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CIA-Level 기반 보안내재화 개발 프레임워크

        강수영,김승주 한국정보보호학회 2020 정보보호학회논문지 Vol.30 No.5

        From the early 1970s, the US government began to recognize that penetration testing could not assure the security quality of products. Results of penetration testing such as identified vulnerabilities and faults can be varied depending on the capabilities of the team. In other words none of penetration team can assure that “vulnerabilities are not found” is not equal to “product does not have any vulnerabilities”. So the U.S. government realized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security quality of products, the development process itself should be managed systematically and strictly. Therefore, the US government began to publish various standards related to the development methodology and evaluation procurement system embedding “security-by-design” concept from the 1980s. Security-by-design means reducing product’s complexity by considering security from the initial phase of development lifecycle such as the product requirements analysis and design phase to achieve trustworthiness of product ultimately. Since then, the security-by-design concept has been spread to the private sector since 2002 in the name of Secure SDLC by Microsoft and IBM, and is currently being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automotive and advanced weapon systems. However, the problem is that it is not easy to implement in the actual field because the standard or guidelines related to Secure SDLC contain only abstract and declarative contents.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new framework in order to specify the level of Secure SDLC desired by enterprises. Our proposed CIA (functional Correctness, safety Integrity, security Assurance)-level-based security-by-design framework combines the evidence-based security approach with the existing Secure SDLC. Using our methodology, first we can quantitatively show gap of Secure SDLC process level between competitor and the company. Second, it is very useful when you want to build Secure SDLC in the actual field because you can easily derive detailed activities and documents to build the desired level of Secure SDLC. 미국 정부는 1970년대 초반부터 모의해킹만으로는 제품의 보안 품질을 향상시킬 수 없다는 것을 인지하기 시작하였다. 모의해킹팀의 역량에 따라 찾을 수 있는 취약점이 달라지며, 취약점이 발견되지 않았다고 해서 해당 제품에취약점이 없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제품의 보안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결국 개발 프로세스 자체가 체계적이고 엄격하게 관리되어야 함을 깨달은 미국 정부는 1980년대부터 보안내재화(Security by Design) 개발 방법론및 평가 조달 체계와 관련한 각종 표준을 발표하기 시작한다. 보안내재화란 제품의 요구사항 분석 및 설계 단계에서부터 일찍 보안을 고려함으로써 제품의 복잡도(complexity)를 감소시키고, 궁극적으로는 제품의 신뢰성(trustworthy)을 달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후 이러한 보안내재화 철학은 Microsoft 및 IBM에 의해 SecureSDLC라는 이름으로 2002년부터 민간에 본격적으로 전파되기 시작하였으며, 현재는 자동차 및 첨단 무기 체계 등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문제는 현재 공개되어 있는 Secure SDLC 관련 표준이나 가이드라인들이매우 일반적이고 선언적인 내용들만을 담고 있기 때문에 이를 실제 현장에서 구현하기란 쉽지 않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우리는 Secure SDLC를 기업체가 원하는 수준에 맞게 구체화시키는 방법론에 대해 제시한다. 우리가 제안하는 CIA(functional Correctness, safety Integrity, security Assurance)-Level 기반 보안내재화 프레임워크는 기존 Secure SDLC에 증거 기반 보안 방법론(evidence-based security approach)을 접목한것으로, 우리의 방법론을 이용할 경우 첫째 경쟁사와 자사간의 Secure SDLC 프로세스의 수준 차이를 정량적으로분석할 수 있으며, 둘째 원하는 수준의 Secure SDLC를 구축하는데 필요한 상세한 세부 활동 및 산출해야 할 문서 등을 쉽게 도출할 수 있으므로 실제 현장에서 Secure SDLC를 구축하고자 할 때 매우 유용하다.

