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향산삼체법(香山三體法)」의 오언율시 텍스트에 대한 서지적 연구

        강순애 한국서지학회 2013 서지학연구 Vol.54 No.-

        This paper engages in a bibliographical study of the 72 poems of the five-character regulated verses, which appear in the First Cast Gapinja-Type Edition of Hyangsansamchebeop. It will explore several themes in the following order: the life and literature of Bai Juyi(白居易); the composition of the Hyangsansamchebeop poems; the collection of works and writing-related matters; and a comparison of Hyangsansamchebeop with Zhu Jincheng’s Bai Juyi ji jian jiao(白居易集箋校). All 72 poems of Hyangsansamchebeop were collected in Anthology of Poems by Bai Juyi(白居易文集). Bai Juyi ji jian jiao cites that there are 7 poems from Book 13, 4 poems from Book 14, 1 poem from Book 15, 4 poems from Book 16, 1 poem from Book 17, 3 poems from Book 19, 1 poem from Book 20, 1 poem from Book 23, 1 poem from Book 24, 6 poems from Book 25, 21 poems from Book 26, 16 poems from Book 27, 2 poems from Book 28, 3 poems from Book 34, and 1 poem from Book 37, making 72 poems in all. The poems included in Hyangsansamchebeop show us matters related to the writing of the poems such as the time, place or government post Bai was in when he wrote the works. Bai selected the most works from his 50s and from his writings done in Changan and Luoyang. Bai Juyi went through various government posts after passing the jinsasi(進士試) examinations at 29 years of age. His official life bore close relations to the writing time and place and had a great influence in the creation of the poems. The poems contain scenes of Bai Juyi’s everyday life and surroundings with 25 poems for “Spring”, 16 poems for “Wine”, 13 poems for “Autumn”, 12 poems for “Sentiments”, 3 poems for “Partings”, and 3 poems for “Winter”. Altogether, there are 72 poems in 6 categories. A comparison done of the First Cast Gapinja-Type Edition of Hyangsansamchebeop (Model A), created around the 10th year of King Jungjong’s reign, with Zhu Jincheng’s Bai Juyi ji jian jiao (Model B) yield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original texts of Model A and Model B have differences in letters: there are instances of Model A and Model B having similar Chinese characters so that there are no great differences in the translation; instances of Model A and B having contrasting letters so that it is difficult to know the differences in translation; instances where Model A and B have contrasting letters yet differences in translation are clear; instances where later annotations show that the letter of Model A is more correct; and instances where later annotations show that the letter of Model B is more correct. Secondly, the annotations which appear in Model B complete the translation of the original text. Thirdly, the poems in Model A and Model B have the same titles, yet Model B sometimes has different titles for the poems in the annot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in the most fundamental studies of Bibliography, Chinese Literature, Chinese poetry which includes the study of Bai Juyi’s poetry. 본 연구는 초주갑인자혼입보자본 「향산삼체법(香山三體法)」 중 오언율시 72수를 대상으로 하여, 텍스트에 관한 서지적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백거이(白居易)의 삶과 문학, 「향산삼체법」 오언율시의 구성, 선집 및 저작 관련 사항, 「향산삼체법」과 주금성(朱金城)의 「백거이집전교(白居易集箋校)」의 비교 순으로 살펴보았다. 「향산삼체법」의 오언율시는 72수 모두 「백거이문집」에서 선집되었는데, 「백거이집전교」를 참고하면, 권13/7수, 권14/4수, 권15/1수, 권16/4수, 권17/1수, 권19/3수, 권20/1수, 권23/1수, 권24/1수, 권25/6수, 권26/21수, 권27/16수, 권28/2수, 권34/3수, 권37/1수로 도합 72수이다. 「향산삼체법」에 수록된 백거이 시에 대한 저작 관련사항은 저작 시기, 저작 장소, 저작 당시의 벼슬 등을 살펴볼 수 있다. 저작시기는 50대의 저작이 가장 많이 선집 되었고, 저작 장소는 주로 장안(長安)과 낙양(洛陽)이었다. 백거이는 29세에 진사시(進士試)에 합격한 이후 다양한 벼슬을 거쳤는데, 이러한 벼슬살이는 저작시기 및 저작장소와 밀접한 관련이 되면서 시의 저술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시의 내용은 백거이의 일상들이 담겨진 것으로 ‘봄’ 25수, ‘술’ 16수, ‘가을’ 13수, ‘감회’ 12수, ‘이별’ 3수, ‘겨울’ 3수로 6분야의 72수이다. 중종 10년(1515)경의 초주갑인자혼입보자본인 「향산삼체법」 A본과 중국의 주금성(朱金城) 전주(箋注)의 「백거이집전교」 B본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본과 B본의 원문에 글자의 차이가 있는 경우를 보면, A본과 B본의 글자가 유사한 한자여서 해석상의 차이가 별로 없는 사례들, A본과 B본의 글자가 대조적이어서 해석상의 차이를 알기 어려운 사례들, A본과 B본의 글자가 대조적이지만, 해석상의 차이가 분명한 사례들, A본과 B본의 글자 중 후대의 주석본을 참고하면 A본의 글자가 더 옳은 사례들, A본과 B본의 글자 중 후대의 주석본을 참고하면 B본의 글자가 더 옳은 사례들이 있었다. 둘째, B본에 나타나는 주석이 본문의 해석을 원만하게 해주는 경우가 있었고, 셋째, A본과 B본의 시 제목이 같은데 B본의 주석에 시의 제목이 다르게 제시되는 경우가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서지학 분야, 한문학 분야, 백거이 시를 연구하는 한시 분야에 가장 기본적인 연구 성과로 활용될 것이다.

