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별 대화 진행 방식 : 말 끼어들기(말 끼어들기 이후)를 중심으로

        강소영 이화어문학회 2022 이화어문논집 Vol.56 No.-

        기존의 말 끼어들기 연구는 ‘끼어드는 행위가 현행화자에게 우호적’인지의 여부가 주요 관심사였다. 따라서 말 끼어들기 이후를 연구한 이도 많지 않고 이를 구체적으로 유형화해서 살피는 이도 많지 않다. 그러나 말 끼어들기 이후 현행화자가 말차례를 지속하는 것과 후행화자에게 말차 례를 넘기는 것은 현행화자의 주도권에서 차이를 가진다. 본고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말 끼어들기와 말 끼어들기 이후의 유형분류 그리고 이에 게재된 성별 차이에 대해 살피었다. 그리고 후행화자의 말 끼어들기가 효율적으로 수행된 지점에서의 성별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우호적 말 끼어들기에서 여성은 친밀감 증진을, 남성은 화제지속 및 발전의 끼어들기를 자주 사용하고 있어 여성의 공감적 대화방식과 남성의 화제주도적 대화방식을 읽을 수 있었다. 그리고 말 끼어들기 이후 현행화자의 말차례 지속과 완료를 조사한 결과에서 현행화자의 지속은 여성이 다소 높은 분포를, 후행화자의 지속은 남성이 다소 높은 분포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말차례를 가져오는 효과적인 지점인 추이용이지점에서의 말 끼어들기는 성별과 상관없이 자주 나타나 성차가 극복되는 경향을 보였지만, 이 역시도 선호반응은 여성이, 화제지속 및 발전은 남성이 다소 높은 결과를 보이었다. 지금까지 우호적 말 끼어들기와 말 끼어들기 이후의 세부의미기능별 분포현황을 검토한 결과, 친밀감 증진이나 선호반응처럼 청자지향적인 의미기능은 여성에게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었고, 화제지속 및 발전처럼 화제주도적인 의미기능은 남성에게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었다. 이를 통해 기존의 성별 대화진행방식 즉, 여성의 유대감에 근거한 협동적 대화와 남성의 대화를 주도하는 경쟁적 대화진행방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types of interruption and after the interruption, and gender differences inherent therein. It found that, in favorable interruption, women often used intimacy, and men often used continuing and developing topics, so it was possible to read women's empathetic dialogue and men's topic-led dialogue. In addition, the results of investigating the continuation and completion of the current speaker's turn after interrupting confirmed that the continuation of the current speaker was somewhat higher for women and the continuation of the latter speaker for men. Also, interrupting at a transition easy point, an effective point of bringing about turn-taking, often appeared regardless of gender, showing a tendency to overcome gender differences, but this also showed a rather high preference of responses for women and continuing and developing topics for men.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existing gender dialogue method, that is: women’s cooperative dialogue based on bonds and men’s competitive dialogue method that leads the dialogue.

