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세계 RTA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한국 FTA 전략에 관한 연구

        강동준 ( Dongjoon Kang ),박근식 ( Keunsik Park ) 한국통상정보학회 2017 통상정보연구 Vol.19 No.3

        세계경제의 글로벌화와 함께 국가 간 무역네트워크는 지리적 근접성을 초월해 확장되고 있으며 이러한 무역네트워크의 확장은 세계화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한·칠레 FTA를 시작으로 지난 10년 동안 명실상부한 FTA 강국으로 자리매김 했으며 단기간의 성공적인 네트워크 구축은 체결국과의 교역증대, 해외시장 점유율 상승 등 긍정적 경제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다른 국가 역시 지역경제 통합 및 양자간 무역협정 네트워크 형성으로 경제 패러다임 전환을 이루고 있어, 전체 RTA 및 FTA 네트워크에 대한 이해를 통한 새로운 기회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960년대부터 현재시점까지의 세계 각국의 RTA 및 FTA 현황을 파악하고 사회네트워크분석을 통해 네트워크 구조와 중심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 전 세계 FTA 네트워크의 구조는 점차 확장 중에 있으며 초기 유럽중심에서 아시아권 국가들의 성장이 두드러지고 있다. 중심성(Degree, Betweenness, Closeness 및 Eigenvector)분석결과 한국은 짧은 기간 동안 모든 중심성 지표에서 상위권을 차지하며 전략적으로 FTA 성과를 이룬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FTA를 거시적 관점으로 살펴보고 이를 통해 세계 FTA의 구조와 한국의 FTA 전략을 평가하고 네트워크적 관점의 FTA 네트워크를 평가하였다. With the globalization of the world economy, international trade networks are expanding beyond geographical proximity, and the expansion of such trade networks is playing a role in promoting globalization. Korea has established itself as a strong FTA for the past 13 years, starting with the Korea-Chile FTA. Successful establishment of a short-term FTA network has shown positive economic effects such as increased trade volume with partner countries and market share in overseas markets. Other countries are also turning to the paradigm of economic development through the formation of a regional economic integration and a bilateral trade agreement network, and it is time to investigate new opportunities through understanding the entire RTA and FTA network.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status of RTA and FTA from the 1960s to 2010s, analyzed network structure and centrality through SNA(social network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structure of the FTA network is gradually expanding, and the FTA network, which has been expanding to the center of the early European countries, is changing toward the Asian countries such as Korea, China and Japa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degree of centrality, Korea was ranked as the top in all the degree of centrality(Degree, Betweenness, Closeness and Eigenvector) indicators for a short period of time and it means that Korea`s FTA strategy was evaluated as very successful. This study examines the FTA among the global RTAs, assesses the structure of the FTAs and evaluates Korea`s FTA strategies and the FTA network from a network perspective.

      • KCI등재

        세계 주요지역 항만의 네트워크 특성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강동준(Dongjoon Kang) 한국항만경제학회 2015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3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네트워크 이론 관점에서 정기선 운항에 따른 해운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세계 주요 항만의 중심성을 분석해 보고 항만경쟁력으로 대변되는 항만물동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선사 중심의 항만경쟁력 평가 및 항만당국 및 항만운영자의 컨테이너항만 경쟁력 향상방안과 개발정책에 필요한 근거를 마련하는데 있다. 항만의 네트워크 중심성을 파악하기 위해 이용된 데이터는 Containerization Yearbook과 online의 2007년부터 2011년까지 6년간의 정기선사 서비스 및 항만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그래프 이론의 한 부문인 사회 네트워크 분석(SNA: Social Network Analysis)을 이용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도출된 주요 항만의 중심성과 항만경쟁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하여 항만물동량과의 패널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세계 주요항만의 중심성을 분석하여 시간에 흐름에 따른 항만 네트워크 내 역할에 대해 파악되었고, 고정효과모형(Fixed effect model)으로 선택된 패널회귀분석을 통해 거시경제변수인 GDP, 선석의 변화율 및 항만 중심성 중 위세 중심성(Eigenvector Centrality)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twork characteristics of ports and their performance that is represented by port competitiveness for the port operators. The study employs Social Network Analysis (SNA) to evaluate network characteristics comprising four centrality indices. For this research, data from Containerization International Yearbooks for 2006–2011 is used to analyze the service networks of 20 major liner shipping companies. In SNA, nodes (vertices) in the network are the ports and links (edges) in the network are connections realized by vessel movements, such that the liner shipping network determines the port network. In addition, panel regression analysis has been employ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ort network characteristics and their performance.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four centrality indices identify the roles of the world"s major ports from 2006 to 2011 and that port performance is determined not only by macroeconomic variables and service capabilities but also by the eigenvector centrality of ports in networks.

