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수퍼바이지가 지각한 수퍼비전 작업동맹이 수퍼바이지의 자기개방 및 수퍼비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강순화(Kang, Soon-Wha),주영아(Ju, Young-A),조하나(Cho, Ha-na)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4 사회과학연구 Vol.53 No.1

        본 연구는 수퍼바이저가 지각한 수퍼비전 작업동맹이 수퍼바이지의 자기개방과 수퍼비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수퍼바이지의 상담자 자기효능감이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대학상담센터와 개인상담소, 공공기관에서 상담을 진행하는 수퍼바이저 99명과 수퍼바이지 186명을 대상으로 수퍼비전 작업동맹 척도, 자기개방 척도, 상담자 활동 자기효능감 척도, 수퍼비전 만족도 척도를 각각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자료분석을 위해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이 사용되었으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퍼바이저가 지각한 수퍼비전 작업동맹, 수퍼바이지의 자기개방, 상담자 자기효능감, 수퍼비전 만족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변인들간의 관계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수퍼바이저가 지각한 수퍼비전 작업동맹과 수퍼바이지의 자기개방 및 수퍼비전 만족도 관계에서 상담자 자기효능감이 완전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수퍼비전 작업동맹이 구축된 수퍼비전 상황에서 수퍼바이지가 자기개방을 하는 데에 수퍼바이지의 상담자 자기효능감이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며, 수퍼비전 작업동맹과 수퍼비전 만족도 관계에서 상담자 자기효능감이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시사한다. 또한 수퍼비전 상황에서 갖는 시사점과 제한점, 그리고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on effect of counselor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s perception of working alliance and the supervisee’s selfdisclosure and supervision satisfactio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nsisted 99 supervisiors and 186 supervisees who are currently practicing counseling at various institutions such as university counseling centers, private agencies. They all have experienced supervision on their counseling practice at the time of the survey. They were asked to fill out the Supervision Working Alliance Scale, Supervisory disclosure Scale, Supervision Satisfaction Questionnaire, and Counselor Activity self Efficacy Scale. Two competing models including the complete mediation model and the partial mediation model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and AMOS 18.0. The result indicated that, first five positive correlations in the supervisor’s perception of working alliance, supervisee’s self-disclosure and supervision satisfaction, counselor self-efficacy. Second, the supervisee’s counselor self-efficacy completely mediated a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s perception of working alliance and supervisee’s self-disclosure and supervision satisfaction. This study concludes with the finding’s significance of supervisor’s perception of working alliance, supervisee’s counselor self-efficacy, supervisee’s self-disclosure, and the supervision satisfaction. Finally, implications for potential variables for the future research on supervision education are discussed.

      • KCI등재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근홍(Kim, Keun-Hong),강순화(Kang, Soon-Wha)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3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44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보호사가 지역사회 장기요양대상자에게 광범위하고 직접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요 인력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는 상황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 그리고 감성지능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직무스트레스와 감성지능, 자아탄력성을 독립변수로 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요인과 감성지능이 이직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났다. 즉 직무스트레스 요인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높게 나타났고, 감성지능이 높을수록 이직의도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감성지능의 조절(상호작용)효과를 검증한 결과,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감성지능은 이직의도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으나 조절(상호작용)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자아탄력성의 경우에도 이직의도에 유의미한 영향력이 나타나지 않았고,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함께 조절효과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그러나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간의 이직의도와 감성지능, 자아탄력성의 차이에서는 직무스트레스와 하위요인 모두에서 이직의도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감성지능의 경우 업무스트레스와 대인관계스트레스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자아탄력성은 대인관계스트레스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를 높이는 요인인 직무스트레스를 낮추기 위해서 감성지능을 향상할 수 있는 지역사회에 맞는 사후관리프로그램 등의 도입 필요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하겠다. 또한 대인서비스 전문인력으로서 긍정적으로 업무에 대처할 수 있도록 요양보호사 교육단계에서부터 대인관계 훈련은 물론 자아탄력성이나 감성지능과 관련된 심리·사회적 접근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job stress of long-term care workers on the intention of job turnover of them and moder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ir relation.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job stress and emotional intelligence, self-resilience as the independent variable, job stress factors and emotional intellig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intention of job turnover, ego-resili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intention of job turnover. Also results to examine of job stress factors and moder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mederating effect of job stress factor and emotional intellig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ego-resili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intention of job turnover, moder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 was founded that the effect of all on job stres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between stress of work and stress of interpersonal relation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f ego-resilience of stress of interpersonal relation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Post-management program should need emotional intelligence to improve emotion of long-term care workers to reduce on the intention of job turnover. I need to cope with a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training and psychological and social approach as long-term care workers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청소년의 아동기 학대 경험, 사회적 위축, 공격성 간의 관계에서 또래애착의 역할

        백승아(Paeg, Seung A),김분실(Kim, Bun sil),강순화(Kang, Soon wha)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21 생명연구 Vol.61 No.-

