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산간지역 주민의 의식구조적 특성 -홍천군 산간지역 설화를 중심으로

        강명혜 ( Myeong Hye Kang ) 온지학회 2012 溫知論叢 Vol.0 No.32

        본고는 홍천 산간 지역의 설화를 사회, 역사, 지배적 이념 등의 사회문화적 토대 하에서 천착해서 그 안에 내재한 산간 지역민의 사회, 역사, 의식, 무의식 구조 등을 추출하고자 했다. 우선 내촌에서 채록되고 있는 일련의 설화는 우리나라 광포설화이면서 각각 독립된 이야기로 전하는 <부자 망한 이야기>와 <아기장수>설화가 서로 연계되어 구성되어 있다는 특징을 보였는데 이는 결국 내촌, 두촌 지역이 이전에는 아주 흥청거리다가 망하게 된 역사적 사실을 반영한다고 보았다. 왜냐하면 이곳은 이전에는 광산(철광, 금광)이 있던 곳으로 이전에는 상당히 번성했던 곳이기 때문이다. 설화는 역사나 철학적 사유의 또 다른 언술방식으로서 전씨 부자가 망하게 된 것은 이렇듯이 흥성했다가 쇠망하게 된 이 지역의 경제적 실상이나 심적 아쉬움, 회한 등의 복합적 감정이 문학적 장치 속에서 재탄생된 것으로 보았다. 결국 흥행과 쇠락이라는 일련의 과정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 전씨부자 망하는 이야기 담의 문법구조인 것이다. 아기장수는 일제강점기의 좌절된 영웅이야기로 보았으며 이곳이 일제강점기 독립만세운동이 일어나고 확산되었던 역사를 상기해서 민초들의 아픈 역사들이 날줄 씨줄로 직조되면서 아기장수 설화로 재탄생되었을 것이라고 결론내릴 수 있다. 내면에서는 권대감설화가 지배적이었는데, 권대감 설화의 특징은 설화와 신앙이 함께 접목되어 있다는 것이었다. 권대감이 신이성을 획득하게 되는 징표나 이곳에 자리 잡을 수밖에 없었던 개연성, 주민들의 이런 저런 갈등을 해소시켜 주었던 상징성 등이 반영되면서 이념의 날씨 씨줄로 직조된 것이 바로 권대감 설화이며, 권대감은 이곳 사람들을 품위 있게 결속시키는 구시점적 역할과 기능을 했었기에 내면에서는 권대감 신앙이 오랫동안 지속될 수 있었을 것이고 아직도 진행된다고 보았다. 결론적으로 권대감 신앙을 내면 주민의 오랜 자존심이며 결속 대상물이라는 원형성을 함유한다. This paper was trying to extract the society, history, consciousness, subconscious structure of the mountain villagers throughout folklore by studying them about Hongcheon-gun mountainous territory under sociocultural foundation, such as society, history, the dominant ideology, and so 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series of tales being recorded in Naechon is Kang-po tales of our country, and they showed that folk tales, <The story of the downfall of the rich>(the story like the folk tale of Jang-ja pond) and <the baby hero>, were composed of and related to one another. These finally reflect the historical fact that in the past, these regions of Naechon and DuChon were well off, but is badly off now. If folk tales are another way for descriptive language about history and philosophical views, the downfall of the rich Jeon family is what reflected the real history of these areas. It seemed that mixed emotions were born again in literary devices, such as the real state of these regions being well off, but badly off, or a sense of futility, and remorse, and so on. It seemed that the baby hero is a frustrated hero story of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These places reminded us of the history that the independence movement rose and spread in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It concluded that the sad history of Korea was born again as a folk tale of the baby hero, weaving it with the latitude and longitude. In Ne-myeon, a folk tale of His Excellency Kwen was promine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lk talk of His Excellency Kwen was combined with folk tales and myths a folk tale of His Excellency Kwen was presumed to be reflected as a certain prop and the pride or a sense of wonder to people in Ne-myeon owing to the power of influence of His Excellency Kwen , who is of royal blood and the most literate stratum. It is the very folk tale of His Excellency Kwen to be weaved with the latitude and longitude of ideas, reflecting the sign that Kwen acquired noble and extraordinary, and the probability that he cannot help residing in this area, and the symbolism having resolved a variety of conflicts of residents and so on. His Excellency Kwen played the pivotal role and took the function as connecting nobly one another. In Ne-myeon, His Excellency Kwen Faith can withstand long and seemed to have continued. To sum up, It included the Archetype, which the His Excellency Kwen Faith is old pride of residents and the objection of community solidarity. Accordingly, I could found the real state, history, subconscious thought of the mountain villagers throughout folk tales of Hongcheon-gun mountainous territory, and folk tales were weaved with the latitude and longitude, such as the history of the region, ideals, consciousness and the subconscious structure, because of what made from literary attainments.

