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상공인 지원제도가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강릉지역을 중심으로 연구

        강대열,원성권,한성수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8 경영컨설팅연구 Vol.18 No.1

        정부는 소상공인의 성공적인 창업과 자생력 제고 및 경쟁력 강화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소상공인지원제도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정부에서 운영하고 있는 소상공인지원제도는 첫째, 교육지원제도 둘째, 자금지원제도 셋째, 컨설팅지원제도이다. 본 연구는 정부지원정책인 소상공인지원제도가 소상공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강릉지역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실증 조사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강릉지역에서 정부지원정책을 받은 소상공인 150개 업체를 대상으로 2016년 10월에 설문조사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상공인 교육지원제도는 소상공인의 사업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금지원제도의 경우 소상공인의 사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컨설팅제도의 경우 소상공인의 사업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서 소상공인의 교육지원, 컨설팅지원의 경우 교육 강사의 수준과 강의내용 등 전문성이 떨어지며 지역별, 업종별 맞춤형 프로그램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제도적 개선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반면 자금지원의 경우 안정적인 경영환경과 자생력 확보 하는데 큰 영향을 주고 있다. 본 연구를 지역과 표본의 수를 확장하면 상이한 결과의 가능성도 있기에 일반화에는 한계를 지닌다. The government is actively promoting small business support system as a way to increase the self-sufficiency and competitiveness of small business. The support system for small business, which is operated by the government is as follows. First, education support system. Second, funding system. Third, consulting support system. This study investigates the object in Gangneung, whether the government support system for small busines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small business. In October 2016,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150 small business owners who received government support policies in the Gangneung.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shows that the education support system of small business does not affect the business performance of small business. Second, the financial support system affects the business performance of small business. Third, the consulting system did not affect the business performance of small business. This study suggests that educational support and consulting support of small business are inadequate such as the level of lecturers and contents of lectures,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is needed so that they can be implemented as customized programs by region and industry. On the other hand, funding support has a great impact on securing stable business environment and self-sustaining power. This study has limitations on generalization because there is a possibility of different results when expanding the number of regions and specimens.