      • KCI등재

        포항지역 HVSR에 의한 기반암 심도와 단층 식별 연구

        강수영,김광희 한국지구과학회 2022 한국지구과학회지 Vol.43 No.1

        지하의 단층들이 지표면까지 도달하지 못하면 단층의 유무를 인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HVSR 분석법으로 지표면 아래 단층의 존재를 판별할 수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포항분지 흥해지역 동편의 곡강단층을 통과하는 지역을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교차하는 두개의 측선에서 조밀하게 관측한 배경잡음으로 HVSR 분석을 통해 공명주파수를산정하였다. 연구지역 내 시추 자료의 기반암 깊이 정보와 시추 지역의 공명주파수를 이용해 상관식을 도출한 후 두측선에서의 공명주파수를 상관식에 적용해 기반암 심도를 산출하였다. HVSR 분석 결과 두 측선에서 기반암 심도가 급격히 변하는 곳이 있다. 특히 곡강단층 인근에서 공명주파수가 급격히 변화하였고, 기존에 알려진 단층이 없는 지역에서도 공명주파수와 기반암 심도가 급격히 변화하는 곳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형상은 이전에 알려지지 않은 blind fault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지표면에서 인식하지 못하는 단층을 식별하기 위한 HVSR 방법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Some deep faults do not reach the ground surface and are seldom recognized. Gokgang Fault area in the east of the Heunghae area of the Pohang basin has been selected to confirm the feasibility of the Horizontal-to-Vertical Spectral Ratio (HVSR) approach to identify blind faults. Densely spaced microtremor data have been acquired along two lines in the study area and processed to obtain resonance frequencies. An empir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resonance frequency and the bedrock depth was proposed using borehole data available in the study area. Resonance frequencies along two lines were then converted to bedrock depths. The resulting depth profiles show significant lateral variations in the bedrock depth. As expected, considerable variation in the resonance frequency is observed near the Gokgang fault. The depth profiles also present additional significant variations in the resonance frequencies and the bedrock depths. The feature is presumably related to a blind fault that is previously unknown. Therefore, this case study confirms the feasibility of the HVSR technique to identify faults otherwise not recognized on the surface.

      • KCI등재
      • 제주지역 성인소비자의 소비자교육에 대한 태도 및 필요성 인식에 관한 연구

        강수영,김정숙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08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4 No.3

        이 연구는 성인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소비자교육에 대한 일반적인 견해를 살펴보고 소비자교육에 대한 태도와 필요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제주에 거주하는 20세이상 60세미만의 성인소비자들이며 413부가 분석에 이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PSS Wi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되었으며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내적일관성법, t 검증, 일원분산분석, Duncan의 다중범위검증 등의 분석방법이 이용되었다.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지식이 부족하거나 소비자기능 수준이 낮아 적극적으로 소비자피해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어 성인소비자교육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성인소비자들은 가정과 가까운 곳에서 평일 오후에 시청각 방법을 통하여 30분에서 1시간미만으로 무료로 민간소비자단체에서 일하는 사람으로부터 소비자교육을 받기를 선호하고 있으며, 소비자교육내용에 있어서는 실생활에 직접 도움이 되는 세금혜택, 불만보상, 식품안전, 시장정보 등에 대하여 관심이 많다. 둘째, 성별, 학력, 거주 지역, 컴퓨터 소유, 본인 및 배우자 직업 등은 소비자교육에 대한 태도 및 소비자교육의 필요성 인식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월평균 가계소득 및 소비지출은 소비자교육에 대한 태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소비자교육의 필요성 인식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셋째, 소비자피해경험과 소비자교육경험이 소비자교육에 대하여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게 하고 소비자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도록 하고 있다. 소비자피해 경험이 있는 소비자들이 피해경험이 없는 소비자들보다, 소비자교육을 받은 소비자들이 소비자교육을 받지 않은 소비자들보다 소비자교육에 대한 태도와 필요성 인식 수준이 높았다. 넷째, 소비자능력이 높은 소비자들이 소비자교육에 대하여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으며 소비자교육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다. 소비자지식, 소비자태도, 소비자기능이 높은 집단이 소비자교육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었으며 소비자교육의 필요성을 더욱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제주지역 성인소비자를 중심으로 하였기 때문에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나 성인소비자를 대상으로 소비자교육 계획을 수립하거나 소비자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할 경우에 기초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iews of consumer education, and to investigate factors related to consumer education attitude and awareness of the need for consumer education of adult consumers.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completed by 413 consumers living in Jeju Province. The respondents were between the ages of 20 to 60 years old. The SPSS Win Program Package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ies, percentage, mean, stand deviation, t-test, one-way ANOVA,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The analyzed result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47.7% of respondents have experienced consumer problems, 59.9% of the 47.7% did not resolve the problems. 81.6 % of respondents have not participated in any consumer education program. Second, gender, age, education, residence, computer and job have significant effects on consumer education attitude and awareness of the need for consumer education of adult consumers. 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 have significant effects on awareness of the need for consumer education of adult consumers. Third, experiences of consumer education and consumer problem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consumer education attitude and awareness of the need for consumer education of adult consumers. Consumer competency have significant effects on consumer education attitude and awareness of the need for consumer education of adult consumers.