      • KCI등재

        고려 팔만대장경의 판각, 봉안 및 판가구성에 관한 연구

        강순애 한국서지학회 2010 서지학연구 Vol.46 No.-

        The Goryeo Eighty-Thousand Tripitaka is a collection of 81,350 woodblocks of 1,514 types issued in Gangwha Island region's Daejangdogam and Namhae's Bunsadogam over a period of 16 years during King Gojong's 23rd year(1236) to his 38th year(1251). Except 108 overlapping woodblocks, there are 81,242 woodblocks. Among these there are 72,610 Daejangdogam blocks and 8,632 Bunsadaejangdogam blocks. The layout of the Eighty-Thousand Tripitaka from Cheonham(天函) to the Youngham (英函) follows the system of Northern Song(北宋) Gaebochikpan(開寶勅板), carved according to the Gaewonseokgyorok, whereas the tripitaka's layout from Duham(杜函) to Choham(楚函) is inconsistent because it was incorporated in the order that Song dynasty Tripitaka(宋朝大藏經) was introduced. Gaengham(更函) contains Daejangmokrok (大藏目錄), and Paeham(覇函) to Tongham(洞函) is composed of woodblocks addi- tionally made during the time the second carved Tripitaka(再雕大藏經) was created. The Enshrinement of the Eighty-Thousand Tripitaka in Ganghwa’s Daejanggyeong- pandang was done by putting the woodblocks of Daejangdogam and Bunsadogam together, after which a Buddhist ceremony was held in honor of the occasion. The Daejanggyeongpandang is thought to have been in Seonwonsa whose location was assumed to be either in Ganghwa Island's Sinnidong region or in front of and behind Seonhaengri's Chungryeolsa. Seonwonsa maintained its power until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as it housed the Eighty-Thousand Tripitaka. The Eighty-Thousand Tripitaka was first placed in Ganghwa Island's Seonwonsa, then moved to Jicheonsa outside of Seodaemun in Seoul in the 7th year of King Taejo's reign (1398) during the Joseon Dynasty. It was again moved to Haeinsa Daejanggyeongpanjeon, the 52nd national treasure of Korea, where it is now housed. The Eighty-Thousand Tripitaka is stored in two of the Haeinsa Daejanggyeongpanjeon’s four halls, that is, the Beopbojeon, located northeast and the Sudarajeon, located northwest. With some exceptions, the Eighty-Thousand Tripitaka is placed mostly in units of 10 volumes each and its Hamcha(函次) is arranged in order of Cheonjamun. The placement of the sutra woodblocks begins with the first bookshelves to the right of the central bookshelves of the Beopbojeon, fills all the shelves in an orderly manner and continues to the Sudarajeon shelves to the final shelves. 고려 팔만대장경은 고종 23년(1236)부터 38년(1251)까지 16년 동안 강화의 대장도감과 남해 분사도감에서 간행된 총 1,514종 81,350판인데, 중복판 108판을 제외하면 81,242판이다. 이중 대장도감판이 72,610판이고, 분사대장도감판이 8,632판이다. 팔만대장경의 구성 체계는 天函부터 英函까지는 「開元釋敎錄」에 의거하여 板刻한 北宋 開寶勅板의 구성 체계를 따랐고, 杜函부터 楚函까지는 宋朝大藏經이 들어오는 대로 累加 編入되었기 때문에 구성이 일정하지 않다. 更函에는 「大藏目錄」이 들어 있으며, 覇函부터 洞函까지는 再雕시의 추조본으로 구성되어 있다. 팔만대장경의 봉안은 대장도감과 분사도감 두 곳의 판각을 합쳐서 강화의 대장경판당에 봉안하고 경찬회를 행하였다. 대장경판당은 선원사에 위치했던 것으로 여겨지는데, 선원사의 위치는 강화도 신니동 일대로 보는 의견과 선행리 충렬사 앞․뒤쪽 일대로 보는 두 견해가 있다. 선원사는 고려말까지 사세를 유지하면서 팔만대장경을 보관하였다. 팔만대장경의 봉안은 처음에 강화도 선원사에 보관되다가 조선 태조 7년(1398)에 서울 서대문 밖 지천사로 옮겨진 후 다시 해인사로 옮겨졌으며 현재는 국보 제52호의 해인사 大藏經板殿에 보관되어 있다. 네 동의 건물 중 팔만대장경의 경판이 보존되어 있는 두 동은 동북쪽에 위치한 법보전과, 서북쪽 있는 수다라전이다. 이 경판전에 봉안된 팔만대장경판은 모두가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대개 10권을 단위로 해서 배열순서는 천자문의 함차를 배정하고 있다. 경판의 배치는 법보전 중앙 판가 우측에 위치한 1번 판가에서 출발해서 규칙적으로 모든 판가를 채우고 修多羅殿 판가로 계속되며 모든 판가를 채우고 있다.