      • KCI우수등재

        『釋門儀範』의 지장보살츰부다라니 고찰

        유성(You sung-yeul),강대현(Kang dae-hyun) 불교학연구회 2015 불교학연구 Vol.43 No.-

        지장보살의 다라니 가운데 60구 이상의 長句로 이루어진 다라니는 ‘衆德究竟記莂呪術陀羅尼’, ‘具足水火吉祥光明大記明呪’ 등으로 일컬어지는 이른바 ‘지장보살츰부다라니’이다. 츰부다라니라는 명칭은 『釋門儀範』에서 유일하게 명명되고 있을 뿐 한국의 의례‧의식집 어디에도 나타나고 있지 않다. 또한 『석문의범』 츰부다라니의 기술방식을 보면 한역음에 대한 어떠한 언급도 없이 우리말 音寫만을 기술하고 있을 뿐이다. 더욱이 우리말 음사 또한 共時的 시점을 가늠할 수 없는 음사로 기술되어 있어서, 그 연원이나 경전적 근거에 대해서 상당한 관심과 의구심을 함께 지닌 채로 현재에 이르고 있다. 이에 본 논고에서는 다음의 두세 가지를 논증하였다. 우선 다라니 명칭인 ‘츰부’에 대한 객관성을 확보하였고, 다음은 『석문의범』 츰부다라니의 전거는 玄奘이 번역한 『大乘大集地藏十輪經』이지만, 경전의 다라니구를 음사한 것이 아니라 다라니 誦者의 음성을 근거한 것으로 보이며, 이로 인하여 다라니구의 구분 또한 명확하지 않아 『대승대집지장십륜경』을 준거로 하여 33구로 재조정하였다. 그리고 츰부다라니의 형식에서도 결함이 있는 바, 다라니 결문에 대한 언급이 빠진 채로 본문만을 다라니의 전부로 인식해 온 사실을 확인하여 이에 대하여 보완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제반의 불완전함에도 불구하고 츰부다라니는 현재까지 지장보살의 다라니로서 지대한 공능을 보유한 중요한 다라니임에는 틀림없는 사실이다. 따라서 『석문의범』의 지장보살츰부다라니가 안고 있는 여러 가지 부족한 부분을 수정‧보완하여 완성형의 다라니를 제기함과 동시에 우리말 음사를 새롭게 제기하였다. 이를 위하여 慧琳의 『一切經音義』와 行琳의 『釋教最上乘秘密藏陀羅尼集』 등을 참고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특히 현대적 음사에 대해서는 임광명의 『방산명주집』에서 자세하게 밝혀 놓은 로마나이즈 및 실담범자를 그 준거로 삼았다. Among the Kṣitigarbha Bodhisattva’s dhāraṇīs consisting of more than 60 long verses is one known as 衆德究竟記莂呪術陀羅尼, or 具足水火吉祥光明大記明呪: the so-called Kṣaṃ-bhu dhāraṇī of the Kṣitigarbha Bodhisattva. The name, kṣaṃ-bhu dhāraṇī, appears only in the Seokmunuibeom. In addition, the record only describes the Korean sounds of the Korean translation without mention on what the Chinese translation sounded like. Furthermore, the Korean language transcription is recorded in a way that it is impossible to place a synchronic point in time of the pronunciation of the Hangul. Therefore, this text has generated considerable interest and doubts about the origin or basis of the scripture. As a result, this paper comes to two or three conclusions. We have objectively demonstrated that the name ‘kṣaṃ-bhu’ refers to the dhāraṇī of the Kṣitigarbha Bodhisattva. Next, the source of the text appears to be the Daśa-cakra-kṣitigarbha translated by Xuanzang, but rather than a copy of the scripture's dhāraṇī portion, the text appears to be a transcription of a person reading the text. This therefore makes the classification of the dhāraṇī unclear; it was again readjusted to 33 passages based on the Daśa-cakra-kṣitigarbha. We also note that the Kṣaṃ-bhu dhāraṇī is incomplete, as only the main text had so far been understood as the full text without mention of the closing portion of the dhāraṇī. Therefore, upon confirming this we supplement and modify the facts that surround this work. In addition, the subtitle of the Kṣaṃ-bhu dhāraṇī as mentioned in the Seokmunuibeom is ‘a dhāraṇī that is chanted while repenting to Kṣitigarbha Bodhisattva about the many sins one has accrued over the many lifetimes.’ However, the actual content of the Kṣaṃ-bhu dhāraṇī is a dhāraṇī that consistently praises virtues of Kṣitigarbha Bodhisattva in this life, and not a dhāraṇī for repentance. However, despite these defects, the Kṣaṃ-bhu dhāraṇī is no doubt an important dhāraṇī of the Kṣitigarbha Bodhisattva with great merit. Therefore, we have corrected its flaws to produce a new complete edition, supplemented by a new Korean transcription. To that end, we have referenced Huilin's 慧琳 The Sounds and Meanings of the Scriptures 一切經音義 along with The Collection of Dhāraṇī for the Teaching of Śākyamuni as the Supreme Vehicle Secret Repository 釋教最上乘秘密藏陀羅尼集 written by Xinglin 行琳. During this process, especially for the modern Korean transliteration of the manuscripts, we consult the romanization and the Siddhamātṛkā-type letters detailed in Lin Guangming's Fangshanmingzhou.