      • KCI등재
      • KCI등재

        죽음과 재생의 노래 -「公無渡河歌」

        강명혜(Kang Myong-hye) 우리문학회 2005 우리文學硏究 Vol.0 No.18

        The meaning and function of「Kongmudohaga」reflects something related to the death of human beings. For example, human beings are to die eventually. The death is a result of some causes. The survived family grieves and mourns, general people share with the grief and sorrow, and general people aid the process and ceremony of the funeral. However, the meaning and function of「Kongmudohaga」is not just restricted the death of men It also covers the birth of new life. In summary, the meaning and the function of「Gongmudohaga」is related to the life and death of human beings, as well as the principle, circulation and eternity of them.<br/> They are all related with each other when looked at through identical perspective. That is to say, the meaning of love in「Hwangjoga」connotes affluence and prosperity and is foresee of new birth of life in「Gujiga」. The birth of life in「Gujiga」is a preliminary announcement of the death in「Kongmudohaga」. Because of a symbolic representation of water, and the meaning of roast to eat, and the fact that life always meets death is preliminary announcement of death. So, the three poems are linked with each other and they imply the prototype of basic life. In the end, the three poems deserve to survive now, and are worth of great value. Details remain to be explored further in future due to limited space.

      • KCI등재

        강원도 오음산 산신제의 현 실황 및 향유자 의식에 따른 집단무의식 - 월운리를 중심으로 -

        강명혜 ( Kang Myeong-hye ) 한민족어문학회 2018 韓民族語文學 Vol.0 No.81

        강원도 오음산(五音山) 산신제는 현재까지 시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조사, 채록, 연구한 바가 거의 없다. 따라서 본고는 오음산 산신제의에 대해 조사, 채록해서 기록으로 남겨두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또한 여기에 내재되고 있는 향유자들의 입장이나 집단무의식, 의미 등도 조사해서 그 의미를 규명해 보고자 했다. 오음산은 930m의 산으로 횡성, 홍천에 걸쳐서 있으며, 홍천 쪽 마을은 월운리이다. 월운리는 진평마을(월운리 1, 2, 3, 4반)과 공주터 마을(월운리 5, 6리)로 나뉘는데, 산신제는 따로 지낸다. 그 이유는 오음산에서 내려온 산줄기를 기준으로 마을이 갈리기 때문이다. 이 두 마을 제의는, ① 오음산 여산신에 대한 제의라는 점, ② 제물로 황소를 올린다는 점, ③ 예전에는 황소를 통 마리로 올렸지만 현재는 황소머리만 올린다는 점, ④ 여산신이라 술 대신 감주를 사용하며, ⑤ 간단한 주과포와 떡(공주터 제물수가 조금 더 많음)을 올린다는 공통점이 있으며, 공주터 제물수가 조금 더 많다는 점, 진평마을에서는 떡을 올린다는 점, 제의 시간이 차이난다는 점 등 약간의 차이점이 있다. 또한 ‘오음’이라는 의미는 다양하게 채록되었지만, ‘신성하고 영험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는 공통점은 동일했다. 오음산 여신이 지니는 인식이나 그 태도를 분석한 결과, 오음산 여산신에 대한 향유자들의 의미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눠졌다. 첫째는 여산신이 지니는 긍정적인 측면이고, 둘째는 부정적인 측면이었다. 여산신이라서 동물을 감춰주며, 산삼도 많이 내주고, 영험하며, 위험한 일이 있을 때는 우는 것으로 표시를 해 주고, 마을을 평화롭게 지켜주며, 너그럽고, 물이 흔하며, 치성을 드리면 비를 내려준다는 의식은 긍정적 징표이다. 거기에 비해서 부정적인 향유의식으로는 오음산 신은 여신이라 욕심이 많아 움켜쥐면 내주지 않아서 산나물을 채취하거나 산짐승을 잡을 수 없다는 것과 여자라서 질투심이 많아 여자들을 허용하지 않는다는 것, 인간도 남자들만 원한다는 점, 그리고 여신이라서 파야지만 물을 내준다는 것이 그것이다. 이러한 점을 규명해 보면 긍정적인 측면은 고대로부터 전해지는 지모신에 대한 편린이 집단무의식화되어 전해진 것이고, 부정적인 측면은 조선조 ‘남존여비’ 사상이 집단무의식화된 것이라고 조심스럽게 결론내릴 수 있다. 