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기거래조약의 발효에 따른 국내적 이행 방안

        강두원(KANG Doowon) 대한국제법학회 2015 國際法學會論叢 Vol.60 No.2

        무기거래조약이 2014년 12월 24일 발효하였다. 한국은 이에 대해 2013년 6월 3일에 서명은 했으나 아직까지 비준하지는 않은 상태이다. 그러나 정부가 2014년 11월 13일 제출한 비준동의안이 국회 심의 절차를 거치고 있는 중이므로 곧 비준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비준 이후, 무기거래조약은 각 당사국으로 하여금 국내법 제정에 따른 재래식 무기 거래의 통제 의무를 부여한다는 점에서, 후속적인 국내법의 정비는 필수적으로 요구될 것이다. 국내법 정비를 위해서는 한국의 재래식 무기 관련 법령이 무기거래 조약의 요구 사항을 얼마나 반영하고 있는지, 만약 반영하고 있지 않다면 관련 한국법을 어떻게 개정해야 할지에 대한 검토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재래식 무기의 거래 통제를 규율하는 한국법으로는 대외무역법과 방위사업법(및 그 하위 법령과 행정규칙)이 있으나, 위 법들은 무기거래조약이 재래식 무기의 수출, 수입, 경유, 환적, 중개, 전용에 있어서 요구하는 바를 온전히 담지 못하고 있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무기거래조약 제6조 및 제7조 제3항이 요구하는 바대로 일정한 경우 수출허가를 의무적으로 금지하도록 하는 한국법상 규정은 없는 상황이다. 또한 무기 수입에 대한 허가 및 감독 관련 규정도 전반적으로 미비한 상태이며, 무기 수출 이후 무기 전용이 사후적으로 발견되는 경우의 대비책에 대한 입법 상태도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한국 정부는 무기거래조약을 조속히 비준하는 한편 본 논문에서 언급된 점들을 참고하여 국내법 정비를 신속하게 추진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Arms Trade Treaty entered into force on December 24th of 2014. The Republic of Korea signed on the Treaty on June 3rd of 2013 but has not ratified it yet. Nevertheless, ratification of tire Treaty is expected to be conducted soon because the bill for ratification was submitted by the Korean government on November 13th of 2014 and it is now in the review course of the Parliament. After ratification, considering that tire Arms Trade Treaty imposes car each State Party obligation to control trade of conventional arms by establislrment of national laws and regulations, it will be definitely necessary for the Korean government to modify the Korean laws related to control of trade in conventional arms. To modify the Korean laws, it needs to be previously studied whether the Korean laws regarding control of conventional arms is reflecting obligations of tire Arms Trade Treaty and, if not, how the Korean laws should be amended. Although Foreign Trade Act and Defense Acquisition Program Act(with their subordinate regulations and rules) can be referred to as tire Korean laws which regulates control of trade in conventional arms, they do not seem to fully include obligations and requests which the Arms Trade Treaty is stipulating with regard to export, import, transit, trans-shipment, brokering and diversion of conventional arms. Specifically, there is no such Korean laws which, as Article 6 and 7.3 of the Arms Trade Treaty requires, make the government in some circumstances to mandatorily refuse to authorize export of conventional arms. In addition, it also seems that both of laws regarding authorization and supervision of import of conventional arms and laws regarding enforcing of measures in case diversion of exported conventional arms has occurred are incomplete. Therefore, I think the Korean government needs to do two following things: First, ratifying of the Arms Trade Treaty as soon as possible; And second, conducting of modifying of the national laws and regulations based on the amendment suggestions mentioned on this paper.

