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공간미디어로서 디지털 사이니지가 화장품매장의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왕아계(Wang, Yaxi),강덕구(Kang, Dukkoo)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3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2 No.2

        옥외광고 분야의 효과적인 정보 전달 필요성이 부각되면서 새로운 공간미디어로서 디지털 사이니지는 기존 전통 미디어를 대체해 나가고 있으며 쇼핑공간에서도 이미지와 동영상을 활용한 디지털 사이니지가 중요한 홍보매체로 등장하였다. 연구의 범위로는 공간미디어의 디지털 사이니지의 개념을 탐구하고, 연구여건을 고려하여 디지털 사이니지가 적용된 화장품매장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광주광역시 일반인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조사내용으로는 디지털 사이니지의 호감도, 광고효과, 매장이 미지와의 상관성 등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에서 디지털 사이니지는 공간과 인간을 소통시키는 매체로써 단순히 광고뿐만 아니라 쇼핑공간이 갖고 있는 특성과 소비자와의 관계 그리고 그 공간이 갖고 있는 콘텐츠 간의 관계에도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었다. 그리고 디지털 사이니지는 매장이미지에 영향 미치게 되고 소비자의 마음속에 생생한 매장 이미지를 떠오르게하여 소비자가 매장 단골이 되는 의도와 높은 상관성을 가진다. The digital signage as a new space media replaced the existing traditional media because an effective information transmission is highlighted. in the field of outdoor advertisement. If also appeared as an important media using the image and video in a shopping space. A rang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ncept of the digital signage and to research the cosmetics store where the digital signage was applied considering the research condition. A method of the study is based on questions for the residents in Gwang-ju. The content of the survey is the relevance between the appreciation of the digital sinage, effectiveness and the store image. The result is that the digital signage as a communicative media ha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shopping space, the customers and the contents of this space. The digital signage affects the market image and makes it possible th patronize a store through a vivid store image in customers mind.

      • KCI등재후보

        초등 디자인 조기교육의 프로그램 현황 연구

        김명윤(Kim Myoungyun),강덕구(Kang Dukkoo)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2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1 No.1

        디지털 시대를 맞아 기술과 정보의 평등한 분배와 소유로 인해 생산자와 소비자의 경계가 무너지고 개인의 창의력이 문제를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면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모든 이가 디자이너인 시대가 되었다. 창의적인 사회를 만드는 ‘디자인’의 역할은 개인이나 사회, 국가가 가진 창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새로운 시각을 갖고 이를 위한 계획을 바탕으로 한 실행으로서, 성공할 수 있는 ‘의식적인 문화’를 확산시켜야 한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따라 지식사회의 핵심역량인 창의성 함양을 위해 디자인 조기교육이 시행되고 있고, 이는 우리 정부의 중점과제 중 하나인 ‘창의적인 인재양성’의 중요한 내용인 것이다. 현재 시행되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디자인교육은 주최와 시행처에 따라 그 프로그램과 내용을 달리하며 이는 첫째, 공교육에서 창의적 교육을 위한 독립교과로서의 서울시청·서울교육청의 [디자인 교과서], 둘째, 디자인의 감상과 체험을 내용으로 하는 교양교과로서의 체험 디자인교육으로 서울디자인재단의 [해치야 놀자], 마지막으로 지식경제부, 디자인진흥원의 미술 - 디자인, 과학/공학 - 디자인, 인문학 - 디자인 등 통합교과로서의 디자인교육 [디자인 방과후 학교]와 [디자인연구학교]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디자인 교육의 현황에 따른 사례분석은 사회적 기술적 변화에 따른 디자인적 문제해결이 생활방식으로 발현되며 이는 디자인 조기교육의 발전적 제안과 개선에 활용될 것이다. In this digital era, boundaries between producers and customers collapsed due to equal distribution of technologies and information and all the people who create new values can be considered as designers as individual creative power recognizes and solves problems. The roles of design which makes creative society are to have new perspectives and expand conscious design culture based on solution plans in order to enhance creative power of individuals, society and the country. According to such demands, early education for design to enhance creative power as a central capability of intelligent society has been implemented and nurturing creative elites is one of important objectives of our government. Current design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varies in its programs and contents according to organizers and sponsors of design education and this study focuses on the followings: This study examined design education into an independent subject for creative education in public schools, design as an experience of liberal arts centering on appreciation and experiences of design and design as a comprehensive subject of integrating art, design, engineering, humanities and design, and the results will be used for developmental suggestions and improvement of early design education.

      • KCI등재후보

        북경시 지역문화 기반의 가로시설물 디자인 현황 분석

        강흠옥(Jiang, Xinyu),김명윤(Kim, Myoungyun),차국환(Cha, Gukhwan),강덕구(Kang, Dukkoo)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2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1 No.2

        본 연구는 북경시 지역 공공시설물 디자인 중 가로시설물에 관한 디자인 현황조사 및 분석으로 공공시설물 디자인은 공공디자인 분류 중 하나이다. 연구대상인 중국은 국토가 넓어 지역 간의 경제 발전 수준 뿐 아니라, 지리 위치, 기후 등 지역적 차이가 매우 크다. 이러한 이유로 중국에서의 가로시설물은 지역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배치와 관리, 소재와 디자인 등의 문제를 더 중시해야 한다. 연구의 필요성으로 국가의 발전과 정책에 부합하는 지역형 공공디자인의 정책을 바탕으로 가로시설물을 효과적으로 설치, 관리와 유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지역 문화를 반영한 공공디자인 중에서의 가로시설물 디자인은 기능성과 외형적 심미성 등의 외적 요소와 내적 지역 문화요소와 관련된 균형적 디자인이 필요하다. 연구의 결과 공공디자인의 운영은 국가 정책을 바탕으로 한 일관성 있는 설치와 지역문화를 반영한 공공시설물이여야 한다. 그리고 국가정책을 바탕으로 한 지역형 공공 디자인 정책의 방향으로 가로시설물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유지하여야 한다. 그리고 가로시설물 디자인의 외적 요소(기능성, 심미성 등의 외형요소)와 내적요소(지역·문화적 요소)를 효율적인 결합이 필요하다. The study focus on site investigation and analysis on street furniture design based on Public facilities design in the area of Beijing. Public facilities design is a part of Public design. China has a vast territory with rich resources, but there are significantly differences on the level of economic development, geographic location, climate between regions. For the above situation, we should pay much attention to the issues on appropriate configuration, management and design in the field of Chinese street furniture. The necessity of this study is that national development strategies should reflect the policies on regional Public design. The Public design also embodies the regional culture. It is necessary to make use of regional design combined with explicit factors and tacit factors concerning function, shape and aesthetic. All these based on public design on effective setting, management and maintenance of street furniture. In the view of consistency attitude of national policie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show that Public design can reflect street furniture in regional culture. On account of national policies with respect to implementation on the policy of public design, Effective combination on setting, management and maintenance of street furniture. Covert factors(form factors on functionality, aesthetics), and the overt factors on Street furniture(regional and cultural factors) should also integrated into the united 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