지모신격의 여산신은 중도에 젠더로서의 여성성이 파괴되면서 신성성의 일부가 훼손된 것으로 본다. 이렇듯이 오음산 여산신에 대한 주민들의 향유의식은 상반된 양가적 의식이 날줄씨줄로 엮이면서 공존하고 있다. 이 논문은 점차 사라져가는 산신제를 채록해서 소개하고 기록하려는 목적이 우선이므로 본고에서는 향유자적 의식 부분을 소략하게 다룬 면이 없지 않다. 이 부분은 후고에서 보다 세밀히 천착해서 다루고자 한다. Although a ritual for mountain spirit of Oeumsan Mountain in Gangwon province has been carried out continuously, there have been little research or recording in a book about it. Therefore, this paper aimed to keep a record of research on a ritual for mountain spirit of Oeumsan Mountain and explain the stance of enjoying persons, the collective unconsciousness, and its meaning. Oeumsan Mountain is 930 meters long, stretching over Hoengsung and Hongcheon and the village near Hongcheon is Wolunri. Wolunri is divided into Jinpyeong Village (Wolun-ri 1, 2, 3, and 4 ban) and Gongjuteo Village (Wolun-ri 5, 6 ri) where a ritual for the mountain spirit has been carried out separately. The reason is that the village is divided based on mountain range. Similarities of the ritual at the two villages are: ① it is for the goddess of Mount Oeum, ② it is offered by bull as a sacrifice, ③ in the past, entire bull was put up. However, now only the head of a bull is offered, ④ it is offered with Gamju, a sweet drink instead of wine for goddess, ⑤ simple Jugwapo and rice cakes are served. Also, there are small differences in the ritual between the two villages. Gongjuteo has a slightly larger number of offerings while Jinpyeong Villager raises rice cakes. The time of the ritual is also different between the two This study also found that, although the meaning of 'Oeum' was recorded in various ways, similarities of 'meaning of the sacred and spiritual’ were identical. An analysis of enjoying persons’ perceptions and attitudes about the goddess of Oeum mountain can be divided into two parts. The first is the positive aspect of mountain goddess and the second is the negative aspect. In other words, the positive aspect that reflects the archtype of mother goddess and female degradation (sexual aspect) formed from the Confucian point of view coexist. The sacred side of being a goddess that protects the game and informs of the occurrence of hardship is a positive aspect. However, the ritual for goddess who has to dig the earth in order to gain water is negative. It is said that you need to make Bo, a reservoir for irrigation, to get water from remote area. That means you have to dig in the ground because it is occupied by a woman god. Also, there is consciousness that goddess does not like women because she is a female.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positive aspect is from fragment of Geomosin that mother goddess is carried out by collective unconsciousness from ancient while the negative aspect is that the idea of the Joseon Dynasty of Namjonnyeobi that treating woman as inferior to me, has been carried out by collective unconsciousness.