      • KCI등재

        세계기록유산 고려대장경 및 제경판의 디지털화와 대중화

        강순애,Kang, Soon-Ae 한국비블리아학회 2011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2 No.1

        본 연구는 2007년 6월 유네스코가 세계기록유산으로 지정한 '고려대장경 및 제경판'의 디지털화와 대중화를 살펴보기 위해 한국의 세계기록유산과 고려대장경, 고려대장경 및 제경판의 디지털화, 고려대장경 및 제경판 디지털자원의 대중화에 비중을 두어 진행하였다. 고려대장경 및 제경판은 곧 팔만대장경판(국보 제32호)과 그 경판을 봉안한 대장경판전(국보 제52호)을 말하며, 고려 팔만대장경판은 1,514종(경) 81,350판 162,700면이다. 해인사는 이들 경판의 디지털화를 위해 2009년 5월 18일부터 2010년 2월 19일까지 그 1차 사업을 마무리하고, 현재는 2차 사업이 진행되고 있는데 이에 대한 현황과 지속적인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디지털자원의 대중화에 있어서는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재청 및 한국콘텐츠진흥원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는 문화 분야 자원의 통합과 대중화의 성공 사례들을 개관하고 지속사업을 위한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논문은 팔만대장경 및 문화유산을 디지털화하고 그 자원의 활용에 있어서 기초자료로 쓰이는 것은 물론이고 앞으로 진행되는 상호관련 연구영역에도 효과적으로 활용될 것이다. The present paper is focused on Korea's inscribed heritages, digitization of the Tripitaka Koreana & miscellaneous buddhist scriptures, and public uses of the digital properties in order to describe the Digitization & Popularization of Printing Woodblocks of the Tripitaka Koreana and Miscellaneous Buddhist Scriptures, Memory of the World. The Goryeo Daejanggyeong or the Tripitaka Koreana and miscellaneous Buddhist sculptures refer to printing woodblocks of the Tripitaka(National Treasure No.32), and repositories (National Treasure No.52) where the woodblocks are stored. The woodblocks numbers 1,514 types/81,350 blocks/162,700 pages. Haein temple has worked the digital Tripitaka project 2009-2010 and The project for 2010 will focus on DB correction and modification, improvement of homepage that was made in 2009. For this, the focus was especially put on investigating current status and development plans of the digital Tripitaka project. In popularization of the digital Tripitaka, this study examined the Korea's utilization policy and current situation of knowledge resources about culture, successful cases of digital Tripitaka projects, and popularization strategies. This research can contribute to digitization of other cultural heritages and related researches in the future.

      • KCI등재

        고려 팔만대장경 「法苑珠林」의 판각에 관한 연구

        강순애 한국서지학회 2012 서지학연구 Vol.51 No.-

        This paper aims to study Beopwonjurim(K.1406)’s 100 volumes and 1,696 woodblocks by proceeding in the following order: the Beopwonjurim’s content and layout, its woodblocks and scale, and the correction and woodblock characteristics in the 82nd volume of Beopwonjurim’s first and second editions. Beopwonjurim is a Buddhist encyclopedia comprising of 100 volumes, 100 parts and 668 sections edited by Dosae around the 7th century. Its classification system consists of heaven and earth, kings, the public figure system, others 1, things, others 2. The first carving of Beopwonjurim was issued in Ingyeonwon in the first year of Hampyeong(998) after Great Master Unseung’s correction. In Goryeo, when the carving of the Koryeo First Tripitaka was concluded in the 4th year of Seonjong’s reign(1087) and the year after Uicheon returned, he proposed that the Beopwonjurim be published the year after that. And so the Song Dynasty’s carving was reprinted and engraved. At present, the 82nd volume remain in their entirety. 100 volumes, 1696 blocks and 3392 sides(3322 sides were actually engraved) of the second carving were done during the 31st year of Gojong’s reign(1244) by 602 engravers in Daejangdogam and Bunsadogam. A comparison of the first Tripitaka (Model A) and the second Tripitaka (Model B) of Beopwonjurim’s 82nd volume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the second version has the first model as a basis. The second edition faithfully follows the model of the first while adding a little proofreading. Comparing the 14 woodblocks of the first model and the second model, it can be concluded overall that the first edition is Song Bon’s reprinting. The broad and large letters and powerful strokes in the first model give the impression of force; however, the largeness of the letters lacks an orderly impression. The second model recarved the first model as a basis. The carving is unskill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tters from the first model are hardly shown. Additionally their overall appearance is diminutive and crude. 이 논문은 「법원주림(法苑珠林)」(K.1406) 100권 1,696판을 대상으로 판각에 관한 연구를 하기 위해, 「법원주림(法苑珠林)」의 내용 및 구성, 판각 및 규모, 권82의 초조본과 재조본의 교감 및 판각의 특징의 순서로 살펴보았다. 「법원주림」은 7세기경에 당의 도세가 편집한 100권 100편 668부의 항목으로 구성된 불교대백과사전이다. 유별분류체계는 천지(天地), 제왕(帝王), 인사제도(人事制度), 기타 1, 물(物), 기타 2로 나눌 수 있다. 「법원주림」의 초각은 함평 원년(998)에 운승(雲勝) 대사의 교감을 거쳐 인경원에서 간행하였다. 고려에서는 의천이 귀국 후 이듬해 선종 4년(1087)에 초조대장경의 판각이 일단락되자 이듬해에 법원주림을 간행할 것을 건의하여 송본을 번각하여 추조된 것이다. 현재 권82가 전존본으로 남아 있다. 재조본은 고려 고종 31년(1244)에 602명의 각수에 의해 대장도감과 분사도감에서 100권 1,696판 3,392면(실제 판각면 3,322면)이 판각되었다. 「법원주림」 권82 초조본(A본)과 재조본(B본)을 대교한 결과, 전체적인 교감 내용을 보면 재조본은 초조본을 저본으로 하여, 초조본의 저본을 충실하게 따르면서 약간의 교감을 가하고 있다. 판각은 초조본(A본)과 재조본(B본)의 14판을 비교한 결과 전체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을 종합하면, 초조본은 송본의 번각인데 글씨가 넓적하고 크며 강한 필획을 사용하여 힘이 있어 보이지만 글씨가 커서 정연한 맛이 없다. 재조본은 초조본을 재번각한 것인데 번각이 매우 서툴고 초조본의 글자의 특징이 거의 드러나지 않으며 왜소하고 치졸한 느낌을 준다.

