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역사적 전환기 한반도의 국제정치 경험에 관한 연구 - 류큐왕국/오키나와 및 대만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강상규 진단학회 2020 진단학보 Vol.- No.135

        The Korean Peninsula has experienced many crises historically. So what kind of approach is needed to progress such a flat understanding as" the Korean Peninsula has suffered several wars through its geopolitical status"? In addition, how can a deeper insight be gained into the historical context and meaning of the “crisis" on the Korean Peninsula? With these issues in mind, this study compares the impact of the changes in hegemonic states and paradigms on the Korean Peninsula throughout the major turning points in East Asian history over the past 500 years, with other geopolitical points such as the Ryukyu Kingdom in present day Okinawa and Taiwan.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major crises experienced externally by the Korean Peninsula over 500 years were not local and accidental ones, but those that coincided with the changing political terrain in East Asia. This was clearly revealed through a comparative review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ingdom of Ryukyu/Okinawa and Taiwan, which are considered geopolitical hubs of East Asia. When massive transitional changes occurred in East Asia, they caused ripples throughout the Korean Peninsula, the Kingdom of Ryukyu and Taiwan, which exist between powerful continental and maritime forces, forming a kind of “a chain of pressure transfer" or “a band of pressure transfer." Each of these regions is an important geopolitical hub and a phenomenon that occurs because they form a weak link. In addition, the current study suggests that a new framework like “Japan Empire's 50-year East Asia War" and “East Asia's postwar system" is needed to grasp understanding of contemporary East Asia meaningfully. The framework “Japan Empire's 50-year war on East Asia" is important not only because it allows people to see a full picture of fragmented Japanese imperialism, but also because it permits them to systematically understanding the opposing logic of Japanese imperialism against Western imperialism, and because it allows understanding of the Post-colonial condition in East Asia, namely its continuity with the post-war system. Meanwhile, the “East Asia's postwar system" is a unique Cold War structure in East Asia, which was formed rapidly after the “Japan Empire's 50-year East Asia war." Even now, 30 years after the end of the Cold War in 1990, this is a system that still exists in East Asia. At the international political level, the core foundations of the “East Asia's postwar system" can be summarized as China's “cross-strait relations," Japan's “peace constitution and U.S.-Japan security system," and the “hostile division system" of the Korean Peninsula, despite the end of the Cold War at the global level. In the past 500 years of history, there have been no major political changes in East Asia that have not involved the Korean Peninsula. This shows that Koreans need a special insight and sensitivity into the external situation in East Asia. 한반도는 역사적으로 많은 위기를 겪어왔다. 그러면 ‘한반도는 그 지정학적 위상으로 말미암아 수 차례의 전쟁을 겪었다’는 식의 평면적인 이해를 넘어서기 위해서는 어떤 접근이 필요할까? 아울러 한반도의 ‘위기들’이 발생한 역사적 맥락과 그 의미를 어떻게 깊이 있게 통찰할 수 있을 것인가?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 위에서 지난 500년간 동아시아의 역사에서 나타났던 주요 전환기, 패권국가의 변동과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한반도가 겪게 되는 충격을 또 다른 지정학적 요충지인 류큐왕국ㆍ오키나와, 그리고 대만의 경우와 비교 고찰하려고 했다. 본 연구는 500년 동안 한반도가 대외적으로 경험한 주요한 위기들이 국지적이고 우발적인 사건으로서의 위기라기보다 동아시아 정치지형 혹은 지각이 변동하는 것과 맞물린 위기였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점은 동아시아의 지정학적 요충지로서 함께 고찰한 류큐왕국/오키나와, 대만과의 상관관계와 비교검토를 통해 분명히 드러났다. 강력한 대륙세력과 해양세력 사이에 존재하는 한반도, 류큐왕국/오키나와, 대만은 거대한 전환기적 지각변동 상황이 오게 되면 그 충격의 여파가 이 세 지역으로 밀려들면서 일종의 ‘억압이양의 연쇄’ 혹은 ‘억압이양의 띠’가 형성되는 현상을 통찰할 수 있었다. 이들 지역들이 각각 중요한 지정학적 요충지이면서 약한 고리를 형성하기에 발생하는 현상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연구는 근현대 동아시아를 의미 있게 포착하기 위해서는 ‘제국 일본의 동아시아 50년전쟁’과 ‘동아시아의 전후체제’와 같은 새로운 프레임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제국 일본의 동아시아 50년전쟁’이라는 관점은 파편화된 일본제국주의의 전체상(全體像)을 직시하게 해 줄 뿐만 아니라, 일본제국주의의 서양제국주의에 대한 대항논리적 성격을 유기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해준다는 점, 그리고 동아시아의 탈식민지적 상황, 즉 동아시아의 전후체제와의 연속성 속에서 이해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에 중요하다. 한편 ‘동아시아 전후체제’는 ‘제국 일본의 동아시아 50년전쟁’이 빠지고 난 자리에 급격히 형성된 동아시아 차원의 독특한 냉전질서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세계적인 차원의 냉전이 끝나는 1990년으로부터 30년이 지난 지금도 동아시아에 아직 끝나지 않고 남아있는 질서체계이다. 국제정치 차원에서 ‘동아시아 전후체제’의 핵심적 근간은 세계적 차원에서 냉전이 해체된 상황에도 불구하고 존속되고 있는 중국의 ‘양안관계’, 일본의 ‘평화헌법과 미일안보체계’, 한반도의 ‘적대적 분단체제’로 요약할 수 있다. 500년 동안의 역사상 동아시아에서 벌어진 거대한 지각변동은 한반도를 거치지 않고 진행되는 경우가 사실상 존재하지 않았다. 이것은 한반도가 동아시아 대외정세에 대해 매우 특별한 통찰력과 감수성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 KCI등재

