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LMA 분석을 통한 강선영류 태평무의 움직임 특성 연구

        강성범,김현주 한국무용기록학회 2007 무용역사기록학 Vol.12 No.-

        이 연구는 루돌프 폰 라반(Rudolf von Laban; 1879-1958)의 움직임 분석체계(LMA)를 통해 한국 전통춤 중 한성준 옹에 의해 무대춤으로 구성되어 강선영에 의해 전수되고 있는 중요무형문화재 제 92호 <태평무>를 장단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것으로, 문예진흥원에 소재하고 있는 1989년 제11회 대한민국 무용제에서 강선영 본인이 춤 춘(13분 길이) 비디오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태평무의 각 과장별 움직임의 특질을 살펴 본 결과 먼저 신체적 측면(Body)에서는 모든 과장에서 머리에서 미골 뒤꿈치로의 연결과 오른손에서 왼손으로의 연결된 신체의 동적 정렬(Dynamic Alignment)을 유지하고 있다. 터벌림의 과장에서부터는 상체가 우묵한 쉐입(Hollowing Shape Flow)이 보이며 이것은 살풀이장단으로 들어가며 더욱 강하게 표현된다. 움직임의 연결방식(Sequence)에서 터벌림은 연속 순차적 연결 방식(Successive Sequence)이 자주 보이고, 살풀이 춤에서는 동시 순차적 연결 방식(Simultaneous Sequence)이 자주 나타나고 있다. 에포트의 분석을 통해서 보면 모든 과장이 유동적 상태(Mobile State: Flow&Time)의 에포트 조합과 열정 충동(Passion Drive: Flow&Time&Weight) 에포트 조합을 사용하고 있으며 그 안에서 다양한 에포트 요소들의 조합을 통하여 각 과장의 움직임 특성을 표현하고 있다. 이러한 점으로 볼 때 태평무의 움직임 무드는 각 과장 별로 장단이 변하여도 그 맥은 하나로 통일되고 있다고 하겠다. 공간(Space)의 사용은 다리의 움직임이 주가 되는 낙궁 장단의 움직임과 올림채 장단의 움직임은 이차원공간(Plane)이 강조되고 있고, 팔의 움직임이 강조되는 터벌림 장단의 움직임과 살풀이장단의 움직임에서는 삼차원 공간(Diagonal)이 강조되고 있다. 태평무의 춤의 무드를 유지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점은 춤의 도입에서 마무리까지 무용수가 쉐이핑(Shaping)의 형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다리의 움직임과 팔의 움직임을 할 때에도 신체 부분부분의 움직임으로 보이기보다는 신체가 하나의 단위로 느껴지며 쉐이핑의 느낌이 강조되고 있다. 분석 결과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우리 전통춤은 약간의 즉흥이 포함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전수 과정에 있어서도 움직임의 형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전해지고 있다. 하지만 그 움직임이 가지고 있는 질적인 부분과 무드는 계속 유지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 연구에서 시도한 한국 전통춤의 움직임 특질 분석 연구는 춤에 대한 학문적 이론화를 목적으로 하는 것뿐만 아니라 춤의 전수자나 이를 받아들이는 무용수의 입장에서 올바른 춤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기반을 제시해 줄 수 있다고 생각되며, 춤 동작(사위)의 기본원리를 이해하고 이론적 근거를 토대로 움직임을 정확하게 이해하는 일로서도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d 'Taepyungmu',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t No. 92. Taepyungmu is inherited from Han Sung Jun who made up the stage dance to Kang Sun Young. In this study, based on the video, owned by Arts Council Korea, in which Kang Sun Young danced (total 13 minutes length) at the 11th Korea Dance Festival in 1989, it was classified by the rhythm on the basis of Laban Movement Analysis (LMA). The movement characteristics of each stages in Taepyungmu is that the maintenance of Dynamic Alignment, which is starting from the head to the heel, and from the right hand to left hand in physical aspect. From 'Teobeolrim' stage, the upper parts of the body's Hollowing Shape Flow is expressed and when it is setting into Salpuri rhythm this is much more strongly expressed. In respect of sequence of the movement, in Teobolrim, it often manifests the Successive Sequence, and in Salpuri, Simultaneous Sequence occasionally represented. About the use of Effort, every stages makes use of the combination between Mobile State(Flow&Time) and Passion Drive(Flow&Time&Weight). But what is more important thing is that through the combination of various Effort elements, it is the characteristics that movements of each stages is expressed in. Considering that those movement's combination get achieved through Mobile State and Passion Drive both, the Mood of Taepyungmu's movement is unified as the one even if rhythm is continuously changed per each stages. In use of the Space, 'Nakgung' and 'Olimchae' emphasize leg movements and two Dimensional Space(Plane) whereas 'Teobolrim' and 'Salpuri' emphasize arm movements and three Dimensional Space(Diagonal). In order to keep up the mood of Taepyungmu, what is important thing is that a dancer should sustain Shaping form from the introductory to the final. While leg movements and arm movements, the body itself acts like one unit and emphasizes the impression of Shaping rather than a separate movement. As seen from results of the analysis, Korea traditional dance includes some impromptu and the form of movement is inherited a little bit different as the time goes by. But the mood and quality of the movement is continuously kept up. Therefore, the study of movement characteristic analysis in Korea traditional dance need to not only in respect of setting an academic theory but also in respect of understanding the principle of movements and expressing on the basis of theory as well.