      • KCI등재

        『御定宋史筌』의 편찬 및 체재에 관한 연구

        강순애 한국서지학회 2020 서지학연구 Vol.8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reveal the compilation process of 80 volumes of Songsajeon and 100 volumes and 150 volumes of Eojeonsongsajeon by utilizing literature research and actual research to present basic data for bibliographic literature research. To this end, 80 volumes of Songsajeon examine the records of Ilsungrok and Jeongjo’s Eochal and the existing research to reveal the people and processes involved in the excerpt, editing, and proofreading. 100 volumes and 150 volumes of Eojeonsongsajeon is analyzed for each compilation and format by examining records of Annals of King Jeongjo, Hongjaejeonseo and literary works, existing research and existing texts, and examines in detail what kind of compilation process the Eojeonsongsajeon was comple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excerpt, editing and proofreading of 80 volumes of Songsajeon was Jeongjo. Jeongjo began on January 3rd, 46th year of King Yeongjo (1770), and completed the excerpt, editing, and correction of the case on August 25th of that year. Bonki and Ji were excerpted and corrected, and only excerpts were made for Yeoljeon. In the 48th year of King Yeongjo (1772), the excerpt was corrected in consultation with Hong, Bong-han, and Seogi was consulted with Hong, Nak-in and Yurimjeon was also consulted with Hong, Nak-shin. 100 volumes of Eojeonsongsajeon are based on the Seolye (序例) compiled by Jeongjo, and the total editorial responsibility was taken by Seo, Myeong-eung, and on October 10, the 4th year of King Jeongjo (1780). It consisted of 100 volumes and 40 books, including Bonki 4, Ji 34, and Sega 4, Yeoljeon 56, Uilye 1, Moglog 1. This book is composed of Bonki, Ji, Sega, and Yeoljeon. 150 volumes of Eojeonsongsajeon were revised and completed by Lee, Deok-moo, and completed in the 15th year of King Jeongjo by alternately transcribing the students of the government school. It consisted of 150 volumes and 61 books, including Uilye 1, Moglog 1. Bonki 8, Ji 47, Sega 2, Yeoljeon 91. This completed version is Eojeonsongsajeon of 奎1800 that remains in Gyujanggak.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very meaningful in the fields of bibliography, records management and history. This result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ose who study the history of literature in the Yeong-Jeongjo period. 본 연구는 문헌연구 및 실물조사를 활용하여 『송사전』 80권본과 『어정송사전』 100권본 및 150권본의 편찬과정을 체계적으로 밝혀 서지학분야 문헌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송사전』 80권본은 『일성록』 및 정조의 어찰에 나타난 기록들과 기존 연구를 조사하여 발췌, 편집 및 교정에 관계한 사람 및 과정에 대해 밝히고, 『어정송사전』 100권본 및 150권본은 『정조실록』, 『홍재전서』 및 문집 등의 기록, 기존 연구 및 현존본을 조사하여 편찬 및 체재에 대해 분석하여 『어정송사전』이 어떠한 편찬 과정을 거쳐 이루어졌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송사전』 80권본의 발췌, 편집 및 교정자는 정조였다. 정조는 영조 46년(1770) 1월 3일에 시작하여 송사의 발췌, 편집 및 교정을 그해 8월 25일에 마쳤다. 본기와 지는 발췌하여 교정을 하였고, 열전은 발췌만 해두었다. 영조 48년(1772)에 홍봉한과 상의하여 발췌본의 교정을 하였고, 서기는 홍낙인, 유림전은 홍낙신과도 상의하여 진행하였다. 『어정송사전』 100권본은 정조가 편찬한 서례(序例)에 의거하여 서명응이 총 편집의 책임을 맡아 정조 4년(1780) 10월 10일에 본기 4권, 지 34권, 세가 4권, 열전 56권, 의례 1권, 목록 1권 등 총 100권 40책으로 이루어졌다. 이 책은 본기, 지, 세가, 열전으로 이루어졌다. 『어정송사전』 150권본은 이덕무를 시켜 수정 완성하고 관학제생들에게 선사교대시켜 정조 15년(1791) 의례 1권, 목록 1권, 본기 8권, 지 47권, 세가 2권, 열전 91권의 총 150권 61책으로 완성하였다. 이 완성본이 현재 규장각에 남아 있는 奎1800의 『어정송사전』이다. 본 연구는 서지학, 기록관리학 및 역사학 분야에서 매우 유의미한 결과들을 얻었다. 이 결과는 영․정조 시대의 문헌사를 연구하는 이들에게 기초적인 데이터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御定洪翼靖公奏藁』의 편찬과 간행 및 반사에 관한 연구

