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단변량 기후반응함수를 이용한 금강수계 이수안전도 평가: 하천유지유량 관리 변화를 고려한 사례연구

        김대하,최시중,장수형,강대후,Kim, Daeha,Choi, Si Jung,Jang, Su Hyung,Kang, Dae Hu 한국수자원학회 2023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6 No.12

        대기온실가스 증가로 전지구 평균기온은 산업화 이전 대비 1.1℃ 상승했고 수자원시스템의 공급능력에 상당한 변화가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금강수계 내 여러 중권역의 이수안전도와 기후조건의 관계(기후반응함수)를 단변량 함수로 나타내 기후민감도를 동시에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사례연구를 위해 GR6J 모형으로 중권역별 자연유출을 모의했고 이를 Water Evaluation And Planning (WEAP) 최적모형에 입력해 2030년 수요전망에 대한 공급신뢰도를 평가하였다. 여러 중권역의 이수안전도를 동시에 비교하기 위해 평균 강수량과 잠재증발산량의 비율을 독립변수 사용하여 단변량 기후민감도 함수를 개발하였다. 사례연구 결과, 1991-2020 자연유출을 이용해 수계전체 물부족을 최소화시키는 운영을 가정했을 때 공급신뢰도는 19개 중권역 중 보청천유역에서 가장 낮았다. 하천유지유량의 우선순위를 농업용수와 생공용수과 동일하게 조정한 시나리오에서는 보청천유역, 초강유역, 논산천유역의 이수안전도가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청천유역, 초강유역, 논산천유역의 이수안전도는 모든 기후스트레스 테스테에서 크게 감소한 반면, 미호강유역, 금강공주유역, 금강하구유역은 아주 건조한 기후조건에서만 이수안전도가 감소했다. 대규모 인프라에서의 공급이 원활한 중권역의 기후민감도는 크게 변하지 않았다. 2021-2050 기후전망을 민감도함수에 적용했을 때 금강수계의 공급신뢰도는 대체로 좋아질 가능성이 높지만 하천유지유량 우선순위를 높이게 되면 지형적, 인위적으로 고립된 중권역에서 물부족은 심해질 것으로 분석되었다. 2021-2050기간 금강수계의 이수안전도는 기후스트레스 보다 하천관리정책의 변화에 더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판단된다. Due to the increasing greenhouse gas emissions, the global mean temperature has risen by 1.1℃ compared to pre-industrial levels, and significant changes are expected in functioning of water supply systems. In this study, we assessed impacts of climate change and instreamflow management on water supply reliability in the Geum River basin, Korea. We proposed univariate climate response functions, where mean precipitation and potential evaporation were coupled as an explanatory variable, to assess impacts of climate stress on multiple water supply reliabilities. To this end, natural streamflows were generated in the 19 sub-basins with the conceptual GR6J model. Then, the simulated streamflows were input into the Water Evaluation And Planning (WEAP) model. The dynamic optimization by WEAP allowed us to assess water supply reliability against the 2020 water demand projections. Results showed that when minimizing the water shortage of the entire river basin under the 1991-2020 climate, water supply reliability was lowest in the Bocheongcheon among the sub-basins. In a scenario where the priority of instreamflow maintenance is adjusted to be the same as municipal and industrial water use, water supply reliability in the Bocheongcheon, Chogang, and Nonsancheon sub-basins significantly decreased. The stress tests with 325 sets of climate perturbations showed that water supply reliability in the three sub-basins considerably decreased under all the climate stresses, while the sub-basins connected to large infrastructures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When using the 2021-2050 climate projections with the stress test results, water supply reliability in the Geum River basin was expected to generally improve, but if the priority of instreamflow maintenance is increased, water shortage is expected to worsen in geographically isolated sub-basins. Here, we suggest that the climate response function can be established by a single explanatory variable to assess climate change impacts of many sub-basin's performance simultaneous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