      • KCI등재

        『釋教最上乘秘密藏陁羅尼集』에 나타난 地藏菩薩陁羅尼

        유성,강대 한국불교학회 2015 韓國佛敎學 Vol.74 No.-

        The collection of dhāraṇī for the teaching of Śākyamuni as supreme vehicle secret repository, the book is a collection of dhāraṇī commonly used in the Buddhist community, written in 898 years by the Xinglin, and all of dhāraṇī carved in stone of Fangshan cave, such as by Weihuo in the Liao and Jin dynasty. This book is for those in the 21 books from the total of 30 books of Fangshan Stone Tripitaka, consists of 30 volumes. It is not an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book was the culmination of a dhāraṇī in Buddhist history because there are a total of more than 600 dhāraṇī in this book. Furthermore, it seems to be a valuable resource for future research of the letters of Siddhamātṛkā-type because there are the letters of Chinese transliteration of the Sanskrit and the letters of Siddhamātṛkā-type side by side in writing. And there are four pieces of a Kṣitigarbha bodhisattva dhāraṇī in this book Vol.21. It is as follows that ①the Kṣitigarbha bodhisattva dhāraṇī(from Daśacakra-kṣitigarbha sūtra), ②the Kṣitigarbha bodhisattva dhāraṇī such as the range of indestructible adamantine, ③the Kṣitigarbha bodhisattva dhāraṇī, ④the Kṣitigarbha bodhisattva magnanimousness dhāraṇī. ① is a another representation of dhāraṇī for the letters of Chinese transliteration of the Sanskrit ‘衆德究竟記莂呪術陀羅尼章句’ in the Daśacakra-kṣitigarbha sūtra or ‘具足水火吉祥光明大記明呪總持章句’ in the Great vehicle and collection sutra of Daśacakra-kṣitigarbha. ② is a name for a new Kṣitigarbha bodhisattva mantra that appears on the Vairocanābhisaṃbodhi sūtra. However, unlike these scriptures ①‧② Basis for ③‧④ had not yet been discovered. but the analysis of ③‧④dhāraṇī, ③ is not satisfied by Nirvana Kṣitigarbha bodhisattva themselves wish, it is has to do with a main object of veneration for great vow. ④ seems to be related to dhāraṇī for majestic power of Kṣitigarbha, which unfolded in the hall of Kṣitigarbha of garbhodbhava-maṇḍala. Anyway, according to the authors, the basic analysis of The collection of dhāraṇī for the teaching of Śākyamuni as supreme vehicle secret repository and the study on four kinds of Kṣitigarbha bodhisattva dhāraṇī that was contained in it, the authors wish that it was back-to-back studying with a more in-depth research in the future. 『釋教最上乘秘密藏陁羅尼集』은 行琳이 898년에 당시까지 佛家에서 유통되었던 다라니를 집성‧편찬한 책이다. 그리고 이 책의 다라니를 遼‧金代에 와서 惟和 등이 房山의 동굴에 刻石하였다. 이 책은 『房山石經』 전30책 중에서 28책에 해당하는데, 여기에는 총 600여 편의 다라니가 수록되어 있어서 불교역사상 가히 다라니의 집대성판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더구나 이 책은 편찬과정에서 당시 크게 유행하였던 悉曇梵字를 한역음자 옆에 병서하고 있어서 향후 불전에 나타나고 있는 여러 진언 및 다라니에 대한 실담범자 구현 및 실담문자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 책 21권에 본 논고의 주제인 지장보살다라니 네 편이 수록되어 있다. 즉 ①「地藏菩薩陁羅尼」(出『十輪經』), ②「地藏菩薩金剛不可壞行境界陁羅尼」, ③「地藏菩薩陁羅尼」, ④「地藏菩薩廣大心陁羅尼」가 그것이다. ①은 『大方廣十輪經』의 ‘衆德究竟記莂呪術陀羅尼章句’ 또는 『大乘大集地藏十輪經』의 ‘具足水火吉祥光明大記明呪總持章句’에 대한 또 다른 한역음자 표기의 다라니이다. ②는 『대일경』에 나타나는 ‘지장보살진언’을 새롭게 명칭한 것이다. 이들 ①‧②와는 달리 ③‧④에 대한 경전적 근거는 아직 발견하지 못했다. 하지만 ③‧④에 대한 다라니구를 분석해보면 ③은 지장보살이 자원하여 열반에 들지 않는 이른바 大願本尊과 관련이 있고, ④는 胎藏曼茶羅의 地藏院에서 펼쳐지고 있는 지장보살의 위신력과 관련된 다라니로 보인다. 어쨌든 『석교최상승비밀장다라니집』에 대한 기초적인 분석과 동시에 그 안에 수록되어 있었던 지장보살다라니 네 편에 대한 고찰을 시발점으로 하여 향후 이 책의 모든 다라니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연구가 뒤를 이었으면 한다.

      • KCI등재

        학교장 교육리더십과 학교자체평가 만족도 관계에서 학교조직풍토의 조절효과 분석

        강대,정규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19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23 No.2

        This study analyzed the moderating effect of school organizational climate(relationship- oriented, change-oriented, achievement-orient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incipal’s educational leadership and school self-evaluation satisfaction. A total data of 595 teachers from 30 public school in Gyeonggi-do were used for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reported that principal’s educational leadership directly affected school self-evaluation satisfaction and relationship-oriented, change-oriented climate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incipal’s educational leadership and school self-evaluation satisfaction, while achievement-oriented climate did not. This study reported the importance of school organizational climate(relationship-oriented, change-oriented) to strengthen the relationship between principal’s educational leadership and school self-evaluation satisfaction. Also, Results of this study emphasize the significant role of school principals and teachers who should facilitate school organizational climate(relationship-oriented, change-oriented) in terms of school self-evaluation implementation for improving school accountability and school improvement.