        강순애 한국서지학회 2020 서지학연구 Vol.81 No.-

        This paper studies the records, existing studies and existing copies of Eojeonghongikjeonggongjugo which appears in King Jeongjo’s letters in order to throw light on the compiler and the compilation process. The paper also examines the records and existing copies of Sunjo Sillok and Naegak Illyeok and analyzes their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with the aim of analyzing the processes of compilation,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of Eojeonghongikjeonggongjugo in a systematic way. The results of the study as follows. Eojeonghongikjeonggongjugo is a book that collected Ik Jeong-gong Hong Bong-han (1713∼1778)’s petitions for King Yeongjo’s state affairs administration and Yeongjo’s answers to those petitions. In the 24th year of his reign, King Jeongjo along with Hong Nak-im imitated Zhu Xi’s Chukgongyusa by collecting Hong Bong-han’s yeondaejaeju and Yeongjo’s answers to them and compiling them into 35 books of 6 types, 59 categories and 1 separate edition. The compilers of this work were Jeongjo and Hong Nak-im. Hong Nak-im’s son Hong Chui-yong and Jeongo’s great-uncle Hong Yong-han participated in the process of compilation, and the translation of the written and spoken languages reflected the intentions of Queen Hyegyeonggung. Queen Jeongsun ordered the Naegak to publish Eojeonghongikjeonggongjugo on August 11 in the year 1800 when Sunjo ascended the throne, but the publication was postponed due to the opposition of the Byeokpa retainers on August 20 of the same year. It is estimated that another discussion for the publication took place after the 12th year of Sunjo’s reign, and that the Naegak released it in the jeongritype cast on March 6 in the 15the year of Sunjo’s reign. Eojeonghongikjeonggongjugo was distributed on March 6 in the 15th year of Sunjo’s reign (1815). The distributed editions were imprinted with the word ‘Kyujangjibo’ and printed in Baekmyunji with one edition each distributed to Ocheosago, Kyujanggak, Naegak, Okdang and Chunbang. A copy printed in baekji each was also given to 20 retainers including Wonimjaehak Yeonguijeong Ki Jae-chan. Some of the copies distributed at the time still exist. We can tell that the Gyu1146 edition was distributed to the Naegak because it is stamped with ‘Kyujangjibo’ and ‘Naegak.’ Similarly, the Gyu3915 edition is stamped with ‘Kyujangjibo’ with ‘Jeongjok’ in ink letters on the reverseside of the coverpage, while the Gyu 1924 edition is stamped with ‘Kyujangjibo’ with ‘Taebaek’ in ink letters on the reverse side of the coverpage, showing that they were distributed to Jeongjoksan Archives and Taebaeksan Archives respectively. The Gyu1173 edition is stamped with ‘Kyujangjibo’ and ‘Kyuseojinjeok’ showing that it was distributed to the Kyujanggak. 본 연구는 정조의 어찰에 나타난 『어정홍익정공주고』의 기록들과 기존 연구 및 현존본을 조사하여 편찬자 및 편찬과정을 밝히고, 『순조실록』, 『내각일력』의 기록 및 현존본을 조사하여 간행 및 반사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어정홍익정공주고』의 편찬, 간행 및 반사에 이르는 과정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어정홍익정공주고(御定洪翼靖公奏藁)』는 익정공 홍봉한(洪鳳漢, 1713∼1778)의 영조조 국정운영에 대한 상소와 영조의 비답을 모은 책이다. 정조는 24년(1800)에 홍낙임과 함께 주자의 『축공유사(祝公遺事)』를 모방하여 홍봉한의 연대제주와 이에 대한 비답을 모아 35권 6류, 59목, 별고 1편으로 편찬하였다. 이 책의 편찬자는 정조와 홍낙임이고, 편찬과정에 홍낙임의 아들 홍취영과 정조의 작은 외할아버지인 홍용한도 관계하였으며, 언문의 번역에는 혜경궁의 뜻이 반영되었다. 『어정홍익정공주고』의 간행은 순조 즉위년(1800) 8월 11일 정순왕후의 명으로 내각에 간행을 지시했지만, 그해 8월 20일 벽파 신료들의 반대로 미루어졌다. 순조 12년(1812) 이후에 재논의가 이루어졌을 것으로 추정되며, 순조 15년(1815) 3월 6일 내각에서 정리자로 인출되었다. 『어정홍익정공주고』는 순조 15년(1815) 3월 6일 반사되었다. 반사본에 ‘奎章之寶’를 찍어 오처사고, 규장각, 내각, 옥당, 춘방에 백면지로 찍은 책이 각각 1건씩 반사되었고, 원임제학 영의정 김재찬을 포함하여 20명의 신하에게 백지로 찍은 책이 각각 1건씩 사급되었다. 반사본 중에는 현존본들이 남아 있다. 규1146 본에는 ‘奎章之寶’와 ‘內閣’ 장서인이 찍혀 있어 내각에 반사된 것임을 알 수 있고, 규3915 본에는 ‘奎章之寶’ 장서인과 표지 이면에 ‘鼎足’의 묵서기가 있고, 규1924 본에는 ‘奎章之寶’ 장서인과 표지 이면에 ‘太白’의 묵서기가 있어 각각 정족산사고와 태백산사고에 반사된 것임을 알 수 있으며, 규1173 본에는 ‘奎章之寶’와 ‘奎書珍籍’ 장서인이 찍혀 있어 규장각에 반사된 것임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해외 소장 고문헌의 DB 구축과 공동활용 방안