      • KCI등재

        일-생활 균형과 일탈행동 경로에서 다중매개 효과

        강수영,강영순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5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test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job-efficacy and resiliance in the links between work-life balance (WLB) and deviant behavior. The date applied in empirical analysis was collected from employees working at Jeju island and 400 sets of questionnaires were spread and among collected 355 sets, 298 sets were used. Hypotheses was examined with SPSS Macro statistical package. As expected, WLB was positively related to job-efficacy and resiliance respectively and negatively associated with deviant behaivor. Moreover, mediating effects of both variables was different, in detail, job-efficacy was fully mediated in that path but not significant in case of resiliance. Findings of this study was to expand the roles of WLB from productive behaviors to counter-productive behaviors and it enables to provide a few theoretical and empirical implications. 본 연구는 일과 생활 균형의 일탈행동에 대한 영향력 관계에서 직무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의 다중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실증연구를 위한 자료는 제주지역에 근무하는 기업 근로자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수집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동일방법편의를 최소화하기 위해 쌍으로 구성된 총 400쌍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355부를 회수하여 불성실하게 응답한 57부를 제외하고 총 298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한 과정은 SPSS Macro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다중 매개효과를 검증하였으며, 연구자들의 예상과 같이 일과 생활 균형은 직무효능감과 회복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력이 확인되었고, 일탈행동에는 저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더불어 양자관계에서 다중매개 효과는 직무효능감은 완전 매개효과가 확인되었으나 회복탄력성은 양자관계를 연결하는 주요 매개변수로의 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기존연구에서 주목받고 있는 일과 삶의 균형을 개인 차원에서 발생하는 생산적 행동에 대한 긍정적 역할의 범주를 넘어 이를 반생산적 행동으로 연구 범주를 확대하고 그 역할에 대한 의미 있는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안하고 있다.

      • 현대불어의 연음현상 : 위치와 기능을 중심으로

        강수영 부산대학교 어학연구소 1987 언어연구 Vol.- No.10

        L'une des caracteristiques remarquables du francais est sans aucun doute la liaison. On peut definir celle-ci, comme la presence, entre deux mots en contact immediat dans la sequence sonore, d'une consonne qui n'apparait pas necessairement, dans d'autres contextes, derriere le premier ou devant le second. Le but de cette etude est de chercher les contextes ou la liaison a pparait et les fonctions de la liaison. D'abord nous avons compare brievement la Regle de Troncation de Schane et la Regle d'Epenthese de Klausenburger qui discutent la source de la consonne de liaison. Ensuite, nous avons cherche le contexte de la liaison. Trois theses lexicale, syntaxique, rythmique sont examinees. Le lien syntaxique etroit entre les deux mots consecutives est le facteur le plus important qui determine le contexte de la liaison. Finalement, les fonctions de la liaison sont discutees. A la lumiere de la tendance a ne pas eviter les hiatus, il parait peu raisonnable de chercher, dans une pretendue allergie des francais a l'hiatus, la raison d'etre profonde de la liaison. Meme qu'il existe en francais une certaine preference pour la structure CVCV, cela ne suffit pas encore a justifier l'existence de la laison. Mais, beaucoup d'exemples montrent que les consonnes de liaison out une role morphologique.

      • KCI등재후보

        첫음절 schwa 유지의 요인 분석

        강수영 한국 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03 프랑스어문교육 Vol.15 No.-

        A l'oppose´ des descriptions traditionelles selon lesquelles le maintien d'un schwa franc¸ais pre´ ce´ de´ d'une seule consonne est tre`s rarement obligatoire, des linguistes travaillant dans une optique ge´ ne´ rative ont attire´ l'attention sur le fait que le schwa est en train de se stabiliser en syllabe initiale. Mais, notre analyse sur des e´ tudes pre´ ce´ dentes ne permet pas de de´ terminer avec certitude que la stabilisation est en cours. Donc, nous avons examine´ les facteurs qui inciterait au maintien ge´ ne´ ral du schwa dans cette position. Ceux qui ont traite´ la stabilisation du schwa ont tous e´ te´ intrigue´ s par les grandes variations lexicales: le maintien fre´ quent ou me^me obligatoire dans certains mots et la chute fre´ quente dans d'autres. D'abord, nous avons trouve´ que ces variations s'expliquent en partie par la fre´ quence du mot, les mots fre´ quents perdant plus souvent leur schwa que les autres. Puis, un facteur morphologique vient s'y ajouter. Certains morphe`mes favorisent le maintien du schwa. Par exemple, les mots en 're-' ont un taux de maintien du schwa plus e´ leve´ que les autres mots. Mais, ici, la fre´ quence exerce une influence. Les mots tre`s rares avec 're-' gardent leurs schwas plus souvent que les mots fre´ quents sans 're-'. Les deux facteurs sont imbrique´ s. Ensuite, la relation articulatoire entre les consonnes qui entourent le schwa joue e´ galement un ro^le. Mais la re`gle :'Plus la premie`re consonne est faible par rapport a` la seconde, plus l'e-muet est instable' ou l'approche qui consiste a` examiner la structure syllabique n'explique pas la prononciation du schwa dans certains mots. Finalement, quelques indications dans l'exercice de lecture ou les corpus obtenus des professionnels de la parole publique nous forcent a`une certaine prudence: le processus de stabilisation du schwa pourrait concerner un registre formel, et e´ ventuellement des locuteurs qui se servent souvent de ce regist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