      • KCI등재후보

        제주도 신화 속 꽃의 의미 및 상징성

        강명혜 ( Myeong-hye Kang ) 온지학회 2016 溫知論叢 Vol.0 No.48

        우리나라 제주도 신화에는 상당히 주요한 모티프인 꽃, 그것도 신화 텍스트를 이끄는 의미심장한 주요소로서 꽃이나 꽃과 관련된 내용이 상당량등장하고 있었다. 본 논의는 오직 제주도 신화 텍스트만을 대상으로 해서 그 안에 내재한 ‘꽃’과 ‘꽃밭’의 의미나 기능, 상징성 등을 규명해 보고자했다. 그 결과 꽃과 꽃밭은 1) 능력 증명의 징표 2) 재생, 환생 상징 3) 멸망시키거나 죽이는 기능 4) 인간 생명을 상징 5) 관상의 의미 6) 생체 치유의 기능 등으로 표출되고 있었다. 이러한 모든 것들을 꽃에다 비유한 것은 제주도는 사시사철 따뜻한 편이라 꽃이 지천이기 때문일 것이다. 선조들은 꽃은 봉우리가 맺고 피고 지고 다시 피고, 또 겨울이 되어 보이지 않다가도 봄에는 다시 재생하는 것이 인간이 태어나고 살다가 죽으면서 지속적으로 되풀이 되는 것과 닮아있다고 인식했었다고 상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주신화에서 꽃과 꽃밭은 인간 생애의 모든 것이 녹아있다. 즉 태어나고, 성장하고, 여러 가지 일을 겪으며 살다가 죽고, 다음 세대도 그렇게 이어지는 ‘인간 존속 법칙이 내재하고 있으며, 이러한 사유를 통해 꽃의 일생과 닮았다고 인지했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꽃은 바람이 불면 웃는 듯도 하고, 싸우는 듯도 하며, 꺾기기도 하고, 다시 살기도 하는 형상도 마치 인간의 그것과 흡사하다고 보았을 것이다. 이렇듯이 꽃과 꽃밭에는 인간 삶의 다양한 측면이 형상화되어 있으며 통과의례적 측면도 아키타입화되어 있다. 결론적으로 제주 신화 속 꽃과 꽃밭은 여러 가지의 원관념을 지닌 보조관념으로서 인간 삶의 다양한 측면을 형상적이고, 구체적이며, 가시적으로 직조시킨 응집물이라고 결론내릴 수 있다. 이는 꽃이 별로 없는 북방의 신화에는 나무 여신이 등장하는 것에 대한 해답이기도 하다. There are lots of flowers and flower-related contents as a major motif and significantly meaningful elements leading to text of myth in the mythology of Jeju Island, Korea. This paper is aimed at identifying the innate meanings, functions, and symbolism of ‘flower’ and ‘flower garden’ targeting on the text of Jeju Island’s mythology only. As a result, the flowers and flower gardens are 1) a sign of capability proof 2) the symbol of rebirth and reincarnation 3) the functions of destroying and killing 4) the symbol of human life 5) the meaning of enjoying the flowers 6) the function of healing of body All these things are compared to flowers due to the warm weather all the year round and a number of flowers in Jeju Island. It could postulate the ancestors thought that the flowers bud, blossom, and fall again and again, disappearing in Winter and reappearing in Spring like human’s continuous resurrection, birth, living, and dying. Therefore the flowers and flower gardens in myth of Jeju Island are ingrained into human life. That is, rule of human existence underlies the fact that a human is born, grows, goes though many things, dies and continues to the next generation. So it is thought that human life is similar to flowers’ life. Also when it is windy, flowers’ features seem like smiling, fighting, bending and living again that is like human beings’ feature. Thus flowers and flower gardens are imaged in the different aspects of human life and are regarded as the archetype in aspect of a rite of passage. In conclusion, it is finalized flowers and flower gardens in Jeju Island’s mythology as subsidiary concept containing a variety of main concepts is figurative, concrete and visible weaving condensed materials in a variety of different ways. It is also a solution to appearance of goddess of tree where there are few flowers in the myth of the north province.

