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SCOPUS
      • 『오대진언(五大眞言)』에 나타난 사십이수인(四十二手印)에 관한 연구

        강대현 ( Kang Dae-hyun ) 위덕대학교 밀교문화연구원 2013 密敎學報 Vol.14 No.-

        5개의 큰 진언을 모아놓았다는 뜻의 ‘오대진언’은 조선조 성종 16년(成化 21, 乙巳, 1485 A.D.)에 仁粹大妃 韓氏가 일반 민중들의 진언 誦習을 위해 梵文의 한자 대역에 다시 正音字로 音譯을 붙여서『오대진언』으로 간행한다. 여기에는 가장 영험이 있다고 믿어졌던 다라니를 수록하고 있는데, 그것은 ①千手千眼觀自在菩薩廣大圓滿無得大悲心大陁羅, ②千手千眼觀自在菩薩廣大圓滿無碍大悲心神妙章句大陁羅尼, ③千手千眼觀自在菩薩根本陁羅尼, ④佛說一切如來普遍光明燄鬘淸淨熾盛思惟如意寳印心無能勝摠持大隨求大明王大陁羅尼, ⑤大佛頂陁羅尼, ⑥佛頂尊勝陁羅尼 등이다. 이 중에서 ①千手千眼觀自在菩薩廣大圓滿無導大悲心大陁羅에 觀世音菩薩四十二手眞言이 42가지의 手印圖와 진언이 각각의 수인의 영험·실담자 표기·한글음역·한자음역의 순으로 倂記되어 있다. 이러한 42수인의 底本으로는 셋 혹은 넷의 경전을 들 수 있다. 하나는 40수인과 그 명칭만 나타난 伽梵達摩의 『千手千眼觀世音菩薩廣大圓滿無碍大悲心陀羅尼經』을 들 수 있는데, 40수인까지는 그 명칭과 순서 및 영험을 따르고 있으며, 또 다른 하나는 41수인의 명칭과 수인도를 나타내고 있는 불공 역의『千手千眼觀世音菩薩大悲心陀羅尼』에서도 명칭과 영험 등을 따르지만 수인의 순서와 수인도의 형상은 같지 않다. 그렇지만 불공의 맨 처음으로 나타난 수인인 ‘甘露手印’을『오대진언』에는 41번째의 手眞言으로 가져온 것이 특이하다. 그리고 마지막 42수인인 ‘觀世音菩薩摠攝千臂眞言’은 가범달마나 불공역에는 나타나고 있지 않다. 결국 이 42번째의 수진언은 智通譯의『千眼千臂觀世音菩薩陀羅尼神呪經』또는 菩提流志譯의 『千手千眼觀世音菩薩姥陀羅尼身經』에서 그 명칭을 가져왔으며, 수인도는 이들 經句에서 설해진 것을 도상으로 具顯하여『오대진언』의 총 42수인을 완성했던 것으로 보인다. There is a collection of five great mantra. It had been published the five great [『五大眞言』] at the Chosun Dynasty Seongjong 16(A.D.1485) by Insu-daebi Han family(仁粹大妃 韓氏)for learn to memorize the mantra for the general public. It was composed of Indian character[悉曇文字]·Hangeul[한글]·translated into Chinese character. There had been believed that the miracle is to be recorded dharani. There are comprised of ①千手千眼觀自在菩薩廣大圓滿無得大悲心大陁羅, ②千手千眼觀自在菩薩廣大圓滿無碍大悲心神妙章句大陁羅尼, ③千手千眼觀自在菩薩根本陁羅尼, ④佛說一切如來普遍光明燄鬘淸淨熾盛思惟如意寶印心無能勝摠持大隨求大明王大陁羅尼, ⑤大佛頂附羅尼, ⑥佛頂尊勝陁羅尼. There is note miracle of each mudra, Indian character·Hangeul[한글]·translated into Chinese character at the Avalokitesvara's pictures of 42mudras and mantra. This pictures are the basis of three or four sutras. One, it is the Sahasrabhuja-sahasranetra-Avalokitesvara-mahakarunikacitta-dharani translated by Bhagavat-dharma(伽梵達摩). There are 42mudras and their names, 40mudras by its name and following the procedure and effectiveness. Another, it is Sahasrabhuja-sahasranetra-Avalokitesvara-mahakarunikacitta-dharani translated by Amoghavajra(不空). There are 41mudras, their names and pictures of 41mudras and mantra. This pictures of the five great mantras follows 41mudras by its name and following the effectiveness but they are not equal the procedure and shape of mudras. Unusually, the 1st mudra ‘甘露手印’ at Amoghavajra’s sutra is the same as the 41st mudra at the five great mantras, and the last 42st mudra, that is ‘觀世音菩薩摠攝千臂眞言’, does not appear in two sutras translated by Bhagavat-dharma and Amoghavajra. Its name comes out of the Sahasrabhuja-sahasranetra-Avalokitesvara-dharani mantra translated by 智通 or Sahasrabhuja-sahasranetra-Avalokitesvara-vrddhi dharani kaya translated by Bodhiruci(菩提流志), and said that as shown in the pictures of mudra in the two sutras. Finally, it seems to be complete 42mudras of the five great mantras that its name and miracle is basis on the four sutras.

