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노인장기요양시설의 서비스 이용자와 제공자의 존엄케어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강성자(Sung-Ja, Kang) 한국복지실천학회 2018 한국복지실천학회지 Vol.9 No.1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시설의 존엄케어 활성화방안을 위한 서비스 이용자와 제공자의 존엄케어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로서 현대의 우리 사회의 노인장기요양시설의 사실화된 현주소를 밝히고, 왜곡된 케어방식을 분석하는 동시에 노인에게 존엄한 삶과 죽음으로 준비 할 수 있는 구체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6년 03월 연구계획 수립부터 2017년 11월까지 총 21개월간 진행되었다. 전체의 과정을 크게 둘러보면 계획, 실행, 결과의 단계로 구분하여 각 단계별 유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본질에 맞게 비존엄케어와 존엄케어의 비교체험을 한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기 위하여 제공 및 이용경험의 2년 이상 이란 경험치를 설정해 두고 이에 따라 현 서울에 있는 노인장기요양시설 중 존엄케어 서비스 방식을 도임 및 제공한 연구 참여자를 최종 선정하였다. 우리 모두가 직업에 대한 자긍심을 가지고 자랑 할 수 있는 전문가 인 것이다. 이에 노인의 존엄을 유지하기 위한 종사자들의 케어 조건을 제시해 둔다. 첫째, 시설 종사자의 노인학대예방교육 강화이다. 둘째, 노인장기요양시설 취업 시 인성교육 의무화이다. 셋째, 노인장기요양시설 전 직업군에 치매전문교육을 법정의무화이다. 넷째, 노인의 와상으로의 진행을 늦추는 재활프로그램 제공이다. 본 논문은 현대의 우리 사회의 노인장기요양시설의 현주소를 밝히고, 왜곡된 케어방식을 분석하는 동시에 노인에게 존엄한 삶과 죽음으로 준비할 수 있는 구체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veil the actualized present condition of the elderly care service facility of our society today through a qualitative study of long-term care service for the elderly service providers and users’ dignity care experience for the activation plan of dignity care in long-term care service facility, thereby analyzing the distorted care methods, as well as seeking specific measures to prepare the elderly with life and death in dignity. For this, the study was carried out for 16 months beginning with research plan establishment in June 2016, ending in October 2017. All procedures were divided into planning, execution, and result, making each step to organically link to one another. In order to follow the nature of the study, an experience parameter of 2 or more years of provision or usage was set to select study participants who have had a comparative experience in non-dignity care and dignity care, thereby listing out the final selection of study participants who introduced and provided the dignity care service method in the long-term care service facility located in Seoul. We all are specialists able to pride in our job. Hence, suggested are the care conditions of the staff to maintain the dignity of the elderly. First, the elder abuse prevention education consolidation of the facility staff. Second, the obligation of personality education when employed in the elderly care facility. Third, the legal obligation of specialized education of Alzheimer’s disease in all occupational clusters in the elderly care facility. Fourth, a provision of a rehabilitation program that helps delay the process of the elderly being confined to bed. I hope that the elderly care facilities in Korea will bring about a great driving force even as to transform the culture of death through dignity care, so that the elderly may finish their lives beautifully, keeping the dignity as human being.
강성자(Kang Sung Ja) 한국복지실천학회 2017 한국복지실천학회지 Vol.8 No.1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시설에 입소하여 생활·의료·일상생활서비스를 제공받으려는 노인 수요의 증가, 이를 반영하여 노인장기요양시설 공급이 확대되는 시점에서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의 매개적 역할로 인하여 노인의 우울정도가 개선될 수 있는지를 실증적 연구를 통해 살펴보고자, 서울지역 노인요양시설, 노인전문병원, 노인그룹홈의 노인장기요양시설 등 총 6곳에 입소하여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이용자 192명을 대상으로 노인장기요양서비스 질에 대한 자기인식요인이 자기효능감의 정도에 따라 우울의 정도가 얼마나 변화하는가에 대하여 4단계의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노인장기요양시설에 입소하여 생활하는 노인들이 인식하고 있는 서비스 질 정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의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입소 노인에게 제공되는 서비스 질은 우울과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와 일치함으로 확인할 수 있었음에 따라 개별화된 공간, 친숙한 환경, 안전한 공간, 인간의 존엄성이 유지되는 공간, 자유로운 표현을 할 수 있는 공간, 직원과의 신뢰관계를 유지할수 있는 공간, 노인이 좋아하는 색채 등의 노인시설에 적합한 유니버설디자인 적용 등의 서비스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안 및 개발이 요구된다고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elderly people s depression level can be improved by a mediating role of self-efficacy targeting users of the long-term care facilities through empirical research at the point of time that the supply of the long-term care facilities is expanded by reflecting this along with a rise in number of elderly people who try to be offered health care services and several care services by entering the long-term care facilities. Accordingly, the empirical analysis was made on how much the depression level is changed depending on self-efficacy level as for self-awareness factor on quality of the long-term care service by using 4-step regression analysis targeting 192 users who are being offered services by entering 6 long-term 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care facilities, geriatrics hospital, and elderly group home in Seoul area. As a result of analysis, in the influence upon depression in service quality level that is recognized by elderly people who are living by entering the long-term care facilities, the self-efficacy can be analyzed to have a mediating effect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ervice quality for elderly people who are admitted to the long-term care facilities) and independent variable(depression) owing to a mediating role of self-efficacy, and is analyze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meantime, it could be confirmed to be consistent with a prior research as saying that the quality of service, which is offered to the admitted elderly, has influence upon depression and self-efficacy. Hence, the operating institutions and employees of the long-term care facilities are expected to be likely to be necessarily changed the facilities and improved environment in order to possibly increase participants satisfaction with the facility environment service.