      • KCI등재

        성(性)과 말 끼어들기와의 관계

        강소영 이화어문학회 2018 이화어문논집 Vol.45 No.-

        본고는 말 끼어들기의 세부적 의미기능을 나누어 이의 사용실태를 오락프로그램을 대상으로 조사, 분석해 보았다. 말 끼어들기는 남성의 공격적 대화방식을 보여주는 사례로 정리되었는바, 본고는 기존의 말 끼어들기를 둘러싼 남녀의 성차적 특징이 재해석될 여지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1) 대중매체에서 남녀의 대화방식을 가장 잘 보여줄 수 있는 토크쇼 형식의 프로그램 3편을 선정하여 (2) 말 끼어들기로 인한 말 겹침 장면만을 모아 현재 화자에게 우호적이었는지, 비우호적이었는지를 분석하고 (3) 그 분포가 성차에 따라 달리 나타나는지를 비교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여성은 우호적 말 끼어들기를 좀 더 자주 사용하고 있었으며, 특히 화제의 흐름에 관여하기보다는 상대방과의 정서적 교류, 연대감을 살리는 말 끼어들기를 자주 사용함을 보이었다. 그러나 혼성 출연자가 나온 프로그램에서 여성은 우호적 말 끼어들기만이 아니라 비우호적 말 끼어들기에도 적극적으로 임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이는 이성만이 아니라 동성과의 말차례에도 동일하게 목격되어, 언제 어디서나 대화의 주도권을 놓치지 않으려는 모습을 보이었다. 또한 남성은 선행연구결과와 같이 동성보다는 이성의 말차례에 자주 개입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우호적 말 끼어들기를 자주 행하거나 혼성으로 구성된 경우 여성보다 말 끼어들기를 적게 행하는 등 기존에 남성의 힘에 근거한 지배적, 공격적 대화 진행방식과는 다소 다른 면모가 발견되기도 하였다. 이를 토대로 본고는 남성과 여성의 대화진행방식은 조금씩 변모하고 있고 성차에 구별 없이 동일하게 변해가는 중이라는 결론에 이르렀다. This study attempts to divide the detailed meaning function of interventions and explore and analyze the reality of use in entertainment programs. As spoken intervention has been seen as an example of men’s aggressive dialogu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room for reinterpretation of characteristics of sexual disparity between men and women over existing interventions. For the study three talk show programs were selected to effectively demonstrate how men and women interact with each other in the media. Interruption scenes caused by intervention were collected from these programs and analyzed to see whether they were friendly or unfavorable to the present speaker, then analysis was conducted regarding whether the distribution was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Women were found to be more likely to use favorable interventions, and rather than engaging in the flow of topics, they were often seen to use interventions to improve emotional communication and solidarity with others. However, in the program featuring a mix of genders, women showed an active attitude, not only to favorable intervention but also to unfavorable intervention. This was witnessed not only with male performers but also with other female performers, showing that they were more aggressive and actively involved in the conversation. Males intervened more favorably in with women than with men, as already shown in previous research results, however, as males less frequently intervene than females, favorable interventions are frequently composed of males and females, somewhat differing with the ideas of dominant and aggressive ways of conversing based on men trying to assert pow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eem to show that the way men and women converse is gradually changing and it is changing equally, regardless of gender difference.

      • KCI등재

        설화를 활용한 외국인 유학생 대상 인성교육 방안 연구 - <반쪽이> 설화를 중심으로

        강소영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2 리터러시 연구 Vol.1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a practical teaching-learning method for personality education using folktales for foreign students who are enrolled in degree programs in universities. For this purpose, this paper reviewed the value of personality education using the legend of “Banjjoki” established the goals of personality education, and organized the contents of the third class according to the stage of “recognition-reflection-action.” Above all, personality education allows the design of effective class content that centers on activities that offer opportunities to talk and think about social and ethical joint issues in terms of providing opportunities for experience. The story of “Banjjoki” has an interesting narrative in which the protagonist with a disability shows a heroic aspect. Based on the improvement in “disability” awareness, which should be noted in personality education, the story can serve as a useful educational material for learning various topic such as forming relationships and cultivating relationships with minorities. Moreover, the story of “Banjjoki” which depicts a deformed character with one arm and one leg, is not restricted to Korea, but has the characteristics of photolithography transmitted from throughout the world beyond restrictions of time and space. Using folktales is effective in that it allows foreign students to learn the perception of “disability” in a friendly way and enables in-depth activities tha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from the perspective of comparative literature.

      • KCI등재
      • KCI등재

        춘천 중도 유적에서 출토된 원삼국시대 토기 탄착물에 대한 화학적 분석

        강소영,지상현,김윤지,장홍선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13 보존과학회지 Vol.29 No.4