      • KCI등재

        한국 고전 시가의 여성 작가와 작품 속 아니마적 퍼소나의 특성, 그리고 바람직한 콘텐츠화 방안

        강명혜(Kang, Myeong-hye)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6 한국문학과 예술 Vol.18 No.-

        본고는 ‘여성, 즉 아니마적 목소리’에 주목해서 고전시가를 천착했다. 〈공무도하가〉와 〈도천수관음가〉, 〈원왕생가〉의 작가는 여성으로 알려져 있지만 시적 화자는 성별이 모호하게 나타난다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익명의 고려속요는 작품 텍스트 속 여성 화자의 행동이나 아니마적인 목소리로 인해 작가, 즉 ‘작품에 등장하는 여인과 동일 인물인 여성 작가’로 귀결되면서 남녀상열지사로 평가받았고, ‘작가’가 명시된 〈정과정곡〉은 유일하게 ‘충신연주지사’로 인정받고 있었다. 그러나 애정을 갈구하는 작품 내용과 아니마적 목소리 등은 두 작품 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익명의 고려속요도 작가가 ‘남성’, 그것도 ‘왕족’이나 ‘양반층’이라는 실명이 표기되어 있다면 충신연주지사라는 평을 받았을 확률이 클 것으로 보았다. 왜냐하면 고려속요는 제례악을 포함한 궁중악의 가사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고려속요는 표면적인 주제는 각기 다양하나 이면적으로는 왕에 대한 충성심의 표명, 왕실의 번영과 복을 기원하는 송축의 의미 등으로 환원된다는 공통점을 공유하고 있었다. 이렇듯이 작가가 남성이라고 해도 시적 화자는 ‘아니마’ 목소리로 나타날 수 있으며, 작가가 여성이라고 해도 ‘아니마’ 목소리를 취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고전작품의 이러한 특성을 이해하지 못하고 표면적 의미만을 가지고 스토리텔링이나 콘텐츠로 활용했을 때 선조들이 남긴 작품을 오도하고 의미를 축소하거나 문제가 야기된다. 따라서 이면적 의미를 고구해서 활용할 때 오류도 없고 의미가 확장되면서 영원히 지속될 수 있는 가치 있는 우리의 문화로 자리매김할 것이라는 점을 제시했다. This paper’s purpose is to study Korean classical poetry focusing on the voice of woman, the anima. Even though the writer of 〈Gongmudohaga〉, 〈Docheonsuyimga〉 and 〈Wonwangsaengga〉 is known as woman, the poetic speaker has traits of vague gender. Anonymous Korea folk songs are concluded that they have the same female writer as woman in the text due to female speaker’s act or the voice of anima, and are considered love song of male and female. 〈Jeonggwajeonggok〉 written by a certain writer is only recognized as a story of loyal subject to love and respect his king. But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works about the story of desire for love and the voice of anima. Thus, if animus koreasocack were written by male writer, especially royalty or Yangban by using real name, it would be likely that they are recognized as a story of loyal subject to love and respect his king. Because Korea folk songs is lyrics of royal court music including Ritual Music. Korea folk songs are concluded to the shared features that they have various themes ostensibly but have the presentation of the royalty to king, prosperity of the royal family and meaning of praise of wish for good luck behind. Although the writer is male, poetic speaker could have the voice of ‘anima’. It is known that though the writer is female, it doesn’t have the voice of ‘anima.’ When we do not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 of Korean classics and take advantage of storytelling and contents with only surface meaning, this study exemplifies misleading, reduction of meaning, or cause of problem of ancestor’s works. Therefore, when we use storytelling and contents of classics properly, our culture will have flawlessness, it’s meaning extension, and eternal values, considering the hidden meanings.