      • KCI등재

        미국의 FMS 거래시 분쟁해결방식에 관한 연구

        강두원(KANG Doowon) 대한국제법학회 2018 國際法學會論叢 Vol.63 No.2

        우리나라는 국가 안보를 위하여 무기를 자체적으로 개발하기도 하지만 무기 개발에 소요되는 기간이나 비용, 우리나라의 기술 수준 등을 고려하여 외국에서 완제품 또는 부품을 수입하는 경우도 많이 있다. 우리나라는 그 중에서 특히 미국의 FMS(Foreign Military Sales, 대외군사판매)를 통해 미국으로부터 무기를 구매하는 비율이 높다. FMS에 의한 무기거래 역시 여전히 어떤 물건의 거래라는 점에서 매도인과 매수인 사이에 분쟁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 그런데 FMS는 국가 대 국가의 관계에서만 사용되는 방식이므로, 분쟁해결에 대해서는 FMS 과정에서 미국과 수입국 정부간 체결된 계약 및 국제법의 법리가 적용되게 된다. 한편, FMS 계약에서 사용되는 표준 LOA 제7.2조가 “어떤 의견 불일치도 협의에 의해 해결한다”고 규정하고 있어서 해석상 문제가 발생된다. 만약 표준 LOA가 소송에 의한 분쟁해결이 허용함을 전제한다면, 미국 법원에서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에는, FMS 거래가 미국의 외국주권면제법상 상업적 행위의 예외에 해당되는지 여부는 아직 불확실한 것으로 보이고, 다만 LOA에서 준거법을 미국법으로 정하고 있다면 이는 외국주권면제법상 묵시적 포기에 해당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FMS 계약 관련해서 우리나라 법원에서 한국과 미국간에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에는, 우리나라 법원은 한국법은 제외한 채 미국의 외국주권면제법만을 적용하고 나아가 미국정부를 상대로 재판권을 행사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Although Republic of Korea have developed some of military arms for national security, in many cases, it has purchased complete arms or their parts considering the period and amount of budgets to develop arms and the level of technology where it is located. Among them, it is of a high possibility for Republic of Korea to purchase arms from the U.S., especially through Foreign Military Sales(FMS). As arms trade made through FMS is also one of ways to purchase goods, there can be disputes between sellers and purchasers. However, because FMS is a method only used between nations, dispute resolution would be governed by contracts entered into between the U.S. and the importer nations and international law. Article 7.2 of the standard LOA, a typical form of FMS contracts, provides “resolve any disagreement ... by consultations” so that it seems that there is an issue of interpretation. Assuming that the standard LOA allows dispute resolution by domestic courts, in cases where a litigation is filed in the U.S. courts, it seems that whether the FMS contracts fall within the exception of commercial activity upon the Foreign Sovereign Immunities Act(FSIA) is unclear. However, if LOA provides that U.S. law is a governing law, it is of high possibility that such provision would be regarded as waiver by implication upon FSIA. In cases where a litigation regarding a FMS contract is filed in the Korean courts between Korea and the U.S., it is of high possibility that they would only apply FSIA setting aside the related Korean laws while exercising jurisdiction against the U.S. government.

      • KCI등재

        긴급체포시 사후영장제도 미비에 대한 입법 부작위 위헌 심사 가능성

        강두원 ( Doowon Kang )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16 고려법학 Vol.0 No.82

        체포영장과 관련하여 헌법 제12조 제3항은 모든 체포에 있어서 사전 영장 발부를 원칙으로 하고 있으나, 다만 단서에서 ① "현행범인인 경우"와 ② "장기 3년 이상의 형에 해당하는 죄를 범하고 도피 또는 증거인멸의 염려가 있을 때"에는 "사후에 영장을 청구"할 수 있다고 하여 일정한 예외를 허용하고 있다. 이러한 규정은 헌법 제12조 제3항의 문헌, 헌법 개정의 역사 등을 고려할 때 하위 법률로 하여금 긴급체포에 대한 사후영장제도를 규정하도록 위임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런데 위 ②에 해당되는 긴급체포와 관련하여 현행 형사소송법은 체포된 피의자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하지 않고 석방하는 경우 형사소송법 제200조의4 제4항에 따른 긴급체포의 이유, 석방 사유 등을 법원에 "통지"하도록 하는 이외에 별도의 사후 영장을 받도록 하는 규정을 두고 있지 않다. 이러한 현행 형사소송법의 규정은 헌법 제12조 제3항의 명시적 위임에도 불구하고 아무런 규정을 두지 않은 것으로 입법부작위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입법부작위는 헌법 제12조 제3항의 명시적 위임에 반하는 것으로서 위헌이라고 생각된다. Regarding arrest warrants, Article 12 paragraph 3 of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makes it a principle that warrants be issued prior to all kinds of arrest, while permitting as exceptions ex post facto warrants (i) "where a criminal suspect is an apprehended flagrante delicto" and (ii) "where there is danger that a person suspected of committing a crime punishable by imprisonment of three years or more may escape or destroy evidence." Taking into account the text of the Article 12 paragraph 3 of the Constitution and the history of its amendments, the provision should be construed that it gives to subordinate laws an obligation to stipulate "an ex post facto warrant" to the aforementioned case (i) and (ii). However, regarding case (ii), which is called emergency arrest, the Criminal Procedural Act does not have any provisions for an ex post facto warrant while, based on Article 200-4 paragraph 4, just requesting prosecutors to "notify" to the court such information as specific reasons for emergency arrest, reasons for release, etc. in case they release an arrested criminal without requesting a warrant of detention. This state of the Criminal Procedural Act should be assumed a legislative omission because it stipulates nothing about an ex post facto warrant regardless of the obvious delegation of Article 12 paragraph 3 of the Constitution. Therefore, in my opinion, this legislative omission is considered unconstitution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