        춘천 중도 유적에서 출토된 원삼국시대 경질무문토기 내부의 탄화된 물질에 대한 화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스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과 퓨리에변환적외선분광분석을 이용하여 부착물에서 유래한 유기물의 정성분석을 수행한 결과, 지방산, 스테롤 등 지방 성분이 검출되지 않았다. 탄소와 질소 안정동위원소 분석 결과 부착물을 구성하고 있는 탄소 안정동위원소 비는 평균 -14.7±2.8‰ (-8.7‰~-18.4‰, n=9), 질소 안정동위원소 비는 평균 6.2±1.1‰(-4.4‰~-7.6‰, n=9)로 나타났는데 이 결과는 부착물이 조리된 음식물에서 유래되었음을 추정할 수 있는 과학적 근거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는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조리용 토기 내 탄화된 잔존물 분석에 적용한 국내 첫 사례로서 당시의 토기 용도와 식생활 습관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공시적인 문법화 과정 연구

        강소영 이화어문학회 2005 이화어문논집 Vol.2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grammaticalization in Korean by examining synchronously the grammaticalization process of nouns and verbs. First, I define grammaticalization as the process whereby lexical items and constructions come in certain linguistic contexts to serve grammatical functions(Hopper&Traugott 1993). Second, I set up 'inseparably linked → coherent' grammaticalization process and examine grammaticalization process of nouns and verbs based on their tyntactic and semantic freatures, that is '-ki maryeonita, -un mayangita → '-ul theoida' in nouns, and '-eo bota → -eo gajigo' in verbs.

      • KCI등재

        기타오지 로산진(北大路魯山人) ‘용(用)’과 ‘아(雅)’의 미학 - 야나기 무네요시의 민예론 비판을 통해 -

        강소영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016 일본사상 Vol.0 No.30

        본고는 기타오지 로산진(北大路魯山人) 미학 속의 ‘용(用)’과 ‘아(雅)’에 대하여, 그가 야나기 무네요시(柳宗悦)의 민예론을 비판했던 잡지 『호시가오카(星岡)』의 기사와 두 사람의 ‘미(美)’에 관한 문장을 통해서 고찰한 것이다. 로산진은 민예론이 죠테모노(上手物)의 미는 배제하고 있는 점, 각 계층과 계급에 따라서 ‘용’이 달라진다는 것을 모순으로 지적했다. 야나기의 민예론이 ‘오리엔탈리즘의 복잡한 문화정치학 속에서 창조된 혼종적이고 근대적인 산물’이기 때문에 로산진이 지적한 모순은 합당한 것이었다. 그러나, ‘요리의 기모노’로서 도자기를 제작했던 로산진은, 실은 ‘용의 미’라고 하는 민예론의 핵심을 감각적으로 이해하고 실천한 창작자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로산진과 야나기는 모두 조선의 미에 대한 개안에서 출발하여, 일본이 국수주의화되면서, 야나기는 민예론으로 심화되고, 로산진은 ‘아미(雅美)’의 세계로 ‘일본미’를 전략적으로 ‘창조’해 나갔다. 이렇듯 내셔널리즘은 일반적으로 미학적인 의식 위에 성립하는 것이다. 미학적인 관점을 우위에 두는 것으로 일본의 우월성을 증명하기 위해, 동양의 타자로서 조선의 ‘미’는 ‘발견’되고 ‘해석’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In this paper, It will be discussed that the "Use" and "Grace" in the art of Rosanjin Kitaoji through the text on "beauty" of the article and both the magazine "Hoshigaoka" that had criticized the Mingei(folkcraft) theory of Muneyoshi Yanagi. Rosanjin pointed out the contradiction that Mingei theory excluded the beauty of good material and "Use" will be different by the hierarchy and class. Since Mingei theory of Yanagi is “a hybrid modern product that was created from the complex cultural politics of Orientalism", contradictions Rosanjin pointed out was justified. However, Rosanjin who was making beautiful pottery as "kimono of cuisine" could be called, in fact, as the creator that understood and practiced "the beauty of use", the heart of the Mingei theory. Rosanjin and Yanagi are starting from eye-opening to both Korean beauty. As Japan went to nationalism, Yanagi got to the deepening of the Mingei theory and Rosanjin began to “create” the "Japanese beauty" as "Grace" strategically. In this way, nationalism is to hold on top of the general aesthetic consciousness. In order to prove the Japanese superiority by placing advantage of the aesthetic point of view, It can be said that the "beauty" of Korea as others of the East was "discovered" and "interpre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