        강순애 한국문헌정보학회 2008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2 No.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three aspects of the construction and common use of old document DB in the foreign countries:ⅰ) the processing of old documents, ⅱ) the problem and improvement of DB systems of old documents, and ⅲ) the common use of old document DB. Results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NLK) copied old documents in the foreign countries from 1982 to 2006 and published the brief catalog. The Reogang Publishing company issued four volumes catalogs of old document in Japan.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NRICH) investigated old books and published some catalogs of several organizations in Japan, America, France, and all.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NIKH) investigated old archives and published some catalogs of several organizations in Japan.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Old and Rare Collection Information System(KORCIS) of the NLK, the Old Books Cultural Heritage in Overseas System of the NRICH, and the Korea History DB System and MF Catalog/ Image System of NIKH were described in the DB systems of old documents, the problems of DB systems were checked over and some alternatives were suggested. In the common use of old document DB, KORMARC format and description rules(draft) for archives should be revised to adopt a new standard such as KS editions, and all the institutes involved should thoroughly follow the standards, when creating bibliographic records and digitizing texts. It is necessary to educate and train the specialists of old documents. A government organization should be established to supervise all the procedures of developing technology for sharing digitized resources, using contents, and cooperating with the related internationl organiztions and institutes. 본 연구는 해외 소장 고문헌의 DB구축과 공동활용 방안을 다루기 위해 해외 소장 고문헌의 정리, 해외 소장 고문헌 DB 시스템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해외 소장 고문헌의 공동활용 방안을 다룬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사실은 다음과 같다. 해외 소장의 고문헌을 정리하기 시작한 것은 국립중앙도서관이 1982년부터 해외기관에 소장된 고문헌을 영인하여 간략목록으로 발행하는 차원에서 시작되었다. 려강출판사가 일본소재 한국고문헌목록 1-4를 발간하여 기초자료로 제공하였다.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일본, 미국, 프랑스 등의 해외기관에 소장된 고문헌을 조사하여 일부의 목록집을 발행하였고, 국사편찬위원회는 일본소재 고문서 목록을 조사하고 그중 가치 있는 것을 선별하여 목록으로 간행하였다. 해외 소장 고문헌의 DB 시스템에서는 국립중앙도서관의 한국고전적종합목록시스템, 국립문화재연구소의 해외소장한국전적문화재시스템, 국사편찬위원회의 한국사데이터베이스시스템 및 MF목록/원문서비스시스템의 특성이 기술되었고, 각 DB상의 문제점이 파악되었으며 그에 대한 몇 가지 대안도 제시되었다. 공동활용 방안에 있어서는 고문서 정리를 위한 목록 형식 및 기술(시안)은 새로운 표준안으로 채택될 수 있도록 수정되어야 하고, 관련 기간들은 서지기록을 작성하거나 원문 텍스트를 디지타이징할 때 표준을 준수해야 한다. 고문헌의 DB 구축과 관리를 위한 전문 인력의 양성과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긍극적으로는 디지털화된 자원의 공유를 위한 기술개발, 고문헌 컨텐츠의 이용과 개선, 공공의 이용과 참여, 국제적이 이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국가차원의 전담기구가 설립되어야 한다.

