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선박화재면책제도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강동화 동국대학교 비교법문화연구소 2022 比較法硏究 Vol.22 No.3

        During the past five years form 2017 to 2021, 624 marine accidents were caused by ship fires or explosions that is about 4.4% of total marine accidents(14,100) of same period. But large-scale ship fires at domestic and abroad have been steadily increasing recently. Well known ship fire cases in Korea include the car carrier “Auto Banner” fire accident at Incheon Port in 2018, car carrier “Platinum Ray” fire accident at Ulsan Port in 2019, the chemical carrier “Stolt Groenland” fire/explosion accident at Ulsan Port in 2019, and the cable layer “Responder” fire/sinking accident in 2020. Various protection systems and marine insurance systems for a carrier are well established because damages caused by maritime accidents such as ship fires can exceed the freight earned and it is difficult to prove the cause of the accident. Carriers’s fire defense is a representative system about it. Among the responsibilities of sea carriers, the most distinctive one is the fire immunity of the carrier, which is not recognized for the carriage by land or air. The fire immunity of the carrier is widely recognized today, which started from disclaimers in bills of lading regarding the responsibility of Leceptung under ancient Roman law or the responsibility of public carriers under English common law. However, Hamburg rules and German law have actually abolished fire immunity of the carrier, and voices of abolition have recently been rising due to technological advancement. However, it is considered unreasonable to radically remove fire immunity of the carrier as it will result in transfering the serious risk of fire on a ship to a carrier (or carrier's insurer), and to have the carrier bear all damages incurred in the sea transport process. As maritime accidents during carriage of cargo in these days are actually handled by cargo insurance, owner’s protection and indemnity insurance, and associations, discussions on insurance terms and conditions and rates should precede prior to the abolition of the fire exemption of the carrier. In addition, even if the fire immunity of the carrier is abolished, it is reasonable to gradually abolish it. It would be appropriate to gradually reduce the range of application, such as to fire caused by external source at berth → fire onboard while at berth → fire during the voyage. 2017년부터 2021년까지 5년간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전체 해양사고 14,100건 중 선박화재 또는 폭발로 인한 사고는 약 4.4%에 해당하는 624건에 불과하지만, 최근 국내·외에서 대형 선박화재 사고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대표적인 한국에서의 선박화재 사고는 2018년 자동차 운반선 오토배너호 인천항 화재사고, 2019년 자동차 운반선 플레티넘레이호 울산항 화재사고, 2019년 화학제품운반선 스톨트 그로이란드호 울산항 화재/폭발사고, 2020년 광케이블 부설선 리스폰더호 화재/침몰사고 등이 있다. 해상운송 중 발생하는 선박화재 등 해상사고는 운임에 비해 피해 규모가 크고, 사고원인에 대한 입증이 어렵기 때문에 여러 가지 보호제도와 해상보험제도가 잘 마련되어 있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인 선박화재면책제도이다. 해상운송인의 책임 중에서 가장 특징적인 것은 화재면책제도를 두고 있는 것인데, 육상, 항공운송인에게는 인정되지 않는 것이다. 화재면책제도는 절대적인 책임을 부담하던 고대 로마법상 수탁책임 또는 영국 보통법상 공중운송인의 책임 등에 대응해 선하증권에 면책약관을 넣는 것에서 시작되어 오늘날 널리 인정되고 있다. 하지만 함부르크규칙 및 독일법에서는 화재면책을 실제로 폐지한 바 있고, 최근 기술 발전 등을 이유로 폐지의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화재면책을 급진적으로 갑자기 폐지하는 것은 선박에서의 화재라는 중대한 위험을 해상운송인(혹은 운송인의 보험자)에게 전가하는 것이고, 해상운송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손해를 해상운송인에게 부담하도록 하는 것으로 불합리하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화재면책제도의 폐지에 앞서 현대에서의 화물에 관한 해상사고는 실제적으로 적하보험과 선주상호보험, 공제 등의 보험으로 처리되므로 보험법에서의 논의 및 보험약관이나 요율의 변경이나 수정에 대한 논의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화재면책을 폐지하더라도 점진적으로 폐지하는 것이 타당한데, 예컨대 외부에서 발생한 정박 중 화재 → 선박 내부에서 발생한 정박 중 화재 → 항해중 화재 등으로 장소적 범위를 단계적으로 축소해나가는 방향이 타당할 것이다.

      • KCI등재

        중국 고대 심미관에 의한 여성 이미지 연구(Ⅰ) - 唐宋时期를 중심으로 -

        강동화 한국의상디자인학회 2022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Vol.24 No.3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different external images of women expressed in ancient artwork through the socio-cultural background and the aesthetic view during the Tang and Song dynasties of China. The research method contains a literature review involving the collection of historical literature, thesis, and artwork data. The image of women according to the aesthetic view of the two periods is summarized as follows. In terms of face shape, the Tang pursued a round face while the Song pursued a more slender shape. As for hair ornamentation, the Tang wore various shapes of hair buns like “Paojiaji”, and decorated them with coronets. The Song wore various types of braided hair called “Tongxinji”, but the coronets were smaller and more sophisticated. For makeup, the Tang wore colorful and heavy makeup and the Song makeup was lighter and more elegant. In attire, the Tang followed revealed shape, used splendid colors and thin, transparent material. The Song exhibited a more simple design and was conservative and neat, using luxurious silk fabric with low chroma. In body shape, the Tang pursued the “beauty of obesity” with a voluptuous body shape; the Song pursued the “beauty of gaunt” with a slim body shape.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 aesthetic views of the Tang and Song dynasties, women of Tang were depicted as rich, and women of Song were rather neat. The research on the aesthetic views that chang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social civilization and the status of women will play an active role in the transmission and development of traditional Chinese culture. At this point, the paper may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images of women as well as changes in the art of future generations.

