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고층아파트 로프식 승강기의 운행 소음 및 진동 특성과 실태에 관한 연구
강민우,오양기,Kang, Min-Woo,Oh, Yang-Ki 한국음향학회 2021 한국음향학회지 Vol.40 No.1
An Elevator is a very important equipment in high-rise apartments. The noise generated by an elevator is causing inconvenience to residents. However, there are no laws and regulations on elevator noise, and moreover it is not clear how to measure and evaluate elevator noise. For these problems, the first priority should be given to grasping the characteristics of noise and vibration generated during elevator operation. In this study, noise and vibration generated when operating a rope-type elevator in a high-rise apartment are divid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floors and the type of room, and the noise and vibration are simultaneously measur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noise and vibration. The correlation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conditions was determin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elevator noise was mainly composed of components in the 125 Hz to 500 Hz band, and the correlation with vibration in the 125 Hz to 500 Hz band was also significant. For the top layer, it was confirmed that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very high at 0.8 level.
강민우 ( Min-woo Kang ),박춘숙 ( Chun-suk Park ),김영식 ( Young-sik Kim ),김지태 ( Ji-tae Kim ),이은숙 ( Eun-suk Lee ),양지웅 ( Ji-woong Yang ),고준영 ( Jun-young Ko ),최원식 ( Won-sik Choi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1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
감속기는 모터의 고회전을 기어비에 의해 감속시키고, 회전력은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는 동력전달장치이다. 이러한 장치의 설계를 위해서는 시스템에 작용하는 하중에 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송로봇에 발생할 수 있는 주행저항은 구름저항, 경사저항, 공기저항으로 분류된다. 고속주행 시에는 공기에 의한 저항이 가장 크게 발생하지만, 저속주행 시에는 타이어 표면과 노면 간의 마찰작용으로 발생하는 구름저항의 영향이 가장 커진다. 기어박스의 설계에 있어서 경사저항 및 공기저항은 제외하고 구름저항만을 고려하였다. 두 쌍의 스퍼기어와 한 쌍의 헬리컬 기어로 구성된 기어박스를 3D 모델링하고, 기어해석 소프트웨어인 KISSsoft와 ISO 6336 Method를 이용하여 기어의 주요 설계변수인 모듈을 변경시키며 강도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 결과 모듈이 증가함에 따라 안전율은 선형적으로 증가하였고, 수명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였다. 요구수명이 20,000 시간일 경우 Gear pair 1~3의 모듈을 각각 2.3, 1.7, 1.5로 설정할 때 굽힙 및 접촉 안전율이 1이상이 됨을 확인하였다.
강민우(Min-woo Kang),김도연(Do-youn Kim),김큰별(Keun-byul Kim),안지혁(Jee-hyuk An),오예림(Ye-rim Oh),이경언(Kyung-eon Lee),임경호(Kyoung-ho Lim),최희선(Hui-seon Choi),정현철(Hyeon-cheol Jeong)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3
본 연구는 웃음 유발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웃음지수와 주관적 행복감 척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실험연구이다. 본 연구는 2017년 4월 27일부터 5월 31일까지 S대학교에 재학 중인 30명을 대상으로 접수 순서에 따라 무작위로 실험군과 대조군에 배정하여 진행하였다. 실험군에게는 웃기는 영상과 웃음유발 레크레이션으로 구성 된 웃음 유발하는 프로그램을 시행하였고, 대조군에게는 무 미건조한 영상과 독서 등으로 구성된 안정감을 주는 프로그램을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21 program을 이용하였는데 웃음지수와 주관적 행복감에 대한 두 군 간의 차이는 공분산분석(ANCOVA)으 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웃음지수는 실험군(4.04±0.53점)이 대조군(2.97±0.76점)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F=39.54, p<.001). 행복감도 실험군(3.71±0.62점)이 대조군(2.81±0.81점)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F=31.92, p<.001). 결론적으로 웃음이 행복감에 효과적인 영향을 미침으로 인해 삶의 행복지수를 높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is a non - equality control group pre - and post - experiment study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aughter inducement program on college students laughter index and subjective well - being scale.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randomly assigning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ccording to the order of receipt of 30 students attending S University from April 27 to May 31, 2017. For the experiment group, a laugh - inducing program consisting of funny video and laugh - inducing recreation was performed, and a control program consisted of humorous image and reading.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covariance analysis (ANCOVA) for SPSS Ver.21 program. As a result, the Laughter Index increased significantly (F = 39.54, p <.001) in the experimental group (4.04 ± 0.53 points) than the control group (2.97 ± 0.76 points). Happiness also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experimental group (3.71 ± 0.62) than in the control (2.81 ± 0.81) (F = 31.92, p <.001).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laughter can have an effect on happiness and can help increase happiness of life.
에너지 분리법을 통한 트랙터 캐빈 마운팅 시스템 최적화
강민우 ( Min-woo Kang ),한현우 ( Hyun-woo Han ),박영준 ( Young-jun Park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2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트랙터 캐빈 마운트는 캐빈을 지지하고, 다양한 가진원으로부터 캐빈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절연하여 이로 인해 발생하는 구조기인소음을 저감하는 역할을 한다. 캐빈 마운팅 시스템을 분석하기 위하여 6 자유도 운동방정식을 구성하였으며, Matlab 기반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여 에너지 분리법을 이용한 강체모드의 분리도를 평가하였다. 또한, 강체모드의 분리도를 최대화할 수 있도록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설계변수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최적화 설계변수로 캐빈 마운트의 위치와 강성을 선정하고 최적화를 수행한 결과, 강체모드 분리도가 66.73 %에서 87.53 %로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최적화 변수로 단일 설계변수를 선언하는 경우, 강체모드 분리도가 모두 80 % 이하로 나타났다. 본 결과로부터 캐빈 마운트의 위치와 강성 선정이 트랙터 설계 초기단계에서 수행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강민우(MIN-WOO KANG),홍금식(KEUM-SHIK HONG) 한국해양공학회 2005 한국해양공학회지 Vol.19 No.1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onstant-level luffing and time optimal control of jib cranes. The constant-level luffing, which is the sustainment of the load at a constant height during luffing, is achieved by analyzing the kinematic relationship between the angular displacement of a boom and that of the main hoist motor of a jib crane.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main body of the crane does not rotate, the equations of motion of the boom are derived using Newton's Second Law. The dynamic equations for the crane system are highly nonlinear; therefore, they are linearized under the small angular motion of the load to apply linear control theory. This paper investigates the time optimal control from the perspective of no-sway at a target point. A stepped velocity pattern is used to design the moving path of the jib crane. Simulation results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the time optimal control, in terms of anti-sway motion of the load, while luffing the cra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