      • KCI등재

        LMA를 통한 한국 전통 무용의 움직임 특성의 분석 : 중요 무형 문화재 제27호 이매방류 승무를 중심으로

        강성범 한국무용기록학회 2004 무용역사기록학 Vol.6 No.-

        본 논문은 Rudolf von Laban(1879-1958)에 의해 개발된 움직임 분석 체계인 Laban Movement Analysis(LMA)를 사용하여 한국의 전통 무용의 특질을 분석하는 것이다. 밖으로 보여지는 움직임의 테크닉뿐만 아니라 무용수의 내면적인 상태와 움직임의 의미가 더욱 중요시되는 춤인 한국의 전통 무용이 서양의 움직임에 바탕을 두고 만들어진 움직임 분석 시스템을 통하여 얼마나 효과적으로 분석, 묘사될 수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한국적인 색채가 강하고 예술성을 인정받고 있는 '승무'를 LMA의 신체(Body), 에포트(Effort), 쉐입(Shape), 그리고 공간적(Space) 요소의 카테고리로 분석, 묘사하였다. 승무의 움직임은 신체의 움직임이 의상으로 가려져 있고, 비디오 테이프를 보고 그 움직임의 질적인 측면을 표현해내기 매우 힘들다. 왜냐하면 밖으로 보여지는 움직임보다 내면적인 감정이 더욱 중요하기 때문이다. 그러한 점에서 이 연구에서는 승무의 움직임이 가지고 있는 내면적인 감정과 무드를 LMA의 주요 요소인 바르테니에프 기초의 9가지 원리들을 통하여 분석, 묘사하였고, 쉐입(Shape)은 전체적인 움직임(북을 치는 장면에서도)에서 보이는 신체 형태를 파악 하였다. 연구 결과 긴 장삼이 그리는 곡선들은 쉐이핑(Shaping)의 형태를 하고 있었고, 강한 쉐입 흐름(Flow)을 사용함으로써 심지어 커다란 북을 강하게 때리는 부분까지도 근육의 긴장감을 엿 볼 수 없는 움직임이 행해졌다. 전체 에포트(Effort) 요소의 사용은 쉐입(Shape)의 기본 안에서 무용수의 내면의 감정을 표현하는 촉매 역할을 하고 있다. 공간 사용에 있어서도 관객을 의식하지 않는 자신만의 무한한 내면공간을 사용하고 있었다. 실제 무용수가 사용한 공간은 매우 좁은 공간이었으나 아주 무한한 공간 안에서 춤추듯 원주로의 긴장(Peripheral Tension)이 강조되는 움직임이 돋보였다. 비록 승무를 움직임 분석의 결과만으로 이해하고 춤을 춘다는 것이 쉽지는 않을 것이다. 그러나 이 연구의 움직임 분석을 통하여 무드와 느낌, 그리고 동작의 특성을 좀 더 객관적으로 이해한 후 춤을 추는 것이 훨씬 효과적인 표현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이 연구 결과에서 보듯이 LMA의 분석 방법은 밖으로 보여지는 움직임과 내면적인 움직임 모두가 중요한 관점으로 분석되기 때문에 내면적인 감정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한국 춤의 분석 방법으로 매우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specifics of Korean traditional dance through Laban Movement Analysis(LMA), a movement analysis system, which was developed by Rudolf von Laban(1879-1958). I explore how effectively LMA could be applied in order to analyze and express Korean traditional dance which puts more emphasis on inner state and feeling than outer movement techniques. LMA oriented in Western dance movements focuses on outer movements. I analyze and describe 'Sungmu', one the greatest artistic Korean traditional dance by using the four categories of LMA; Body, Effort, Shape, and Space. It is very difficult to imitate the qualities of the movements of Sungmu by just watching video tape because we cannot express the distinct inner emotion that the dance emphasizes rather than body technique. But, LMA is an effective way to analyze the inner emotion and mood of the dance by applying the nine principles of Laban Bartenieff Fundamental. Shape can be seen during entire movements including hitting a drum. The long arc in the air drawn by the movements of his long sleeves seems to be formed Shape. I cannot feel the tension of his muscle at the phases of strong Shape Flow shown by hitting the drum. His Effort is an essential component for expressing his inner emotion. His Space shows very different mood as if he performs a ceremony for himself in his own unlimited space without perceiving the spectators or the stage. The stage is very small, but he seems to dance on unlimited space. Although we can't dance Sungmu by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movements, dancing it would be much easier by understanding the mood, feeling and specific. LMA is an effective tool for analyzing Korean dance because LMA focuses on inner and outer movements equally. LMA is not only suitable for analyzing Western dance focusing on outside movements, but also effective for Eastern dance focusing on inner feeling and spirits.

