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생활양식, 스트레스 및 삶의 만족도가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작업치료학과 대학생을 중심으로

        홍미영(Mi-Young Hong),강구용(Gu-Yong Kang),한지수(Jee-Su Han),김은영(Eun-Young Kim)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1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5 No.7

        본 연구는 작업치료학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생활양식 과 스트레스 및 삶의 만족도가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참가자는 작업치료학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 46명이었다. 참가자들은 생활양식을 묻는 질문지와 일주기 유형 척도를 작성하였다. 스트레스 척도를 평가하기 위해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 4문항을 사용하였고, 삶의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한국판 삶의 만족도 척도를 사용하였다. 참가자의 수면의 질은 한국어판 Leeds 수면 평가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면의 질과 관련된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T검정, 피어슨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수면의 질은 건강상태, 일주기 유형, 삶의 만족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주거형태에 따른 수면의 질을 분석한 결과, 자가 및 기숙사 거주 집단이 자취 거주 집단보다 높은 수면의 질을 나타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일주기 유형이 수면의 질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작업치료학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수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봄으로써 대학생의 수면의 질 향상 중재를 위한 근거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for lifestyle,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on sleep quality in university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46 university students attending the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Participants responded to responses to the lifestyle questionnaire and Morning and Evening Questionnaire-Korean version(MEQ-K). The levels of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reported by participants were obtain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Perceive Stress Test-4(K-PSS-4) and Korean version of Satisfaction With Life Scale(K-SWLS). The quality of sleep was assessed using Korean Modified Leeds Evaluation Questionnaire(KMLSEQ). An independent t-test,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factors related to quality of sleep. The analysis of correlations between health status, morning type of chronotype, and life satisfactio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quality of sleep.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quality of sleep according to the chronotype, the main family house and dormitory group showed higher sleep quality than the boarding group. As a result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chronotype predicts quality of sleep. This study could provide informa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sleep for university students by identify factors affecting sleep for university students in occupational therap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