      • KCI등재

        유길준의 『西遊見聞』에 나타난 문명,개화와 도서관 인식 및 영향

        강순애 한국서지학회 2018 서지학연구 Vol.74 No.-

        이 글은 유길준의 『서유견문』에 나타난 문명․개화와 도서관 인식 및 영향을 주제로 유길준의 생애, 『서유견문』에 제시된 문명․개화, 『서유견문』에 소개된 도서관, 및 『서유견문』의 도서관 인식 및 영향을 연구한 것이다. 유길준(1856-1914)은 철종 7년부터 1914년까지 조선조 말기, 대한제국기, 일제강점기에 걸쳐 개혁파로 활동하였다. 일본과 미국에 유학하였다. 갑신정변에 체포되어 7년간의 연금생활을 하면서 『서유견문』을 저술하였다. 고종 32년(1895) 10월 8일 을미사변이 일어난 뒤 내부대신에 임명되었다가 건양 1년(1896) 2월 11일 아관파천으로 내각이 무너지자 일본으로 망명했다. 융희 1년(1907) 8월 16일 일본에서 돌아와 한국의 실력 양성을 위한 교육 계몽운동에 힘썼다. 1914년 9월 30일 59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유길준이 『서유견문』을 저술한 것은 서구 문화의 총체적이고 체계적인 이해를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서유견문』은 20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유견문』에 제시된 문명개화의 성격은 제14편 뒷부분에 들어있는 개화의 등급에 잘 나타나 있다. 개화의 정의와 등급, 개화하는 방법, 실상개화와 허명의 개화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유길준의 『서유견문』에서 서양의 도서관을 소개하는 부분은 제17편이다. 이에는 ‘서적고(書籍庫)’의 제목으로 도서관의 설립 주체와 장서, 수집 방법, 도서의 열람제도 등이 소개되고 있다. 이어 서양의 유명한 국립도서관인 영국박물관도서관, 러시아 레닌그라드의 상트페테르부르크 도서관, 프랑스 국립 리슐리외 도서관, 미국 의회도서관, 독일 베를린 대학도서관이 소개되었다. 유길준의 『서유견문』에 소개된 1885년경의 서양 도서관의 모습은 매우 발전된 근대 도서관이었다. 국립도서관들의 장서는 100만 권에서 200만 권 사이였다. 이들 도서관들이 이러한 장서를 갖출 수 있었던 것은 납본법과 기증, 구입에 의한 것이었다. 장서가 증가하면서 도서관의 시설과 장서관리, 자료조직 분야, 이용 분야에서 변화가 일어났다. 즉 이들 서양 도서관에 나타나는 도서관의 모습은 18세기 이후 유럽 근대화의 흐름에 맞추어 장서가 증가되고 도서관의 시설이 확충되었으며 무엇보다도 이용자 중심의 도서관으로 변모하였다. 궁극적으로 유길준이 『서유견문』을 저술하면서 서양 도서관의 특징을 기술한 것은 지식인들에게 근대도서관의 중요성을 인식시키는 동시에 우리나라에 근대도서관의 설치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도서관 인식에 수용된 문명․개화는 결국 여러 가지 사회적 여건의 성숙과 함께 1906년 근대도서관의 성격을 지닌 경성의 대한도서관과 평양의 대동서관을 설립하는 데 영향을 주었다. 이들 도서관들이 일제에 의해 그 결실을 보지 못하였지만 분명히 근대도서관의 설립에 영향을 준 것은 분명하다. 이 연구는 향후 민간기록의 연구는 물론 문헌정보학, 기록관리학, 서지학, 역사학 분야에 가장 기본적인 연구 성과로 활용될 것이다.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civilization enlightenment and perception and influence of libraries as shown in Yu Kil-chun’s Seoyu Gyeonmun (Observations on Travels in the West). In order to to this, the paper looks into Yu Kil-chun’s life, civilization and enlightenment presented in Seoyu Gyeonmun, libraries introduced in Seoyu Gyeonmun, and the perspective of libraries and their influence. Yu Kil-chun (1856-1914) was born in the 7th year of King Cheoljong’s reign (1856) and lived through the late Joseon period, the Korea Empire and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as a reformist until 1914. He studied in Japan and in the United States. He wrote Seoyu Gyeonmun during his seven-year house arrest following the Gapsin Coup. He was appointed as a minister to the Home Office after the Eulmi Sabyeon occurred on October 8 in the 32nd year of Gojong’s reign (1895), but fled to Japan when the cabinet disbanded after Agwan Pacheon began on February 11 in the first year of Geonyang’s reign. He returned from his exile to Korea on August 16 in the first year of Emperor Yunghui’s reign, and threw himself into the enlightenment movement to bring about progress in Korea. He died on September 30, 1914 at the age of 59. One might say Yu Kil-chun wrote Seoyu Gyeonmun for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understanding of Western culture. Seoyu Gyeonmun is composed of twenty volumes. The nature of civilization enlightenment is shown in the levels of enlightenment described in the latter part of Volume 14. In the particular volume, Yu explains the definition and levels of enlightenment, the method of enlightenment and the difference between actual enlightenment and false enlightenment. Volume 17 introduces the libraries of Western countries. The volume is entitled “Seojeokko” and introduces the Western libraries’ founders and book collection, method of collecting, and library usage system. Yu went on to introduce famous national libraries in the Western world such as the British Library in the United Kingdom, the Imperial Public Library in Russia’s Leningrad, the Richelieu Library in France, the Library of Congress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Berlin State Library in Germany. The Western libraries introduced in Seoyu Gyeonmun around 1885 were advanced modern libraries. Each national library had a collection of one to two million books. These collections were made possible through the legal deposit system, donation and purchase. As the book collection increased, changes occurred in the libraries’ facilities, collection management, data organization field and field usage. That is to say, libraries in the Western world were changing from the 18th century onward with the flow of modernization to increase their collection, expand facilities, and become a user-centered library. Ultimately, Yu’s description in Seoyu Gyeonmun of the characteristics of Western libraries instilled in Korean intellectuals the importance of Western modern libraries and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modern libraries in Korea. The ideas of civilization and enlightenment that were embraced along with the perception of libraries influenced the progress of various social conditions and the establishment in 1906 of Gyeongsong’s Daehan Library and Pyongyang’s Daedong Seogwan, libraries with characteristics of modern libraries. Although the two libraries did not bear fruit because of the Japanese occupation, it is certain that they influenced the establishment of modern libraries in Korea. This study will be used in the future as basic research material in the field of public records as well as those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bibliography and history.