      • KCI등재

        일반논문 : 『삼국유사』의 언술방식

        강명혜 ( Myung Hye Kang ) 온지학회 2011 溫知論叢 Vol.0 No.28

        『삼국유사』는 국가와 종교에 관한 사실이나 사건을 편찬해 놓은 것으로서, 일연은 당대에 전해지던 설화나 신이한 이야기담 속에 내재된 진실과 실제적 사실을 간파했기에 이를 역사로 인지하고 기록하고 있었다. 이러한 일연의 지성 및 인지는 삼국유사를 기록하는데 있어서 아주 중요한 잣대 및 기표로 작용하게 된다. 이 잣대 및 기표는 바로 일연이 『삼국유사』를 작성하는 언표로서 모든 주제를 여기에 준거한 언술방식에 의해 기록했던 것이다. 이 언술방식은 바로 "문학적 문체, 문학적 글쓰기, 문학적 장치"라고 할 수 있다. 일연의 문학적 글쓰기는 우선, 당대의 설화를 역사적 사료로 보았다는 점과 또한 역으로 역사적 사료를 알레고리나 비유 등을 사용해서 편찬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또 다른 문학적 글쓰기는, 모든 기록문 후에는 문학적 장르의 하나인 韻文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운문을 제시한 것은 운문이 지니는 가치나 효용성 등을 인지했었기 때문이었다. 특히 일연이 자신이 지은 찬시를 부연시킨 것은 단순히 그의 분출하는 서정적인 자아의 표출이나, 시심이나, 종교심의 발로만은 아니며, 그 이상의 전략이 내포되어 있었다. 그것은 어떤 서사담이나 사건, 異蹟 등을 보다 객관화시키고 강조시키고 널리 전파시키고자 하는데, 찬시가 보유하고 있는 기능(문학 효용성)이 상당히 효과적임을 인식해서 이를 포교의 일환으로 전략적으로 이용했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일연의 문학적 마인드는 일연 개인만의 독특한 취향에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라 당시 지식인들이 추구하는 한 방식이었을 가능성이 클 것으로 추정했다. 특히 『삼국유사』는 『삼국사기』에서 누락시켰지만 당대 널리 알려진 신이한 이야기(糖衣를 입은)가 역사적 사료임을 파악하고 이를 기록, 편찬해 놓거나, 우리나라 역사상 반드시 필요한 史料를 간접 화법이나 문학적 당의를 입혀서 제시해 놓은 엄밀한 역사서`라고 결론 내렸다. The manuscript is premised that a certain sense of purpose and ideology will be existed where Ilyon compiled Samguk Yusa which will be clarified by the text and characteristics of Samguk Yusa will be researched by discourse and narrative style. Like this above, Ilyon saw through the truth, fact and lesson from the absurd story which he recognized and understood. Hence this could be used for the historical documents. Moreover, he tried Chan poem as a literature genre and the poem or Hyanga, old Korean folk songs, Chan as praise will be included at the end of incidents. In other words, Ilyon provided the historical documents via all kinds of literature discourse methods which are expressed by fable, poem, riddles (Jigisamsa, Sageumgab etc), and record letter so on. The reason why Ilyon presented that he recognized the value and efficiency of the verse. Based on this mentioned above, Ilyon had efficiently utilized the merits of Danguisung (syrup- capsule theory) with literature mind. Finally, Samguk Yusa is sublimated in history by cultural discourse style. Ilyon understood the gist of literature written style, intended a cultural code and had a macroscopic viewpoint. Even though Ilyon has characteristics, this is not limited to Ilyon as presuming the cultural mind might be influenced from expression style of Goryeo literature and the historical backdrop. After all, the title of Samguk Yusa is attached by being aware the Samguk Sagi which is the history book in that period. The omitted stories of Samguk Sagi and essential histories are presented in Samguk Yusa by indirect narration and literature investigation.