      • KCI등재

        선박화재 관련 선원의 징계와 형사처벌에 관한 연구

        강동화 한국해법학회 2023 韓國海法學會誌 Vol.45 No.1

        A fire on a ship causes a large amount of damage to hull and all cargoes on board, and the fire extinguishing work must depend solely on crews without external help, and it is very difficult to prove negligence of relevant parties. In particular, due to the recent increase of large-scale ships, damage to life and property has also been increased in the event of a ship fire accident. Well known huge ship fire cases in Korea include the car carrier “Auto Banner” fire accident at Incheon Port in 2018, car carrier “Platinum Ray” fire accident at Ulsan Port in 2019, the chemical carrier “Stolt Groenland” fire/explosion accident at Ulsan Port in 2019, and the cable layer “Responder” fire/sinking accident in 2020. In fact, various legal issues arise when such a ship fire accident occurs, and legal relationship between relevant parties is also complicated. But recently, the existence of disciplinary action and criminal penalties of seafarers regarding the cause of fire and the appropriateness of firefighting work has become an issue. Disciplinary action and criminal penalties of on seafarer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whether or not the civil liability exists and the extent of civil liability between the relevant parties, so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explicit standards for determining the negligence, discipline, and punishment of seafarers in firefighting work. This study reviewed and analyzed specific cases in which the Maritime Safety Tribunal and the Criminal Court acknowledged the fault/negligence of seafarers and punished them in relation to ship fires, and draw out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such as legalization of seafarers' firefighting duties. 선박에서의 화재는 한 번의 사고로 선박과 선박에 적재된 화물 전부에 대해 거액의 손해를 발생시키며, 소화작업이 외부의 도움 없이 선원들에게 의존해야 되며, 이해당사자들에 대한 과실의 입증이 매우 어렵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특히, 최근 선박의 대형화 추세에 따라서 실제 화재사고 발생 시 인명과 재산에 대한 피해도 점점 더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구체적으로 우리나라에서도 2018년 자동차 운반선 오토배너호 인천항 화재사고, 2019년 자동차 운반선 플래티넘레이호 울산항 화재사고, 2019년 화학제품운반선 스톨트그로이란드호 울산항 화재/폭발사고, 2020년 광케이블 부설선 리스폰더호 화재/침몰사고 등 대형 선박화재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실제 위와 같은 대형 선박화재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매우 다양한 법률문제를 발생시킨다. 특히 화재사고와 관련된 이해당사자간의 민사상 책임이 주로 문제되지만 최근에 들어 선원들에 대한 화재의 발생 원인 및 소화작업의 적절성 여부 등에 관하여 행정제재 및 형사책임의 존부가 쟁점이 되고 있다. 이러한 선원에 대한 행정상 제재 및 형사처벌은 실질적으로 이해당사자들 간의 민사책임의 존부 및 범위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선원들의 진화작업에 관한 과실과 징계 및 처벌을 결정함에 있어 명시적인 기준의 확립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선박화재와 관련하여 해양안전심판원과 형사법원의 선원의 과실에 관한 징계 및 판결 등의 구체적인 사례에 대해 살펴보고 그에 관한 문제점과 선원의 소화의무에 관한 법제화 등의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 아밀로이드 뇌혈관병증과 연관된 뇌출혈

        강동화 대한뇌졸중학회 2003 Journal of stroke Vol.5 No.1

        아밀로이드 뇌혈관병증(cerebral amyloid angiopathy,이하 C A A )은 콩고친화성 아밀로이드 단백물질이 뇌피질과 연수막의 작은 혈관벽에 침착하는 병이다. CAA의 정도는 아밀로이드의 혈관 침착외에는 아무런 증상이 없는 경증에서부터 아밀로이드가 혈관을 완전히 대치해서 혈관벽을 파손하는 중증까지 다양하다. 중증 C A A는 뇌출혈이나 백색질뇌증, 열공경색, 치매 등을 유발할 수 있다. 대부분의 C A A는 산발성이지만, 네델란드형( h e r e d i t a r y cerebral hemorrhage with amyloidosis [HCHWA]-Dutch type)이나 아이스랜드형( H C H W A -Icelandic type)과 같은 유전형도 존재한다 [1, 2]. C A A와 연관된 뇌출혈(CAA-related intracerebral hemorrhage, 이하 C A A H )은 노령인구에서 드물지 않고 항응고제나 혈전용해제 사용과의 연관성 등으로 주목받고 있다. 또한 고혈압이나 응고장애가 없는 노령 환자에서 뇌출혈이 발생할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할 질환이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수치해석에 의한 바닥난방공간의 온도변화에 따른 VOCs 방출속도 예측

        강동화,최동희,김선숙,김영돈,여명석,김광우 대한설비공학회 2006 설비공학 논문집 Vol.18 No.6

        The paper deals with the numerical analysis of contaminants emission from the material affected by temperature variation in floor heating system. Considering mass transfer and heat transfer theories, a computer program for the analysis of VOCs emission was made. To demonstrate the accuracy of the numerical solution, the prediction results and the measured data were compared. Using this program, emission rates of the materials in the bake- out space and the no bake-out space were compared to estimate the variation of emission r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