      • KCI등재

        悉曇字母(실담자모)와 관련된 眞言(진언)[修行(수행)]의 理論(이론)과 實際(실제)에 대한 考察(고찰) - 安然(안연)의 『悉曇藏(실담장)』 卷第(권제)6 「字義入門(자의입문)」을 중심으로

        강대현 ( Dae Hyun Kang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4 禪文化硏究 Vol.16 No.-

        안연의 『悉曇藏』 卷第6 「字義入門」에는 실담자모와 관련된 眞言(修行)의 理論과 實際가 잘 나타나 있다. 여기에는 세 가지 科門, 즉 釋義門과 現字形, 그리고 觀字輪 으로 나누어 그 당시까지의 여러 문헌에서 나타나는 실담자모와 관련된 부분을 釋 義門과 現字形, 그리고 觀字輪에 대한 전거를 들고 나서 각각의 과문에 대한 安然 자신의 견해를 종합적으로 피력하고 있다. 먼저 釋義門에서는 音韻[실담자모]의 이론적 정의를 내렸고, 現字形에서는 그러한 이론적 정의를 바탕으로 한 현현된 문자의 力用을 밝혔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觀字輪에서는 실담자모의 이론적 정의와 현현된 문자를 바탕으로 한 실제적인 수행자적 입장에서의 觀法의 양상을 한 장전체에 걸쳐서 역설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세 科門 각각의 말미에 지금까지 논했던 내용에 대해서 안연은 자신의 견해를 간단명료하게 평하고 있다. 특히 이 부분이 안연 자신의 진언에 대한 수행자적 입장에서 역설한 진언수행의 실제적 측면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안연이 논평한 내용을 요약하면, 釋義門에서는 眞言敎法으로 정의되는 실담자모의 각각을 『반야경』·『화엄경』 등의 42자문 등을 들어 그것을 명확히 하고 있으며, 現字形에서는 그러한 실담자모가 세간에서 文字로 顯現되어a 字 本不生으로 귀일하는 모습을 명확히 하였으며, 觀字輪의 평에서는 a 字 本 不生으로 歸一하기 위한 字輪觀法의 여러 적용례를 들어 그러한 실담자모로 나타내 어진 모든 진언수행은 불교적 수행의 중요한 부분을 담당했다는 사실을 밝히고 있다고 할 것이다. Shittanzo the gate of entry word object vol. sixth is quite well of the theory and practice associated with Siddha-matrka written by Annen. It consists of a teaching of explicating the meanings[A], a manifestation of word form[B], and a meditative insight of wheel of words[C], and he reveals and then each of these grounds for his opinion, and be comprehensively describing in this book. First, [A] got out of the theoretical definition of Siddha-matrka, [B] is the manifestation of such a theory of characters based on the definition of the utility can be made itself, and Siddha-matrka manifestation of the theoretical definition of [C], based on the character and practical aspects of the performer to ever perform at the position throughout the chapter explained. And at the end of each of these three parts, which until now information about Annen is simply and clearly his comment of views. In particular, this part of the mantra for his performers ever Annen position as described in the practical aspects of doing mantra will be able to. To summarize the contents of Annen`s comment, it is define the forty-two ‘teaching on the letters’ of the Siddha-matrka each other in the Mahavairocana - sutra, Avatamsaka - sutra and clarify the consultation[A], [B] the Siddha-matrka appears as a character in a reality as the letter a □was definitely going back to return to it`s original place. [C] the letter a 字[original non-arising] commentary for a contemplating phenomena of five wheel of words such as application example of a multiple Siddha-matrka represented by all the mantra that carried Siddha - matrka is responsible for an important part of Buddhist performed to reveal the fact that you will.