      • KCI등재

        홀리스틱 교육의 관점에서 본 학교평가 결과와 관련된 평가지표 탐색 : A교육청 학교평가 사례를 중심으로

        정규(Chung Kyu Yeul),강대식(Kang Dae Sik),설현수(Seul Hyun Soo)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17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21 No.3

        이 연구는 홀리스틱 교육의 관점에서 학교평가지표와 평가결과 간의 관계를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A교육청의 2015년 초·중·고 학교평가 결과 데이터를 활용하여 학교 급별 평가영역과 평가지표, 평가결과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급별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교육경영, 교육성과의 3개 평가영역과 학교평가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특히 모든 학교 급에서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영역과 학교평가 결과 간에는 강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 급별로 평가영역에 따른 대부분의 평가지표와 평가결과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인과관계를 보였으나, 평가지표별 설명력은 다르게 나타났다. 특히 학교 급 공통적으로 학교평가 결과와 높은 인과관계를 가지는 평가지표가 발견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볼 때, 시·도교육청에서는 학교 급별로 동일한 평가지표를 적용하더라도 학교 급별 환경적 특성을 고려하여 맞춤형 평가기준을 마련하고, 학교 급별 공통적으로 높은 설명력을 가지는 평가지표는 평가기관에서 정책적으로 관리·지원할 필요가 있다. The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the school evaluation indicators and evaluation results. To meet the goal of the research, the relationship of school evaluation domains, indicators and results by the levels of schools has been analyzed based on the data from the Primary, middle and higher secondary level of an office of Education in 2015.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chool level curriculum and teaching and learning, education management, education achievemen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valuation result; especially curriculum, teaching and school evaluation in every level of school showed a strong correlation. Second, most of the evaluation indicators of each level of school and school evaluation result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ausal relationship, but each evaluation indicator’s explanation power has been different. Especially, indicators has found high causality with school evaluation results in all levels of schools. From this research results, evaluation institutes should develop customized evaluation indicators based on the environments of school levels. And evaluation institutes should also management and support the indicators with explanation power.

      • KCI등재

        3차원 객체 탐지를 위한 어텐션 기반 특징 융합 네트워크

        유상현,강대열,황승준,박성준,백중환 한국항행학회 2023 韓國航行學會論文誌 Vol.27 No.2

        Recently, following the development of LIDAR technology which can detect distance from the object, the interest for LIDAR based 3D object detection network is getting higher. Previous networks generate inaccurate localization results due to spatial information loss during voxelization and downsampling. In this study, we propose an attention-based convergence method and a camera-LIDAR convergence system to acquire high-level features and high positional accuracy. First, by introducing the attention method into the Voxel-RCNN structure, which is a grid-based 3D object detection network, the multi-scale sparse 3D convolution feature is effectively fus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3D object detection. Additionally, we propose the late-fusion mechanism for fusing outcomes in 3D object detection network and 2D object detection network to delete false positive. Comparative experiments with existing algorithms are performed using the KITTI data set, which is widely used in the field of autonomous driving. The proposed method showed performance improvement in both 2D object detection on BEV and 3D object detection. In particular, the precision was improved by about 0.54% for the car moderate class compared to Voxel-RCNN. 최근 들어, 라이다 기술의 발전에 따라 정확한 거리 측정이 가능해지면서 라이다 기반의 3차원 객체 탐지 네트워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네트워크는 복셀화 및 다운샘플링 과정에서 공간적인 정보 손실이 발생해 부정확한 위치 추정 결과를 발생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고수준 특징과 높은 위치 정확도를 동시에 획득하기 위해 어텐션 기반 융합 방식과 카메라-라이다 융합 시스템을 제안한다. 먼저, 그리드 기반의 3차원 객체 탐지 네트워크인 Voxel-RCNN 구조에 어텐션 방식을 도입함으로써, 다중 스케일의 희소 3차원 합성곱 특징을 효과적으로 융합하여 3차원 객체 탐지의 성능을 높인다. 다음으로, 거짓 양성을 제거하기 위해 3차원 객체 탐지 네트워크의 탐지 결과와 이미지상의 2차원 객체 탐지 결과를 결합하는 카메라-라이다 융합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 알고리즘의 성능평가를 위해 자율주행 분야의 KITTI 데이터 세트를 이용하여 기존 알고리즘과의 비교 실험을 수행한다. 결과적으로, 차량 클래스에 대해 BEV 상의 2차원 객체 탐지와 3차원 객체 탐지 부분에서 성능 향상을 보였으며 특히 Voxel-RCNN보다 차량 Moderate 클래스에 대하여 정확도가 약 0.47% 향상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