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활승마가 지적장애 성인의 의사소통 및 사회화 능력에 미치는 영향

        강미희,김호자,이춘화 한국인문사회질학회 2023 사회적질연구 Vol.7 No.1

        현대사회는 평균수명의 증가로 인해 지적장애인의 성인기도 점차 길어지고 있는 추세다. 그러나 그에 상응하는 교육이나 재활은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성인이 된 지적장애인이 사회구성원으로 살아가 는 데 필수적인 의사소통 및 사회화 능력을 향상시키는 훈련은 좀처럼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 는 지적장애를 가진 성인의 의사소통 능력 및 사회화 능력에 재활승마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통제집단 사전사후 실험설계를 사용하였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각각 20명의 지적장애 성인으로 구성하였다. 먼저 두 집단에 의사소통과 사회화 능력에 대한 검사를 실시한 후, 실험집단을 8주 동안 16번의 재활승마 프로그램에 참여시켰다. 본 실험설계의 분석을 위해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을 검증하였다. 그런 다음 재활승마가 지적장애 성인의 의사소통 능력과 사회화 능력에 미 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설계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이 나타났고, 재활승마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과 비교 했을 때 의사소통과 사회화 능력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본 연구는 지적장애 성인의 의사소통 및 사회화 능력의 증진을 위해 체계적인 재활승마 프로그램을 기획·공급·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한다.

      • KCI등재

        어린이도서관 공간요소의 중요도 평가

        강미희,홍현진 한국문헌정보학회 2012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6 No.2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spatial factors for children's libraries and fulfill the evaluation of importance of expert and user groups for it. So, this study developed spatial evaluation factors by analyzing materials of domestic/international groups and associations and precedent studies, drawing spatial factors and organizing them. Next, for the spatial factors developed to 12 evaluation areas and 127 detailed indexes, an importance was evaluated for 4 expert groups; children's librarians, people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elementary school's librarians, people in charge of architecture, etc. and 3 groups; infants, elementary school's lower grades, elementary school's high grades, etc. The evaluatio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t groups approved an importance of indexes by evaluating all of the 12 evaluation areas and 120 indexes of 127 detailed indexes as more than 3.0. Second, the user groups also approved an importance of indexes by evaluating all of 12 evaluation areas and 125 detailed indexes of 127 detailed indexes as more than 3.0. Third, as the result of evaluating an importance between expert groups and user groups,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2 areas among the 12 evaluation areas. 이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도서관의 공간요소를 개발하고 이에 대해 전문가집단 및 이용자집단의 중요도 평가를 실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먼저 국내외 관련단체 및 협회 자료와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공간요소를 도출하고 이를 구조화하여, 공간요소를 개발하였다. 다음으로 12개의 평가영역과 127개의 세부지표로 구조화된 공간요소에 대해 어린이도서관 사서, 유아교육학 전공자, 초등학교 사서교사, 건축학 전공자 등 네 집단의 전문가와 영유아, 초등학교 저학년, 초등학교 고학년 등 세 집단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중요도를 평가하였다. 평가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가집단은 12개의 평가영역 모두와 세부지표 127개 중 120개를 3.0 이상으로 평가하여 지표로서의 중요성을 입증하였다. 둘째, 이용자집단 역시 12개의 평가영역 모두와 127개 세부지표 중 2개를 제외한 125개를 3.0 이상으로 평가하여 지표로서의 중요성을 증명하였다. 셋째, 전문가집단과 이용자집단 간의 중요도 평가결과, 12개 평가영역 중 2개 영역에서 집단 간의 차이가 있었다.

      • KCI등재

        문헌정보학의 '문헌정보'에 대한 대학생 인식 조사

        강미희,Kang, Mi-Hee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4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5 No.3

        이 연구는 정보의 생산에서 소비까지의 전 과정에 필요한 교육은 물론 관련현상을 연구하는 강력한 학문으로 정착했음에도 불구하고 학문적 성격을 규명하기 쉽지 않은 문헌정보학의 특수한 상황에 대한 문제제기에서 시작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개인적 특수성과 수강경험이 문헌정보라는 용어인식에 영향을 미치는지, 영향을 미친다면 어떤 경로를 통해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적으로 규명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이 연구는 전남대학교 재학생 32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 특성과 관련하여 성별, 연령에 의한 차이는 발생하지 않았으며, 학년에 따른 차이는 발생하였다. 둘째, 수강경험과 관련하여 수강경험의 유무에 따른 차이는 발생하지 않았으며, 수강경험의 횟수와 수강경험의 유형에 따라서는 차이가 있었다. 셋째 개인적 특성 및 수강경험 등의 조건과 상관없이 응답자 대부분은 문헌정보라는 용어에 대한 의미를 문헌에 담긴 정보와 문헌에 대한 정보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문헌정보학에서 의미하는 문헌정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문헌과 정보의 화학적 결합보다는 범위의 확장으로 이해되고 있으며, 또한 특수한 개인적 경험에 의해 다르게 이해되기도 하는 다의적 용어라는 점과 이에 대한 학문적 규명작업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research started from bringing up a problem about special situation of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which is not easy to investigate its academic characteristics, although it has settled down as a powerful science studying related phenomena as well as education required for the whole process from production of information to consumption of i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questingly investigate whether the personal specialty and the experience of taking courses affect recognition of the term 'library and information', and if so, through which channel it influences. In this background, data were collected from 328 students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for this research, and the following are the analysis results: first, as for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differences were not generated according to gender and age, but according to scholastic year the results were different; second, as for the experience of taking courses, there were not differences according to whether or not of the experience, but the results varied according to the number and type of the experience; and third, most of the respondents surveyed understood the meaning of a term 'library and information' as the conception of covering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literature and information of it, regardless of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the experience of taking courses. Through these results, it can be identified that the term 'library and information' meant in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s generally understood as expansion of range, rather than chemical combination of literature and information, it is a terminology with various meanings sometimes understoo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pecial personal experiences, and it also needs scientific investigation of it.