      • KCI우수등재
      • KCI등재후보

        한국과 중국, 아세안의 무역 및 분업구조 분석

        강성범,이종하 조선대학교 지식경영연구원 2019 기업과 혁신연구 Vol.42 No.4

        This study discusses whether ASEAN region is a strategic partner that can replace or complement China as the growth trend of ASEAN region countries and trade proportion with Korea increase. For this purpose, we identify the change of specialization structure in the region through the analysis of trade structure and pattern between Korea-China and Korea-ASEAN. The analysis used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Trade and Development(UNCTAD) data. In addition, for more in-depth analysis, the index of inter-industry trade, intra-industry trade, and the contribution of trade balance were measured to analyze the comparative advantage structure by processing stag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Korea's exports to China are rapidly diversified from production goods to consumer goods, and ASEAN's role in Korea has continued to strengthen its role as a production base. In addition, a separate analysis of Korea and each major ASEAN countries show similar results. The result show that East Asian production network is gradually moving from China to ASEAN. It suggest that ASEAN can play a sufficient role as a strategic partner to complement China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 본 연구는 아세안 지역 국가들의 성장과 함께 한국과의 무역 비중이 증가함에 따라 아세안이중국을 대체 혹은 보완할 수 있는 전략적 파트너가 될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해서 논의한다. 이를 위해 한국-중국, 한국-아세안 간 무역구조와 패턴 분석을 통해서 분업구조 변화를 파악한다. 구체적으로 국제연합 무역개발협의회(UNCTAD)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보다 면밀한 분석을위해 산업 간 무역, 산업 내 무역, 무역수지 기여도에 대한 지표를 측정하여 가공단계별 비교우위구조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한국의 대중국수출은 과거 생산재 중심에서 소비재로 빠르게다각화되고 있으며, 한국에 대한 아세안의 역할은 과거에 비해 생산기지 역할이 지속적으로 강화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한국과 아세안 주요국들을 개별적으로 분석한 결과도 대체로 유사한결과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동아시아 생산 네트워크가 중국에서 아세안으로 점진적으로이동하는 현상을 보이며, 이는 한국의 관점에서 아세안이 중국을 보완할 수 있는 전략적 파트너로서 충분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