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성 노인 합창단원의 합창단 유형에 따른 청지각적 음성평가(GRBAS) 및 음성관련 삶의 질(K-VRQOL) 비교

        이현정(Hyeonjung Lee),강빈나(Binna Kang),김수지(Soo Ji Kim) 한국음성학회 2020 말소리와 음성과학 Vol.1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음성의 청지각적 평가도구(GRBAS)와 음성관련 삶의 질(K-VRQOL) 척도를 통해 합창활동에 참여하는 여성 노인의 음성 특성과 음성관련 삶의 질을 비교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 및 부산 소재의 합창단에서 활동 중인 만 60세 이상의 여성 노인으로 총 77명이었다. 합창단은 참여 유형에 따라 합창단(Regular choir)과 찬양단(Church choir) 두 개의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청지각적 음성평가는 /a/ 모음을 발성하는 음성을 듣고 전문가가 청지각적 평가(GRBAS) 척도를 사용하여 평정하였다. 연구 결과, 합창활동 참여 유형에 따라 집단 간 차이를 비교했을 때 찬양단에서 활동하는 여성 노인에 비해 합창단에서 활동하는 여성 노인의 경우 주관적 음성 인식 수준에서 대화 시 음성 사용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음성관련 삶의 질(K-VRQOL) 척도의 신체 기능 영역에 해당하는 문항에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합창활동이 노년기 음성기능의 개선뿐 아니라 음성사용의 주관적 인식 수준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결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을 확인하였으며, 노인 음성개선을 위한 체계적인 음악 중재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voice characteristics and voice-related quality of life (K-VRQOL) of the elderly female choir members using perceptual-auditory voice quality evaluation (GRBAS) and K-VRQOL scales. The participants were 77 women over 60 years old who were actively engaged in the choir in either Seoul or Busan. There are two kinds of choirs that indicate different engagement levels: regular choir and church choir. The perceptual-auditory vocal quality evaluation was listened to by / a / vowels and were graded by experts using the GRBAS scale. As a result, when comparing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the elderly female participants of the regular choir showed higher satisfaction in speech using the subjective speech recognition level than the elderly female members who performed in the church choir. In addition,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satisfaction level was high in the physical function area of the K-VRQOL scale. This study confirmed that choral activities could yield positive results not only in terms of improving voice function in old age, but also to improve the subjective perception level of voice use, thus suggesting the necessity of systematic music programs to improve voices that are ag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