서 논의하는 몸의 개념이 일치하지 않는 것은 물론이려니와 의학 내부에서도 그 논의의 초점에 따라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다. 이 중에서 가장 주도적인 위치를 차지하는 입장은 생물학적이고 물질적인 존재로서의 몸일 것이며, 이것이 현대 서양의학이 신봉하는 몸의 존재론이다. 그러나 같은 의학이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는 한의학의 경우 이야기는 전혀 달라진다. 여기서는 여전히 우주론적이고 관념적인 몸의 존재론이 단연 우세이다. 이 논문은 이러한 몸에 대한 동 ? 서양의 개념 차이를 주로 의학적 자료에 의존하여 밝혀보려 하였다. 그리하여 몸이란 것이 구성물질과 화학작용으로만 환원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역사적으로 구성되어 온 문화적 실체임을 밝힘으로써 오늘의 의학이 취해야 할 태도에 대해서도 비판적으로 반성해보려 한다. 동양과 서양에서 각기 달리 구성한 몸의 실체는 몇 가지 철학적 문제의식의 차이에서 비롯된다. 여기서는 그것을 유일신론과 무신론, 존재론적 이원론과 현상적 이원론, 사원소설과 오행설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고, 이러한 요소들이 서양과 동양의 의학에서 어떻게 의학적 대상으로서의 몸을 구성해 왔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here m y be no one who can deny that the ultimate object of medicine is the human body. However, there does not seem to exist the unified definition of the body. The definitions made by the mainstream medicine and the one of the humanities are not the same. Moreover, even within medicine, there are different kinds of definitions. Among these, the body as a biological and material being may be the dominant ontology of the body, which is the one the modern biomedicine adheres to. In East Asian Traditional Medicine, however, the body takes totally different status. It not only is composed of elements of the world but also comprises the whole world. The ontology of the body is not material but cosmological. This article tries to elucidate differences in ontology of the body in the East and the West, mainly resorting to medical perspectives. By so doing I will make it clear that the M y is not the me that can be reduced to component elements and chemical reactions only, but is a cultural being that has been constructed through space, time and context. The differences in the ontoIogy of the body arise from several philosophical premises each civilization holds. I think that the contrasts between monotheism and atheism, ontological dualism and phenomenological dualism and the schemes of four elements and five transitional phases constitute the basic philosophical attitudes of the two traditions. These philosophical differences have made the significantly different medical systems. The different medical system are due to the differences in how they have made sense of the body. The body has two dimensions of living and knowing, each of which is the predominant feature of the Eastern and the Western concept of the body respectively. I propose that it is time to incorporate the dimension of living the body to the system of knowing the body.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