        본 연구는 청소년의 아동기 학대 경험, 사회적 위축, 공격성의 관계를 통해 청소년의 공격성을 높이는 부정적인 영향과 또래애착의 긍정적인 영향을 확인하여 청소년의 공격성을 줄일 수 있도록 돕고자 진행되었다. 본 연구 대상자는 2019년 공개된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청소년 659명이었다. 조사는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패널 자료를 활용하였고, 연구에 활용한 자료는 2018년 7-8월에 조사된 2기 5차 패널 자료를 분석하였다. SPSS 22.0 통계프로그램과 Process Macro을 활용하여 기초분석을 하고, 위계적 회귀분석과 Process Macro 부트스트랩 검증을 시행하여 연구 문제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아동기 학대 경험, 공격성 간에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으며,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둘째, 아동기 학대 경험, 공격성 간에 사회적 위축을 통한 또래애착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이는 또래애착이 높을수록 아동기 학대 경험이 사회적 위축을 매개로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이 적어짐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이 아동기에 경험한 학대와 사회적 위축으로 인한 공격성을 감소하기 위해 또래애착 및 대인관계 능력을 길러주기 위한 방안마련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help reduce adolescent aggression by identifying the negative effects of increasing adolescent aggression and the positive influence of peer attachment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 abuse experiences, social withdrawal, and aggress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59 adolescents who used the local children s center opened in 2019. The survey used panel data of children using local children s centers, and the data used for the study were analyzed from the second and fifth panel data surveyed in July-August 2018. Basic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2.0 statistical program and process macro, and the research problem was verified by perform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process macro bootstrap verific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withdrawal between childhood abuse experience and aggression was significant, showing a partial mediating effect. Seco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peer attachment through social withdrawal between childhood abuse experience and aggression was significant.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peer attachment, the less the influence of childhood abuse experiences on aggression through social withdrawal.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iscussed ways to develop peer attachment and interpersonal skills in order to reduce the aggression caused by abuse and social withdrawal experienced by adolescents during childhood.

      • KCI등재

        한국인의 복지정책 선호에 관한 연구: 성장과 분배, 선별과 보편을 중심으로

        김수완 ( Soo-wan Kim ),김상진 ( Sang-jhin Kim ),강순화 ( Soon-wha Kang ) 한국사회보장학회 2014 사회보장연구 Vol.30 No.2

        본 연구는 한국인의 복지정책 선호를 성장과 분배 지향성, 선별과 보편 지향성을 중심 으로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현 시점에서 한국인은 성장과 분배, 선별적 복지와 보편적 복지 중 어느 쪽을 더 선호하는가? 누가 성장 지향적이며, 누가 보편 지향적인가? 또한 성장과 분배, 선별과 보편이라는 두 축을 중심으로 볼 때 한국인의 복지정치 선호 는 어떤 유형으로 나타나는가? 이러한 연구 질문에 대해 한국복지패널 자료(2010)를 분석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장과 분배 중 어느 것을 더 중시하는가에 대한 의견은 양분되어 있는 반면, 선별-보편 지향에 있어서는 보편지향의 의견이 더 지배적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장-분배지향, 선별-보편지향 간에는 상관관계가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성장-분배지향에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자신의 정치적 성향과 소득수준인 반면, 선별-보편지향에 영향이 큰 변수는 연령과 교육수준으로 상이하게 나타났다. 넷째, 두 축을 조합하여 성장·선별형, 분배·선별형, 분배·보편형, 성장·보편형으로 구분하였을 때, 네 가지 유형에 속하는 빈도수가 비교적 고루 분포되었다. 다섯째, 연령대가 높을수록 성장지향적이고 선별지향적으로 나타나, 복지선호에 대한 세대효과가 존재함을 보여주고 있으며,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성장지향성이 높고, 선별지향성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기존 연구들에서 지적한 하위계층의 비계급성과 보수 성향과도 일치하는 결과 이다. This study examined welfare policy preference in South Korea, focusing on two dimensions of ‘Growth versus Redistribution’ and ‘Targeting versus Universalism’. On the research questions such as, ‘Are contemporary Koreans growth oriented or redistribution oriented?’ ‘Do they prefer targeting welfare policy or universalism welfare policy?’ ‘Who are growth oriented as well as who prefer universalism welfare policy?’ ‘Which type of welfare policy is most preferred?’, this study analysed quantitatively using the 5th wave of Korean Welfare Panel data (2010).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re Koreans prefer universal policy (50%) rather than targeting (35%), while the ratio of the growth-oriented and that of the redistribution-oriented show almost the same frequencies. Second, there is no correlation between ‘growth/redistribution orientation’ and ‘targeting/universalism preference’. Third, among six independent variables, political ideology and income level affect the orientation of growth/redistribution while age and education affect the preference of targeting/universalism. Fourth, when generating four welfare policy types using two dimensions, frequencies of each type, i.e, ‘Liberal Market type(growth/targeting oriented)’, ‘Redistribution type(redistribution/ targeting oriented)’, ‘Social Protect type(redistribution/universalism oriented)’, ‘Growth-Universalism type’, do not shows much differences. Fifth, age effect exists as older people have the more targeting- and growth- orientedness, but class cleavage is not found as those with low education also prefer targeting welfare policy and growth. Finally, those who are males, younger, higher educated, higher incomers, conservative, and not economically active in labor market tend to be included in the ‘Growth-Universalism typ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