      • KCI등재후보

        대중관광객과의 비교를 통한 생태관광객의 차별적 특성 규명 : 여행 동기 및 태도를 중심으로

        강미희,김남조,최승담 대한관광경영학회 2002 觀光硏究 Vol.17 No.2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level and the potential demand for ecotourism of 1,000 residents in 5 metropolitan cities and to identify differential characteristics of ecotourism by comparing socioeconomic and travel characteristics and travel motivations and attitudes between ecotourists and mass tourists and analyzing on-site survey. Regarding the recognition level, residents who have never heard of ecotourism accounted for 50.2% of the total population in metropolitan cities, but potential demand for ecotourism was higher at 75.1%. Compared with mass tourists, ecotourists are composed of relatively higher proportion of female, unmarried, high income people and college graduates, and people with specialized jobs. Ecotourists had various travel experiences and preferred travelling alone or with a few companions. Ecotourists put more emphasis on experiencing active life and improving self-dependency through understanding and learning from nature than on improving physical health and relationships with family or colleagues. Ecotourists were more positive toward collecting information on travel destination before traveling, experiencing and learning from nature and culture of the destination, communicating with communities and respecting their culture while traveling than mass tourists. Travel motivations and attitudes of ecotourists showed that ecotourism had the potential to become sustainable tourism to harmonize ecosystem conservation with use.

      • KCI등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의 연구동향 분석

        강미희,김정현,Kang, Mi-Hee,Kim, Jeong-Hye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4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a major trend through exhaustive search of papers contained in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that has been published for 40 years. Therefore, 1,365 papers published in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from 1974 to 2013 were analyzed. The analysis criteria include detailed subject and joint research status, research fund supporting, research area etc.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for research topics, papers o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were the most, 452 papers followed by resource organization, 213 papers. The rest was found in the order of information service 188, information science 155 papers, reading guidance 101, library management 91, bibliography 84, collection development 58,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20 papers. Through this, it was analyzed that information science is on an increasing trend while bibliography is on an decreasing trend and records management shows sluggish production. Second, as for research fund supporting, it turned out that 428 papers were funded and 315 papers among them were supported by the university while the remaining 108 papers were supported by the government. Third, joint research is on an increasing trend and unlike the fact that there have been no papers for early, papers were found to increase up to 303 papers for recent. Fourth, unlike the early phenomenon concentrated in Daegu, research areas showed even distribution throughout the country in recent years. This showed that it has grown from certain area-based academic journal to nationwide academic journal. 이 연구의 목적은 창간 40년을 맞은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에 수록된 논문의 전수조사를 통해 주요 연구경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대상은 1974년에서 2013년까지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에 수록된 1,365편의 논문이며, 분석기준은 연구주제, 공동연구 현황, 연구비 지원 유무, 연구자 소속지역 등이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주제는 문헌정보학일반이 452편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자료조직 213편, 정보서비스 188편, 정보학 155편, 독서지도 101편, 도서관경영 91편, 서지학 84편, 장서개발 58편, 기록관리학 20편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정보학은 증가추세인 반면 서지학은 감소추세며, 기록관리학은 생산량이 부진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연구비 지원 여부는 428편이 연구비를 지원 받았으며, 이중 315편은 교내지원인 반면 나머지 108편은 정부지원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동연구의 경향은 점점 높아지는 추세에 있으며, 전무했던 초창기와 달리 최근에는 303편으로 증가하였다. 넷째, 연구자 소속지역은 대구, 경북에 집중되었던 초창기 현상과 달리 최근 들어서는 전국적으로 고른 분포를 나타냈다. 이를 통해 지역기반학회지에서 전국규모 학회지로 성장하였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설악산(雪岳山) 국립공원(國立公園) 지역주민(地域住民)의 관광영향(觀光影響) 지각(知覺)