      • 『譯註 海觀自集』에 나타난 춘천의 세시풍속

        강명혜(Myeong-Hye Kang) 아시아강원민속학회 2007 아시아강원민속 Vol.21 No.-

        본고는 해관 홍종대 선생(1905~1951)의 유작품집인『譯註 海觀自集』을 통해서 1900년대부터 6ㆍ25전쟁 발발 전(구체적으로 1921~1950년)까지의 춘천지역 세시풍속은 어떠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당시에는 춘천지역에 많은 세시풍속 습속이 지켜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현대에는 거의 사라지다시피한 칠석, 유두, 중양절 등이 의례나 놀이를 행하는 중요한 명절로 인식되고 있었으며, 그 외의 명절에도 제의 및 ?邪行爲가 상당량 행해지고 있었다. 이를테면, 유두(벽사행위)나 중양일(벽사행위) 그리고 삼월삼질(불제사), 칠석(걸교제사), 동지(팥죽으로 제사)에는 민가에서 사적으로 제의를 지내거나 除厄招福의 의미가 있는 의식을 행했으며, 또한 단오, 대보름, 설날에도 邪氣를 물리치는 의식, 즉 도소주를 먹고 복숭아 부적 및 산초를 벽에 발랐으며(설날), 들에서 풍년을 점치거나, 江神을 위한 치성(어부제), 창포뿌리를 허리에 차서 벽사의 효험을 기대하거나 약쑥을 묶어서 대문 옆에 세워두고(벽사), 풀싸움과 채색 실 두르기, 창포술 마시기(단오) 등을 하기도 했다. 장수를 기원하는 의미의 채색 실 두르기나 물싸움 등은 춘천지역에서만 특별히 행해진 단오 풍속으로 알려져 있다. 그 외에 특별한 의식을 행한 것은 아니지만 초복, 중복, 말복 등에는 천렵을 가거나 술을 마시며 친교를 다지는 날로 인식되고 있었고, 민가에서 보편적으로 행해진 것은 아니지만 봄이나 가을, 혹은 봄가을에 행해지는 문묘석전제사와 백운동제단제사, 매강단 제사, 그리고 만천리에서 행해지고 있는 신라시조 박혁거세묘 제사 풍습이 잘 드러나고 있었다. 또한 작가는 민가에서 행하는 의례에는 비판적이었지만 〈祭道路祭祝文〉이나 〈后土祭祝文〉을 짓는 등, 작가의 의식세계도 우리의 원형상징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고 있었다. This manuscript examined Chuncheon seasonal customs through 『Yeok-Ju Hae-Gwan-Ja-Jip』, posthumous works of Hae-Gwan Hong Jong-Dae (1905~1951), from the 1900s till before the outbreak of Korean War. It showed that many conventions of seasonal customs were kept In Chuncheon in those days. Chilseok, Yudu, and Jungyangjeol, which almost don’t exist at present, were recognized as important holidays that hold ceremonies and plays, and ceremonies and Byeoksa(a ceremony or force of rejecting evils) were held in other holidays as well. For example, in Yudu(Byeoksa), Jungyangjeol(Byeoksa), Samwol samjit nal(Bull religious service), Chilseok(Geolgyo), and Dongji(religious service with red bean gruel), ceremonies were held privately in houses or those which symbolize Jeaek Chobok were held. In Dano, Daeboreum, and the New Year’s Day, ceremonies for repulsing evil force, that is, herbal wine was served, and peach amulet and mountain grasses were pasted on walls (New Year’s Day). Also, fortunes for good harvest were told in the fields, sacrifice for the god of rivers was offered (religious service of fishermen), root of iris was girded round the waist and effects of Byeoksa were looked for or wormwood was tied and set beside the front gate(Byeoksa), grass fight and wrapping colored string, drinking iris wine (Dano) and etc. were done as well. Grass fight and wrapping colored string, which symbolize a long life, were known as customs of Dano that were held only in Chuncheon. Although there weren’t any special ceremonies, Chobok, Jungbok, and Malbok were recognized as days to go fish in a river or drink and form a close friendship, and although it wasn’t universally held in houses, customs of religious service for Mun-myo-seok-jeon, Baeg-un-dong-je-dan, Bak-hyeok-geo-se-myo, the founder of Silla, and Mae-gang-dan which are held in spring or fall, are well known. Also, even though the writer was critical with ceremonies held in houses, having written 〈Jae-Do-Ro-Jae-Chuk-Mun〉 and 〈Hu-To-Jae-Chuk-Mun〉, his world of ceremony didn’t wander from our original symbol(archetype).