        유구골 유구 골절의 급성기 골절 시 배측 도달법의 최소침습적 내고정술: 술기 보고

        강상규,오진록 대한수부외과학회 2017 대한수부외과학회지 Vol.22 No.4

        Hamate bone fracture is an uncommon injury, accounting for 2% of all carpal bone fractures. The common treatment of choice for hamate bone fractures is conservative treatment or excision of the hamate fracture fragment. We devised a new procedure that utilizes dorsal percutaneous compression screws for internal fixation. This technique was performed on two patients with left hamate hook base fractures. Tolerable active joint movement of the left wrist and fingers was permitted the first day post-surgery. Radiographs were taken after surgery, at 3 months, and at 6 months to determine the degree of union. No remarkable ligament injuries or nerve injuries were observed. This technique proved to be a rela-tively simple procedure when compared to the existing procedure while enabling early wrist movement. By preserving soft tissue, this procedure maintained blood supply decreasing risks of non-union. These advantages make this technique a recommendable new procedure for hamate hook fractures. 유구골 골절에 대한 일반적인 치료 방식은 보존적 치료 또는 골절부 절제술로 알려져 있으나 본 교실에서는 기존의 치료 방식을 달리하여 유구골 배측 접근을 통한 나사를 이용한 새로운 치료 방식을 소개하고자 한다. 좌측 유구골 갈고리의 기저부 골절이 발생한 두 환자에 대하여, 조기 손목사용을 위해 골절부에 대한 내고정을 시행하였다. 수술 직후, 3개월, 6개월의 방사선 사진을 통해 골유합 정도를 판단하였다. 2예 모두에서 통증 완화 및 관절 운동 범위 보존, 골유합을 얻을 수 있었다. 기존 술식과 비교하여 비교적 간단하며, 불유합의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서 권장할 만한 새로운 술식으로 판단된다.

      • 개화기 조선 지식인의 시대 인식

        강상규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통합인문학연구소 2010 통합인문학연구 Vol.2 No.2

        동아시아의 19세기는 흔히 서세동점(西勢東漸)의 시기라고 일컬어진다. 당시 동아시아 세계는 중화 질서라는 독자적인 문명권에 속해 있었고, 중화 질서 고유의 문명의식과 자부심을 견지하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동아시아 삼국은 압도적인 물리력을 앞세운 구미 제국의 압력과 근대 유럽의 문명 기준에 입각한 상이한 가치 체계와 마주하게 되었고, 이 과정에서 양측은 서로를 야만으로 간주하며 충돌하게 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보면 동아시아의 19세기는 상이한 문명, 곧 ‘동서 문명’의 충돌이 이루어진 거대한 전환기로서 그것은 외부로부터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기존의 고유한 패러다임을 밀어내는 과정이었음이 드러난다. 이것은 중화문명권의 관점에서 보면 기존의 문명 기준이 새로운 문명 기준에 의해 전복되는 과정이자 문명 기준’이 완전히 ‘역전’되는 사태가 발생하였음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본 논문은 19세기 조선의 지식인들이 당시의 시대 상황을 어떻게 인식하였는지를 구체적인 역사적 맥락을 따라가며 조망하기 위한 글이다. 이를 위해 우선 조선 지식인들의 문화적 자부심과 부국강병에 대한 인식을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인식론적 기반 위에서 19세기 후반 서로 상극적인 인식을 드러냈던 위정척사적인 관점과 개화적인 관점을 구체적인 정치사(政治史)의 맥락에서 고찰하기 위해 주요한 분수령이 되었던 사건들을 중심으로 시대인식의 변화와 갈등을 살펴보았다. 여기서는 병인양요(1866) 전후로 달아오르게 되는 ‘배외(排外)’의 정치 현장에서부터 조선의 개혁개방 정책이 1880년부터 가시적으로 추진되다가 갑신정변(1884)으로 좌절하게 되는 ‘개방’의 정치 현장까지 나타난 언설을 중심으로 조선 지식인과 위정자들의 시대인식을 고찰하였다. The 19th century of East Asia is the so-called age in which “the West overtook the East.” During that period, the world of East Asia belonged to a unique cultural sphere, i.e. Sinocentrism, where it proudly held fast to its traditional culture. In the meantime, the three countries of East Asia came to encounter pressure from Western nations, which were overwhelmingly stronger and possessed a different set of values that had been established based on the cultural standards of modern Europe. The two worlds, under these circumstances, came into conflict, each regarding the other as barbarian. 19th century East Asia can be seen as a tremendous turning point in which the different cultures of East and West collided with each other and in which the encroaching external paradigm drove out the existing inherent paradigm. This, from the perspective of Sinocentrism, meant that the existing ‘cultural standards’ were being subsumed by new ones, undergoing a complete ‘reversal.’ This paper looks into how intellectuals during the 19th century of the Joseon Dynasty(1392-1897) perceived the contemporary conditions of the examine the Joseon intellectuals, cultural pride and their recognition of national prosperity and power. With this foundation, it investigates change and conflict in the perception of the times, focusing on critical incidents that help to examine two opposing views of the anti-West and the pro-Enlightenment movements in the latter half of the 19th century in the concrete context of political history. In particular, this paper investigates an awareness of the times by Joseon intellectuals and politicians, concentrating on the commentaries that emerged during the period of ‘anti-foreign,unrest during the Byeonginyangyo (1866, invasion by the French fleet into Joseon) as well as the ‘open-door, environment which promoted the reform policy from the year 1880, only to experience disappointment during the Gapsinjeonbyeon(1884, coup d’état by the Enlightenment party).