        강미희,김성일,Kang, Mi-Hee,Kim, Seong-Il 한국산림과학회 1998 한국산림과학회지 Vol.87 No.4

        본 연구는 국립공원 지정과 앞으로의 관리방향에 대한 지역주민의 태도와 환경적, 경제적, 사회문화적 관광영향에 대한 지역주민의 지각을 파악하고, 지역주민의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관광영향 지각 차이를 검증하였다. 1997년 11월과 12월 동안 설악산 국립공원 경계 내에 거주하는 지역주민 153명의 설문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지역주민들은 긍정적, 부정적인 환경적, 경제적 관광영향을 모두 지각하는 한편, 사회적 관광영향에 대해서는 크게 지각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관광의 부정적인 영향 지각에도 불구하고 더 집중적인 편광개발을 선호하며 설악산 보전을 위한 이용자 수 제한에는 반대하는 입장을 표명하였다. 관광영향에 대한 지역주민의 지각은 연령, 학력, 직업과 관광의 관련 여부, 거주지, 거주기간 등의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understand the resident' attitudes toward national parks and to identify the residents' perceptions of tourism and the influence of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n their response. In winter of 1997, 153 questionnaires were obtained from a convenience sample of households within Soraksan National Park boundary. The residents perceived both positive and negative environmental and economic impacts of tourism, however, they were reluctant to attribute social costs to tourism. Despite some negative tourism impacts, most of the residents supported additional tourism development and disagreed to limit the number of visitors. Their perceptions of tourism impacts were varied with age, education level, economic dependency on tourism, place of residence, and length of residence.

      • KCI등재

        어린이도서관의 이용자편익과 이용자특성간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강미희,홍현진,Kang, Mi-Hee,Hong, Hyun-Ji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2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at the user benefit criteria can be applied as the user benefit criteria of children's libraries by examining the theoretical validity of the user benefit criteria and furthermore, by clarifying and verifying the mutual relation between the user benefit criteria and the child development area. For such a purpose,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247 users of children's libraries in the country and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 of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 between physical development and behavioral facilitation, emotional development and physiological maintenance, cognitive development and perceptual maintenance, and the development of social skills and social facilitation was appropriate. Second, usability, safety and diversity was valid as an index of behavioral facilitation, self-esteem, amenity and peacefulness was valid as an index of physiological maintenance, esthetic sense, dynamics and flexibility was valid as an index of perceptual maintenance, and leisure, communication and territoriality was valid as an index of social facilitation. Third, children who prefer physical development prefer the benefit of behavioral facilitation, children who prefer emotional development prefer the benefit of physiological maintenance, children who prefer cognitive development prefer the benefit of perceptual maintenance and children who prefer the development of social skills prefer the benefit of social facilit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이용자편익기준의 이론적 타당성을 확인하고, 이용자편익기준과 어린이발달영역과의 상호관계를 검증함으로써, 이용자편익기준이 어린이도서관의 이용자편익기준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 이 연구는 전국 어린이도서관 이용자 247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발달-행동의 용이성, 정서발달-생리적 유지성, 인지발달-지각적 유지성, 사회성발달-사회적 용이성의 대응관계는 적합하였다. 둘째, 편의성, 안전성, 다양성은 행동의 용이성, 자존감, 쾌적성, 편안함은 생리적 유지성, 심미감, 역동성, 융통성은 지각적 유지성, 휴식성, 소통성, 영역성은 사회적 용이성의 측정지표로 타당하였다. 셋째, 신체발달을 선호할수록 행동의 용이성을, 정서발달을 선호할수록 생리적 유지성을, 인지발달을 선호할수록 지각적 유지성을, 사회성 발달을 선호할수록 사회적 용이성을 선호하였다.

      • KCI등재

        연구논문 : 대중관광객과의 비교를 통한 생태관광객의 차별적 특성 규명: 여행 동기 및 태도를 중심으로

        강미희,김남조,최승담 대한관광경영학회 2002 觀光硏究 Vol.17 No.2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level and the potential demand for ecotourism of 1,000 residents in 5 metropolitan cities and to identify differential characteristics of ecotourism by comparing socioeconomic and travel characteristics and travel motivations and attitudes between ecotourists and mass tourists and analyzing on-site survey. Regarding the recognition level, residents who have never heard of ecotourism accounted for 50.2% of the total population in metropolitan cities, but potential demand for ecotourism was higher at 75.1%. Compared with mass tourists, ecotourists are composed of relatively higher proportion of female, unmarried, high income people and college graduates, and people with specialized jobs. Ecotourists had various travel experiences and preferred travelling alone or with a few companions. Ecotourists put more emphasis on experiencing active life and improving self-dependency through understanding and learning from nature than on improving physical health and relationships with family or colleagues. Ecotourists were more positive toward collecting information on travel destination before traveling, experiencing and learning from nature and culture of the destination, communicating with communities and respecting their culture while traveling than mass tourists. Travel motivations and attitudes of ecotourists showed that ecotourism had the potential to become sustainable tourism to harmonize ecosystem conservation with u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