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족의 응집·적응력과 자녀의 인터넷게임 중독 관계에서 부모의 스마트폰 과의존 매개효과 분석

        강선경 ( Kang Sunkyung ),차유정 ( Cha Youjeong ) 열린부모교육학회 2022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가족의 응집·적응력과 자녀의 인터넷게임 중독 관계에서 부모의 스마트폰 과의존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연구모형을 설계하고 분석하였다. 유아·초등 저학년의 부모에게서 수집된 온라인 설문지 696부를 SPSS WIN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Cronbach’s α, 빈도분석, 기술통계, Pearson’s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 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Sobel Test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응집력은 자녀의 인터넷게임중독, 부모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부(-)적 관계를 나타냈고, 가족적응력은 자녀의 인터넷게임 중독, 부모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정(+)적 관계를 나타냈다. 부모의 스마트폰 과의존은 자녀의 인터넷게임 중독에 정(+)적 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가족의 응집·적응력이 자녀의 인터넷게임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부모의 스마트폰 과의존은 자녀의 인터넷게임 중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부분 매개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가족기능은 부모의 스마트폰 과의존, 자녀의 인터넷게임 중독의 영향요인이며, 부모의 생활습관이나 행동은 자녀의 문제행동에 중요한 영향요인을 재확인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가족복지 실천 및 부모교육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designed and analyzed a research model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al smartphone overdepend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and children's internet game addiction. Using the SPSSWIN23.0 program, Cronbach's α,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were conducted in 696 online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parents of infants and elementary sch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amily cohesion showed a nagative (-) relationship with children's internet games addiction and parents' smartphone overdependence. Family adaptability showed a positive (+) relationship with children's internet game addiction and parents' smartphone overdependence. Parents' smartphone overdependence showed a positive (+)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ren's Internet game addiction. Second, in the process of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affecting children's internet game addiction, parents' smart phone overdepende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ren's internet game addiction and played a partial mediating role. Through these results, family functioning is the influential factor of parents' smart phone overdependence and children's internet game addiction, and parents' lifestyle and behavior reaffirmed the important influential factor in children's problem behavior.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study made suggestions for family welfare practice and parent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마약중독자들의 회복을 돕고 있는 회복상담사들의 회복과정에 관한 질적사례연구

        최미경(Mikyung Choi),강선경(Sunkyung Kang) 한국질적탐구학회 2021 질적탐구 Vol.7 No.2

        본 연구는 마약에서 회복중인 회복상담사들의 회복과정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마약중독자들의 회복을 돕고 있는 회복상담사 6명을 선정하여 질적사례 연구방법으로 접근하였고, 자료수집과 분석은 Stake(1995)가 제시한 자연주의적 일반화 방식에 따랐다. 연구결과 3개의 범주와 10개의 중심주제가 드러났다. 첫째, <회복은 나로부터 시작>에서는 ‘새출발을 위한 병원치료’ ‘신체적 반응에서 의지적 대응으로’, ‘회복을 촉진시킨 직업재활’, 둘째, <나를 비춰 준 거울>에서는 ‘거울이 되어 준 NA 동료’, ‘멘토가 되어 준 일본인 회복자’, ‘배움에 대한 열망’, 셋째, <함께 해야 할 2인 3각 경주>에서는 ‘지속되는 재발 공포’, ‘공감하는 회복경험자’, ‘회복상담사로 성장’, ‘회복이란 희망을 안고 함께 살아감’으로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를 근거로 마약중독자의 회복과 재활에 기여할 수 있는 정책과 실천적 차원에서의 논의를 통해 개입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recovery and activity experiences of recovering drug addicts who maintain abstinence and recovered from their addiction, and help drug addicts in recovering. For this purpose, the consented six recovery counselors participa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naturalistic generalization method suggested by Stake(1995) and three categories and ten themes were defined. The first category entitled ‘Recovery Begins from Me’ revealed ‘hospital treatment for a new start’, ‘from a physical reaction to a willing response’,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that promotes recovery.’, The second category entitled ‘The Mirror Reflected Me’ encompassed ‘NA colleague serving as a mirror’, ‘ a Japanese rehabilitation person as a mentor’, and ‘the desire to learn’ The last category entitled ‘Three-legged race that must be Done Together’ contained four themes of ‘continuous fear of relapse’, ‘sympathy of a person who has experienced recovery process’, ‘growing up as a recovery counselor’, and ‘living together with hope of recovery.’ Based on the results, discussion was made on the directions of the social policy and practical interventions for the recovery and rehabilitation of drug addicts.

      • KCI등재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일상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최윤 ( Yoon Choi ),이중교 ( Joonggyo Lee ),강선경 ( Sunkyung Ka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1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 자녀들의 일상생활을 통해 비(非)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삶에서는 경험되지 않는 고유한 경험의 본질을 살펴보았다. 연구에는 국내 거주 중인 필리핀 결혼이주배경 어머니가 있는 만 15~20세 청소년 6명이 참여하였고, 자료는 1:1 심층면담과 집단면담(FGI)으로 수집되었으며, Giorgi(1997)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혼자가 혼자에게”, “한 시절에 남은 상흔”, “원주민과 이주민의 경계선에서”, “부모와 다른 아이들”의 본질적 주제가 도출되었다.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은 사회적 배제를 일상에서 비일비재하게 경험하고 있었고, 암묵적인 사회의 피해자가 되어갔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 배경 청소년만이 경험할 수 있는 일상의 고유한 경험 본질을 확인하고, 이들을 사회적 피해자의 관점에서 시사한 데에 의의가 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가족에 대한 사회적 인식변화 필요성과 지속가능한 사회복지 실천 및 정책적 지원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trinsic nature of daily life of multicultural families’ adolescents through phenomenological studies. The study involved six adolescents ages between 15 and 20 who live in Korea with Filipino mothers married migrant.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from one-to-one in depth and Focus Group Interview (FGI), and data were analyzed by Giorgi’s (1997)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he findings yielded essential themes such as “ego to ego”, “scars once upon a time”, “at the borderline between natives and migrants” and “the far from the tree.” Multicultural families’ adolescents experienced social exclusion in everyday life, and they have become tacit social victims. The meaning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unique nature of everyday life that only multicultural families’ adolescents can experience, and suggest them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victims. Based on this research’s results, suggested the necessity of changing social awareness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needs of sustainable social welfare and policy suppo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