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프랑수아 줄리앙 François Jullien의 철학적 방법론과 그 의의

        강상림(Sang-Lim, Kang)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10 철학과 문화 Vol.21 No.-

        F. 줄리앙은 다양한 문화들의 개별성이 부대끼고 공존 하는 21세기 세계화 시대에 그에 걸맞는 새로운 철학이 요구됨을 말한다. 이는 줄리앙에게 기존과는 전혀 다른 철학적 답 내지는 해결에 대한 문제가 아닌, 새로운 문제에 대한 요구이며 더 나아가 다르게 철학해 보기에 대한 요구이다. 그럼으로써 글쓴이는, 줄리앙의 새로운 철학에 대한 부르짖음은 합리적 이성을 통해 존재 형이상학적인 진리의 ‘앎’을 향한 시선의 전환이 아닌, 새로운 형태의 시선의 전환을 요구함이라고 보며, 이를 위하여 줄리앙은 다음 세가지의 과정을 수행하고 있음을 논거로 설명한다 : 이타성 l'alterite, 의미의 전환 le changement de signe. 서양 전통의 목적 존재 지향적 세계관과 도가의 내재적 세계관의 드러냄. 이타성인 중국 문화를 통해 자신의 문화와 사유틀을 반추해보는 줄리앙의 작업은 사고의 고착화와 정체됨을 막고 환기할 수 있는 사유의 창을 마련하고, 이는 21세기의 - 전체화가 아닌 - 세계화 시대에 걸맞는 철학함의 하나의 이상적인 방법론 내지는 자세를 제시한다. 그리고 이러한 줄리앙의 작업은 프랑스인이 아닌 우리에게도 의미가 있는데, 줄리앙의 작업을 통하여 자신의 문화와 사유틀의 익숙함에서 나와 그들을 새로이 반추해 보며 그의 시선의 이타성 속에서 우리의 정체성에 대해 다른 시선으로, 새롭게 고민하여 볼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F. Jullien réclame qu'il est nécessaire d'avoir une philosophie neuve au 21ème siecle, digne de ce nom. Avec ce demande de F. Jullien et face à la diversité interculturelle où on est aujourd'hui, j'envisage ici d'entrevoir le methode de sa facon de philosopher. Je lance donc le sujet en dévéloppant ainsi : savoir ce que signifie l'altérité qui est la Chine, changer le signe commun et voir une autre manière de concevoir des choses ou le monde sur le taoïsme; Par exemple, le bonheur n'est pas quelque chose à tendre comme un but mais comme une voie à découvrir ou accueillir en pleine vie. En effet, ces operations de F. Jullien ne sont rien d'autre que d'essayer de convertir le regard de manière autre et de philosopher autrement. Autrement dit, on peut prendre conscience que, pour sa philo neuve, comme le dit Jullien, il s'agit pas d'une réponse qui n'a jamais été proposée pendant toute histoire philosophique mais des problèmes qui n'ont jamais été posés. Et en ce qui concerne sa façon de philosopher, on peut aussi certainement savoir qu'il est aussi valable pour nous, coréens, parce que'une double vision prise par elle fait aussi réfléchir de façon neuve sur l'identite qui est à nous, fâce à notre propre réalité. C'est que son essai de s'appuyer sur le choix culturel d'une autre civilisation et ses propres partis pris anthropologiques à travers l'altérité fait communiquer les diversités intercultirelles, et, par là, fait place de philosopher autr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