      • 효율적인 응급환자 지원을 위한 후송단계에 관한 연구 -현장방문을 통한 제언 및 현장 확인을 중점으로-

        강대현 ( Kang Dae Hyun ),변찬호 ( Byun Chan Ho ) 국군의무사령부 2018 대한군진의학학술지 Vol.49 No.1

        Objectives :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o be on golden time to decrease preventable death when serious trauma patients occur. The whole area of Korean peninsula is AO for ROK Armed Forces so possibility of serious patients is high. Also, due to the nature of operation, risk of serious patients is high.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ROK Armed Forces to make an effort to be on golden time and have suitable system. Methods : It is necessary to check systems of each regional trauma center after visit personally regional trauma center in the whole country to select regional trauma center as a base and evacuate patients within the shortest time. Efforts like mutual agreement to have system which can accomodate actively serious trauma patients in military are also necessary. Efforts for on-site proposal for all the matters carried out by on-site unit through a personal visit to conduct on-site treatment and evacuation smoothly are necessary. Results : Develop prehospital protocol preparing for serious trauma patients and identify case performance after visit regional trauma center and on-site military medical unit based on these efforts. Conclusions : Enhance prehospital treatment and evacuation quality for serious trauma patients and contribute to save patients who have a chance of saving.

      • KCI등재

        한국 다비(茶毘)의식에 나타나고 있는 오방불(五方佛) - 다비의식 문헌의 오방불 귀명례를 중심으로 -

        강대현 ( Kang Dae-hyu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3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60

        다비의식에서 오방불은 중방을 비롯한 동ㆍ남ㆍ서ㆍ북방의 비로자나불ㆍ약사유리광불ㆍ보승불ㆍ무량수불ㆍ부동존불이 각 대(臺)의 오방번으로 등장한다. 오방을 주관하는 각 여래가 신원적 영가를 보호하는 공간이 곧 다비가 거행되는 장소이기 때문이다. 한국의 다비의식 문헌에서 오방불은 ‘나무오방불 … 유리세계 중 (법사와 대중이 함께) 귀명(또는 나무)아미타불 또는 귀명오방불(일부 문헌 생략)’의 정형으로 나타나고 있다. 즉 앞쪽 귀명의 대상은 오방불로 동일하지만 문헌에 따라 뒤쪽 귀명의 대상이 아미타불 혹은 오방불로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형식은 앞쪽 오방불과 뒤쪽 아미타불 귀명례의 경우와 앞쪽 오방불과 동일한 뒤쪽 오방불 귀명례라는 두 가지의 의미를 가지게 된다. 뒤쪽 귀명례의 대상만을 통해 신원적에 든 영가의 입장을 고려한다면 서방 아미타불토만이 왕생지가 아니라 오방의 각 여래토도 영가의 왕생지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본고에서는 한국의 다비의식 문헌에 나타나고 있는 신원적 영가의 귀명례 형식을 문헌별로 비교함으로써, 향후 영가의 원왕생지에 대한 후속 연구를 기대하게 한다. Five Directions Buddha appear as five directions patākā of each platform in jhāpeti. They are Vairocana, Bhaiṣajyaguru, Ratnasambhava, Amitāyus, and Amoghasiddhi. They are located in each of the central, eastern, southern, western, and northern directions. Five Directions Buddha symbolize the concept of space, the place where jhāpeti is held a pure land where each Tathagata, who presides over the five directions, protects a spirit. In Korean jhāpeti literature, Five Directions Buddha appear in the form, namely ‘Namo Five Directions Buddha … Leads the soul to beryl’s realm (The monks and the public chant together.) Namo Amitābha or Namo Five Directions Buddha(Some documents are omitted.)’. In the former, there is Tathagata as the object of destination to be interpreted as two different destination Buddhas, with Five Directions Buddha in the front and Amitabha Buddha in the back, and in the latter, the front Five Directions Buddha becomes the final destination Buddha. In the former case, they made a petition to Five Directions Buddha in front so that a spirit can stay in beryl’s realm, and monks and public chant 'Namo Amitabha' or similarly pray to Five Directions Buddha in front to allow a spiri to stay in beryl’s realm. Two interpretations are possible, such as the Amitabha in the back being the place where a spirit resides. In the latter case, both the Tathagata who leads a spirit and the main being where a spirit resides appear as Five Directions Buddha. In this paper, I have examined Five Directions Buddha and their refuge to the Buddha that appear in Korean jhāpeti by comparing various jhāpeti literatures, it makes us look forward to a follow-up study on the land of vowing rebirth of a spirit.

