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통합학급의 일반아동이 지각하는 학급풍토와 장애수용태도와의 관계

        강석순 ( Seok Soon Gang ),김자경 ( Ja Kyoung Kim ),강혜진 ( Hye Jin Kang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4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5 No.4

        본 연구는 통합학급의 일반아동이 지각하는 학급풍토와 장애수용태도의 관계가 어떠한 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P시의 통합학급에 소속되어있는 초등학교 4~6학년 아동 484명을 대상으로 학급풍토 질문지와 장애수용태도 질문지를 배부하고 회수한 후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학급 일반아동이 지각하는 학급풍토 유형에 따라 장애수용태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장애수용태도 총점과 하위영역에서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통합학급 일반아동이 지각하는 학급풍토와 장애수용태도와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자율적 풍토와 친교적 풍토는 장애수용태도와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난 반면, 통제적 풍토와 방임적 풍토는 장애수용태도와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통합학급 일반아동이 지각하는 장애수용태도에 대한 학급풍토의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통제적 풍토와 방임적 풍토는 모든 장애수용태도 영역에서 유의미하지 않아 제외되었고, 장애수용태도 총점, 통합태도, 통합행동의도 영역에서는 자율적 풍토와 친교적 풍토가 유의미하게 포함되었고, 통합인식 영역에는 친교적 풍토만이 유의미하게 포함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학급풍토는 장애수용태도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변인이며, 통합학급의 일반아동들은 학급풍토가 자율적이거나 친교적일 때 장애수용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통제적이거나 방임적일 때는 장애수용태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장애아동의 성공적인 통합을 위해서 통합학급 교사는 학급분위기를 자유롭고 친교적인 분위기로 조성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lassroom climate perceived by general children and acceptance of disability in the inclusion classroom of elementary school.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fourth to six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s with special classes which provide an inclusion education in P-cit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four groups in the total score and all sub-test of the acceptance attitude of disability in the inclusion classroom. Second,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familiar climate or the autonomous climate and the acceptance attitude of disability in the inclusion classroom. There i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controlled and laissez-faire climate and the acceptance attitude of disability in the inclusion classroom. Third, significant variables which influenced on the acceptance attitude of disability in the inclusion classroom were the familiar climate and the autonomous climate. According to this results of the study, teachers and students who are main members creating the class climate need to make the inclusion classrooms`` climate familiar and autonomous. This suggests the class climate made by teachers and students together affects an acceptance attitude of dis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