      • KCI등재

        문화 : 강지역 주민의 의식구조적 특성 및 원형(archetype) -홍천강 지역을 중심으로-

        강명혜 ( Myeong Hye Kang ) 온지학회 2013 溫知論叢 Vol.0 No.37

        본고에서는 홍천강 지역 생활권 주민들의 민속, 민간신앙, 설화 속에 풍요적 측면이 어떻게 투영되고 있으며, 어떤 방식으로 추출되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연역적 방식을 통해 결과를 추출하고, 이 결과는 또 어떻게 그 원인에 영향을 주는지 쌍방향적인 측면까지도 살펴보고자 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홍천강 지역민들이 대보름날 행했던 민속 중에는 ‘어부슴’이 상당히 성행했었고, 비록 소수이지만 지금도 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물가에서 여성에 의해 주로 행해지고 있었다. 또한 달을 보면서 기원하는 달맞이는 동네마다 집집마다 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역시 물가에서 주로 하고 있었다. 기우제의 경우도 마을마다 조금씩 그 양식이나 형식 등이 달랐지만 ‘여자’가 주체가 되어 ‘물’에 가서 한다는 점에서는 동일했다. ‘민간신앙’도 산신이 일색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졌었거나 이루어지고 있었고, 무엇보다도 산간지역 민간신앙의 특색이었던 ‘권대감’ 신앙과 비견되는 팔봉강가의 ‘팔봉산 삼여신’이 부각되고 있었다. 설화는 채록된 것이 별로 없지만 그래도 다른 지역에 비해 물과 여자와 관련된 설화가 소수 채록되었다. 이렇듯이 강지역민들의 민속행위는 상당히 많은 부분이 ‘달’과 ‘물’과 ‘여인’과 밀접한 관례를 보이는 것으로 수렴되었다. 달과 물은 농사짓는데 필요 불가결한 존재들이라는 점에서 이는 곧 풍년, 즉 풍요와 관련이 되고, 여성은 생산력의 주체라는 점에서, 달은 끊임없이 재생한다는 특성을 지녔다는 점(생생력의 원천)에서도 동일시되었음을 밝힐 수 있었다. 세계적으로 풍요를 기원하는 초기 제의에서는 ‘농사’와 관련된 사물들이 주로 숭배의 대상이 되었다는 점을 상기할 때, 홍천 강 지역의 경우도 동일한 결과를 보인다고 결론내릴 수 있었다. 이렇듯이 강지역 주민들은 본인들도 의식하지 못한 채 인류의 오래된 아키타입 중 하나인 풍요 원리에 기반을 한 여러 가지 의례나 행사를 하면서 풍요의 원리를 끊임없이 재생하는 삶을 영위하고 있었다. 또한 실제적으로 강변지역 지역민들은 다른 지역보다 큰 부침이 없이 평온하게 살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실제로 배고픈 시절이 산간지역민보다 훨씬 덜 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요인은 강이 주는 생산적 측면이 작용했기 때문이라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렇듯이 강변지역의 지역민들은 집단무의식이나 실제적인 삶의 측면에서도 다른 지역보다는 ‘풍요성’이 근저를 이룬다고 할 수 있었다. This paper is an attempt to study how the aspects of richness are reflected and what results are produced in folklore, folk belief and narratives of inhabitants living in the area of the Hongchun Ri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produced through. And also the results of this study which are produced through the deductive method are examined how their results influence the causes including interrelatedness between the cause and the result.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inhabitants in the Hongchun River have performed Abusum prevailing considerably among folklore performed on fifteenth day of the lunar month. In spite of a small number of people, it has been performed by them at the every door and at the every village until now. It is also known that Dalmajy, viewing the first full moon, has been also performed by women at the edge of the water. Giwoje, a ritual for rain, was different informs styles a bit with villages, but There has been similar a result that the women as the main agents, go to the waterside for ritual ceremonies. The falk belief consisted and has consisted of belief in not just the god of a mountain but also varied types of gods. Above all, Palbonsanyeosansin, the goddess in Palbon Mountain was being magnified comparing with Kwandeagam belief which was fill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mountainous territory in falk belief. There are a few narratives recorded which are water-related and woman- related narratives compared to other areas. It is concluded that the moon, water, and women are closely interrelated in many ways. It could be clarified that the moon and water which are necessary to do farming for a good harvest related to the fertility, women who are agents of the productive forces, and the moon which constantly regenerates itself as the source of the productive forces. Like this, it could be concluded the same result in the area of Hongchen River when it is considered that things related to farming at the primordial ceremony for the fertility are usually objects of veneration worldwidely. Being unaware of what`s going on, the residents in the region of rivers have lived regenerating the principle of fertility by performing many kinds of rituals or ceremony, that are one of the oldest archetypes in the human. Also, it is practically known that the residents at the edge of the water have lived better in peace without ups and downs than any other region. They have had less hard time of hunger than the residents at the mountain village. The result could be verified the function of productive aspects. And It could be based upon the fertility in which inhabitants living in the area of the rivers have lived in more affluent lifes than any of other locations in terms of collective unconsciousness and practical lif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