      • 『현밀원통성불심요집(顯密圓通成佛心要集)』에 나타난 진언다라니 연구 - 『공불이생의(供佛利生儀)』를 포함하여 -

        강대현 ( Kang Dae-hyun ) 한국밀교학회 2023 불교학밀교학연구 Vol.4 No.-

        『현밀원통성불심요집』에는 현교와 밀교의 요의를 화엄학을 기준으로 파악하였다. 현교의 원교는 『화엄경』의 교학이고, 밀교의 원교는 『대일경』, 『금강정경』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현밀원통성불심요집』은 부록으로 『공불이생의』를 포함하고 있다. 전자에는 현교심요, 밀교심요, 현밀쌍변, 경우술회 등 네 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에서 밀교심요에 정법계진언, 호신진언, 관세음보살본심미묘육자대명왕진언, 준제진언이 나타나고 있고, 후자에는 보례진언, 정법계진언, 무량위덕자재광명승묘력변식진언, 출생공양진언, 감로주, 파지옥진언, 비로자나불대관정진언, 성관자재보살감로진언, 대보광박누각선주비밀다라니가 나타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들 진언에 대한 정확한 발음표기와 경전적 근거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들 진언의 대부분이 불공(不空, 705~774)의 밀교경궤에 전거를 두고 있었고, 실차난타(實叉難陀, 652~710)와 보리류지(菩提流志, 562~727)의 역경본도 각각 한 편씩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총 13종의 진언다라니 중 1종을 제외하고 12종에 대한 정확한 발음표기를 『신편대장전주』(임광명 편수, 2001)를 통해서 찾아볼 수 있었다. The essential meaning of the Exoteric and Esoteric Buddhism is understood based on Huayan studies in Collection of Essentials for Becoming a Buddha Through the Perfect Penetration of the Exoteric and Esoteric. The complete teachings of the Exoteric are the teachings of Buddhâvataṃsaka-sūtra, and the complete teachings of the Esoteric Buddhism are Mahāvairocana-sūtra and the Vajraśekhara Tantra. This Collection of Essentials for Becoming a Buddha Through the Perfect Penetration of the Exoteric and Esoteric includes Commentary of offer to Buddha and giving benefit to all sentient beings as an appendix. The former consists of four parts: ‘Core of the Exoteric Buddhism’, ‘Core of the Esoteric Buddhism’, ‘Discussing the Exoteric and Esoteric together’, and ‘An article written with joy because the meeting between the Exoteric and Esoteric was auspicious’. Among these parts, the pure dharma-realm of reality mantra, the self-protection mantra, the Avalokitesvara Bodhisattva's six syllables mantra, and the Mahā-cundī Mantra appears in the ‘Core of Esoteric Buddhism’. In the latter, the universal obeisance Mantra, the pure dharma-realm of reality Mantra, the mantra that changes food, the mantra in honor of birth, the soma mantra, the mantra that break open the gates of hell, Mahāvairocana's greater baptism light Mantra, the Avalokitesvara Bodhisattva's soma mantra, and the great jewel broads on tower secret mantra appear. In this paper, we looked at the accurate pronunciation and scriptural basis for these mantras. Most of these mantras were based on the esoteric Buddhist sutras of Amoghavajra,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lso one version each of Śikṣānanda and Bodhiruci. In addition, out of a total of 13 types of mantra and dhāraṇī, the accurate pronunciation of 12 types except for 1 type could be found through Sinpyeondaejangjeonju(edited by Im, Gwang-myeong, 2001).