      • KCI등재

        세계 주요 정기선사의 항만네트워크에 관한 연구

        강동준(Dongjoon Kang),방희석(Heeseok Bang),우수한(Suhan Woo) 한국항만경제학회 2014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30 No.1

        해상과 육상운송의 접점인 항만은 생산, 거래, 물류 및 정보 교류의 필수적인 플랫폼으로 각 항만을 교차하는 공급사슬 시스템의 노드이다. 또한, 항만은 이를 이용하는 선사와 화주에게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며, 국가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지금까지 이루어진 항만에 대한 선행연구에서는 항만의 경쟁력을 TEU 단위의 항만처리물동량(Throughput)으로 평가하여 왔다. 그러나 최근 컨테이너 처리물동량이 허브항만으로서의 주된 혹은 유일한 조건인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으며 항만과 항만을 연결하는 해운선사들에 의한 주변 항만들과의 연결성 정도가 지역 내 확실한 허브 항만인지에 대한 판단을 할 수 있는 요인으로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사회네트워크분석(SNA: Social Network Analysis)을 이용하여 2006년부터 2011년까지 19개 선사의 기항패턴과 선박투입량을 대상으로 전 세계 항만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 좁은세상, 멱함수 법칙 등과 같은 항만 네트워크의 구조적인 특성을 파악하고 네 가지 항만중심성을 나타냈으며 시계열 자료(2006년~2011년)를 이용하여 연도별 중심성 추이를 나타내고 있다. 이를 통해 항만운영자 및 선사의 항만개발계획 및 선대운영시 항만물동량만을 기준으로 계획을 세우는 것이 아닌 새로운 개선 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Competitiveness of container ports has been traditionally evaluated by capability of individual ports to provide services to customers or their service quality. However, since container ports are connected by container shipping networks to varying degrees, the status of the ports in liner shipping service networks also determines competitiveness of the ports. Sometimes same ports may play different roles in different forms of shipping networks. Shipping network connections that formulate in container ports therefore have more significant impact on their performance than service capabilities they have.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the shipping and port network has been structured and changed in the past and to examine the network characteristics of ports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SNA). In this SNA study, nodes in the network are the ports-of-call of the liner shipping services and links in the network are connections realized by vessel movements, such that the liner shipping networks determine the port networks. This study, therefore, investigates the liner shipping networks and through its results demonstrates the network characteristics of the ports that are represented by the four centrality indices. This provides port authorities and terminal operating companies with managerial implications to enhance competitiveness from customers’ perspectives.

      • 전기식 열펌프(EHP)의 동계 전력 피크 기여도 조사

        김민수(Min-Soo Kim),윤선우(Sun Woo Youn),박근우(Geunwoo Park),강동준(Dongjoon Kang) 대한설비공학회 2010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0 No.11

        The present study was analyzed the effect of the electric heat pump on the peak load of electricity in the winter. The supply rate and the electric load of the electric heating devices were investigated and the peak load electricity wa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type of building. Therefore the electric heat pump could hardly affected the peak load of electricity in the win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