      • 1870~1880년대 고종의 대외관과 자주의식에 관한 연구

        강상규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통합인문학연구소 2010 통합인문학연구 Vol.2 No.1

        19세기 동아시아는 그동안 이 지역에서 오래도록 지속되어 오던 중화 질서가 현실적으로 붕괴되고 서구의 근대 국제 질서로 재편되는 지난한 과정 을 겪었다. 한•중•일 동아시아 삼국은 이 과정에서 이른바 ‘예의’ 관념에 입각한 중화 질서에서 부국강병’과 ‘국가 평등 관념’에 입각한 근대 국제 질서로 동아시아 세계를 구성하는 ‘패러다임의 변동’을 겪게 된다. 이것은 동아시아 국가 ‘간’ 관계의 패러다임이 중화 질서하의 조공 책봉 관계’ 및 ‘사대교린’ 관계로부터 근대 ‘국제’ 질서의 수평적이고 독립적일 뿐 아니라, 그만큼 ‘무정부적 인 관계’로 변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그러면 19세기 근대 국제 질서라는 상이한 대외 질서 관념과 대면하게 되는 과정에서 주권 국가라는 의미를 가진 자주국 혹은 독립국에 관한 인식은 한국에서 언제부터 생겨난 것일까? 과연 이러한 의식은,기존의 많은 연구들이 전제前提)하는 것처럼,적어도 갑신정변이 일어나기 전까지는 -자주당(自主黨)과 사대당(事大黨)이라는 표현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정변을 주도한 이른바 ‘급진’ 개화파들의 의식 속에서만 존재했던 것인가? 1870년대와 1980년대 국왕 고종은 어떠한 대외관을 가지고 있었는가? 그는 과연 근대 국제 질서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에 상응하는 ‘자주’, ‘독립 국가를 만들려는 의식을 가지고 있었는가? 만약 고종에게 ‘자주’에 관한 의식이 존재했다면 그것은 대체로 언제 어떠한 계기에 의해 형성된 것이며,그것의 구체적인 내용은 어떠한 것이었는가? 본 연구는 이러한 물음에 답하기 위해 고종의 정치의식과 ‘대외관’이 어떠한 과정을 통해 형성되었으며 어떠한 내용을 담고 있었는지, 그중에서도 ‘자주’의식의 형성과 그 실천적 의미가 무엇인지를 고찰한 글이다. In the 19th century there was a clash between the Chinese world order and the modern international order. A paradigm shift in East Asia during the 19th century transformed the world order from the basis of ceremony to modern international order by a sovereign state. This entailed a reversal in the “standard of civilization” from the viewpoint of East Asia. Given this, when did a clear perception of a sovereign or independent state appear in Joseon? Did the new perception exist only in the cognizance of several so-called ‘political revolutionaries’ including Kim Ok-gyun? The main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litical consciousness and the foreign relations views of King Gojong. What kind of political awareness and foreign cognizance did he have in the 1870s and 80s? Did he have the intention to make his country “an independent state” or “a sovereign state” according to the modern international order? If he did, when did he start to recognize national ‘independence’ as the most important aim? In order to approach these questions,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how the political consciousness and the foreign relations views of King Gojong are correlated with the “internal and external” political changes of the Korean Peninsula within the context of the transformation of the East Asia order.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