      • KCI우수등재

        『悉曇字記』에 나타난 12摩多와 그 音의 長短에 대하여

        강대현(Kang, Dae-hyun) 불교학연구회 2013 불교학연구 Vol.37 No.-

        唐의 智廣(760? - 830?) 이 쓴 『悉曇字記』는 ‘실담학’의 효시이다. 이 책은 전후 兩段으로 모두 18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는 마다(摩多, mātṛkā) l2자 [通摩多]와 別摩多(nānā-mātṛkā)4자, 그리고 體文(vyañjana) 35자의 총 51자를 들고 있는데, 본 논고에서는 마다12자에 초점을 두었다. 실담문자에서 字本十四音은 『실담자기 』가 저술되기 이전부터 전해왔던 것으로, 그 근본에는 16의 모음이 있다. 그 전거로는 法顯(337?-422?) 역의 『佛說大般泥涅經』과 曇無讖(385 - 433) 역의 『大般涅槃經』을 들 수 있다. 이들 경전에서는 총 16의 모음을 밝히면서 이 중 aṃ·aḥ 2음을 제외한 14음이 바로 ‘자본14음’이라는 것이다. 그런데 『실담자기 』의 12마다는 자본14음에서 제외된 aṃ·aḥ 2음은 포함하고 별마다4자는 제외시킨 12모음을 가리키는 것이다. 이것은 단지 오래전부터 전해졌던 16모음의 새로운 정의에 불과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실담자기』에서는 ‘短阿字’로부터 ‘長痾字’까지의 12마다를 설명하면서 각각의 음에 대한 ‘長短’을 규정하고 있다. 즉 의 12마다에 대해서, 지광은 은 단음[前短]으로, 는 장음[後長]이라는 것이고, 의정은 는 ‘前短後長’으로 지광과 일치하지만 음에 대해서 은 장음[前長]으로, 는 단음[後短]이라는 것이다. 이 가운데 특히 界畔字인 과 는 지광의 ‘전단후장’으로도 의정의 ‘전장후단’으로 규정할 수 없는 것이라고 후대의 주석서에서는 말하고 있다. 즉 이들 2자는 장단이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하다는 것이 가장 정확한 표현일 것이다. 이러한 차이는 南天竺과 中天竺의 지역적·언어적 관습 등에서 오는 차이로 『실담자기』를 주석한 후대의 여러 주석서에서는 밝히고 있다. In the Tang Dynasty, Zhiguang 智廣(760?-830?) wrote The Record of Siddhaṃ Characters 悉曇字記, pioneering ‘siddhaṃ study’. The text is comprised of 18 chapters and 51 characters (12 mātṛkā, 4 nānā-mātṛkā, and 35 characters of vyañjana). In this paper, I focus on the 12 characters of mātṛkā. The 14 sounds of fundamental characters 字本十四音, out of a total foundation of 16 vowels, were already known before the composition of the Record of Siddhaṃ Characters. This is recorded in the translations of the Mahā-parinirvāṇa-sūtra 佛說大般泥涅經 by Faxian 法顯(337?-422?) and the Mahā-parinirvāṇa-sūtra 大般涅槃經 by Dharmarkṣa 曇無讖 (385-433). In these scriptures there are a total of 16 vowels, of which 14 sounds are considered fundamental characters, excluding aṃ and aḥ. However, the 12 mātṛkā of The Record of Siddhaṃ Characters includes the sounds aṃ and aḥ, and excludes the 4 sounds of nānā-mātṛkā 別摩多. Thus this is simply a redefinition of the 16 vowels that were already known. The Record describes the 12 mātṛkā from 短阿字 to 長病字, and defines their length, either short or long. That is, in the matter of the 12 mātṛkā, Zhiguang classified as short sounds, and as long sounds. Yijing 義淨(635-713) argued that are short in front and long in the rear, in agreement with Zhiguang. However, regarding Yijing provided are long sounds and are short sounds. Among these, later commentaries mention that aṃ and aḥ cannot be categorized as either Zhiguang’s short front and long end, or Yijing’s long front and short end. In other words, it may be the most accurate representation of these two characters that they may or may not have a distniction of length. Later commentaries on The Record of Siddhaṃ Characters said that this disparity stems from the different customs, geographical, and linguistic differences between Southern India 南天竺 and Central India 中天竺[Madhyadeś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