      • KCI등재후보

        근․현대 지역사료 수집, DB 구축 및 공동 활용 - 국가기록원, 국사편찬위원회, 한국학중앙연구원을 중심으로 -

        강순애 한국기록관리학회 2008 한국기록관리학회지 Vol.8 No.2

        This paper deals with the four aspects of the acquisition, construction and common use of modern and post-modern document DB in the NAK, NIKH, and AKS. First, The concept of Korean regional history includes provincial history, local history and regional history and as far as modern and post-modern history is concerned, the concept of regional history is on expansion. Second, National Archives of Korea has been systematically collecting and managing modern and post-modern regional history records in compliance to Public Institutes Records Management Law, enacted in 1999 and currently is in charge of handling public records of 373 central government administration offices, 514 regional government offices, Office of Education, universities and of other public agencies.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is working on a ten year project from 2004 to collect the scattered modern and post-modern regional history records and to classify them regionally and thematically.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has been collecting modern and post-modern regional history records and collection was initiated by Modern History Research. Those records that are collected from 1997 and 2005 are mainly from the liberation period. Third, characteristics of Central Archives Management System and Nara Records Portal System of NAK, Korean History Database System of NIKH and of The AKS’ Korean Provincial Culture Electronic Encyclopedia are elaborated. Fourth, establishing ‘Modern and Post-modern Regional History Records Council’ as an affiliated organization of National Archives Management Committee is recommended, NAK leading the council and promoting further cooperation. In this section, an emphasis on allotted tasks of three institutes in order to achieve technology development for digitalized resource sharing, to improve on contents and to promote public and international use is placed as well. 본 연구는 근․현대 지역사료 수집, DB 구축 및 공동 활용 방안의 네 가지 측면을 다루었다. 첫째, 한국 지역사의 개념은 향토사, 지방사, 지역사 등으로 쓰이는데 근․현대사와 관련해서는 지역사의 개념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둘째, 국가기록원은 1999년에 제정된 공공기관의 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근․현대 지역사료를 체계적으로 수집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현재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및 교육청, 대학, 기타 공공기관의 기록물을 관리하고 있다. 국사편찬위원회는 2004년부터 2010년까지 10개년 계획으로 각 지역에 산재해 있는 근․현대 지역사료를 시군별 자료수집과 더불어 주제별 자료조사도 병행하고 있다. 한국학중앙연구원은 초기에는 현대사연구소를 중심으로 근․현대사 사료를 수집하였다. 1997년부터 2005년까지는 수집된 사료는 해방기를 전후한 자료들이다. 셋째, 국가기록원의 중앙기록관리시스템 및 나라기록포털시스템, 국사편찬위원회의 한국사데이터베이스시스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한국향토문화대전시스템의 특성이 기술되었다. 넷째, 세 기관 사이의 공동협의회의 구성은 국가기록물관리위원회 산하에 ‘근․현대 지역사료 협의회’를 두고, 국가기록원이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각 기관과 연대해 나가며, 근․현대 사료의 디지털화된 자원의 공유를 위한 기술개발, 콘텐츠의 이용과 개선, 공공의 이용과 참여, 국제적인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려면 국가기록원, 국사편찬위원회, 한국학중앙연구원의 분담된 역할이 있어야함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한국 고문헌 정보시스템의 구축 및 전망

        강순애,Kang Soon-Ae 한국문헌정보학회 1997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31 No.4

        본 논문은 고문헌에 적합한 최선의 정보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고문헌의 개념, 특성과 정리현황, 전산화의 범위와 제도적인 장치, 정보시스템의 구축, 시스템의 사례, 평가와 전망 등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고문헌시스템의 구축에 있어서는 국립중앙도서관을 중심으로 하여 정보전산망을 형성하고, 그에 따라 목록정보, 해제, 원은, 검색정보시스템의 통합시스템을 구축하는 방향으로 전개하였다. 사례분석에서는 현재 디지털시스템으로 구축하고 있는 국립중앙도서관고문헌시스템과 자체적으로 DB를 개발하여 공용정보로 활용하고 있는 성균관대학교 고문헌정보시스템을 비교 평가하였으며. 고문헌시스템을 구축하려는 도서관에는 전체적인 지침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the matters to plan the best information systems in Korean old books. It analyzes: i) a range of definition of old books, ii) its characteristics and current state of processing the old documents, iii) the scope of automation and building up the library institution, iv) the construction of Korean old books Information systems, v) its case study, and vi) the evaluation and vision of system. The old document information system have been organized on the basis of library networks systems with the National Central Library as leader, its implemented system has the subsystem such as cataloging system, annotation system, full-text or image-based system, and retrieval system. In case study, it is suggested two examples which has been built in the National Central Library and Sung Kyun Kwan university. finally, it provides the evaluation criteria and vision for the library which designs the old document information syst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