전후방 투영법으로 획득한 정모두부방사선사진에서의 계측점 설정 재현도 평가
이서현(Seohyun Lee),강성자(Sung-Ja Kang),임선영(Sun-Young Lim),조진형(Jin-Hyoung Cho)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9
본 연구는 디지털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전후방 정모두부방사선사진에서의 계측점 설정 오차를 살펴보는 한편 이를 후전방 사진에서와 비교함으로써 임상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성인 20명을 대상으로 전후방 및 후전방 정모두부방사선규격사진을 디지털 방식으로 채득한 후 각 영상에서 6개(Cg, ANS, Me, Lo, J, Ag)의 계측점을 5명의 조사자가 설정하는 한편 이중 한 명의 조사자는 2주후에 재설정을 하게 하였다. 조사자내 산포도, 조사자간 산포도를 작성하였으며, 전후방 사진에서의 오차를 후전방 사진에서의 오차와 정량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전후방 정모두부방사선사진에서의 계측점 설정 오차 발생 양상을 살펴보기 위하여 산포도를 작성한 결과 Crista galli, ANS는 수직 방향으로, Menton은 수평방향으로 그리고 Antegonion은 사선 방향의 오차를 보였다. 2. 조사자내 오차보다는 조사자간 오차가 다소 큰 경향을 보였다. 3. 전후방 정모두부방사선사진에서의 계측점 설정 오차를 후전방 사진에서와 정량적으로 비교한 결과 조사자내 조사자간 오차 관계없이 어느 계측점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전후방 정 모두부방사선사진에서의 계측점 설정 오차를 후전방 사진과 비교시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경우에도, 조사자내 조사자간 오차 관계없이 모든 계측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구 결과 디지털 전후방 정모두부방사선사진의 계측점 설정 재현도가 후전방 사진에 비해 떨어지지 않으므로 임상에서 전후방 정모두부방사선규격사진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함을 시사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reproducibility of the landmark identification in frontal cephalograms obtained with anteroposterior (AP) projection by comparing the errors in the AP cephalograms with those in the posteroanterior (PA) cephalograms. A couple of frontal cephalograms, one with AP projection and another with PA projection, were obtained in 20 adult individuals using a digital cephalometer. Five examiners identified 6 landmarks (Cg, ANS, Me, Lo, J, Ag) on the monitor-displayed radiographs. In order to assess the intra-examiner errors, the landmarks were identified twice with two weeks of time interval by one of the examiners. The intra- and inter-examiner landmark identification errors in AP cephalograms were evaluated, and compared with those in PA cephalograms. 1. Scattergrams illustrating the errors of landmark identification in frontal cephalograms obtained with AP projection showed characteristic noncircular envelope of error in both intra- and inter-examiner scattergrams. Crista galli and ANS showed vertical direction errors. Menton and Antegonion showed hirizontal and oblique direction errors respectively. 2. Inter-examiner landmark identification errors were significantly larger than intra-examiner error. 3. Comparing the errors of AP cephalograms with those of PA cephalograms, none of landmarks were show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image modalities. 4. Analyzing landmark identification errors into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 all landmarks were present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propose that frontal cephalograms obtained with AP projection may be used clinically with the same landmark identification reproducibility as the conventional PA proje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