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실과교과 농업 생명 기술 영역에서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실천 방안 탐색

        강경균(Kyoung-Kyoon Ka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5

        본 연구는 실과교과의 농업 생명 기술 영역에서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실천 방안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의 내용은 실과 교과에서의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고, 실과교과에서의 지속가능발전에 기초한 농업 생명 기술 교육의 실천 방안을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내용을 성취하기 위하여 ‘P 학교’를 대상으로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과교과에서의 농업 생명 기술 영역에서 지속가능성은 친환경 미래 농업의 개념뿐만 아니라 사회적‧교과 간‧세대간‧경제적인 ‘통합’개념에서 지속될 수 있는 가치로서 제시되어야 한다. 아울러 초등학생의 전인적 성장이 삶 속에서 농업교육의 노작 활동을 통해 교육과 자연의 순환구조 속에서 가치로운 실천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추후 실과교과의 농업 생명 기술 교육 영역에서 ‘통합’에 근거한 지속가능한발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하며, 삶 속에서 이루어지는 가치 있는 체험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practical method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agriculture technology. To archive this purpose, a case-study involving the specialized "P school" was undertaken.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estimated value to not only the concept of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e, but also integrated social, disciplinary, generation, intra-generation, and economic perspectives. Seco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suggested plans for practical activities featuring which was all-rounded growth in circulating between education and the nature of the life. This study concludes that educational programs based on the integration of agriculture, technology, and education, as well as hands-on activities are most effective.

      • KCI등재후보

        청소년의 기업가 정신 형성 과정 탐색

        강경균(Kang Kyoung Kyoon),김병근(Kim Byung Keun)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4 창의력교육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청소년이 기업가 정신을 구성하고 형성해가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질적 사례 연구 방법론을 사용하였으며, 근거이론을 분석 방법 및 도구로 채택하였다. 연구대상은 국내에서 진행된 차세대영재기업인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청소년들은 하고 싶은 것이 꿈이 잠재되어 있고, 타인의 권유에 의해 기업가 정신 교육에 입문하게 된다. 청소년은 교육을 받으면서 자신의 꿈에 대하여 확신을 갖고, 더욱더 다양한 경험을 받아들이게 된다. 그리고 경영인으로서 관점을 다양하게 습득하고, 습득된 경험이 생활 속에서 습관처럼 체화되어 예비 기업가로서 성장하게 된다. 이러한 기업가가 되어가는 과정은 자신이 하고 싶은 목적을 이루어 나아가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기업가 정신 형성 과정의 개념들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기업가 정신의 의미를 재개념화하고, 기업가 정신 교육을 학교 안에서의 교육과정으로의 도입을 위한 방안을 마련할 수 있었다. This paper aims at uncovering how to form and develop youth entrepreneurships in Korea. Qualitative case study has been applied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the study and grounded theory was used as methodological tool. The case for the study was selected as domestic ongoing education program related to entrepreneurship. In depth interviews have been carried out with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youth Entrepreneurship programs offered by KIPO or Biz-Cool of SMBA for more than two years. As a result, adolescents began to express an interest in their future of becoming a pupil within the entrepreneurship program as suggested by others. Following this they became more confident about their future, the education, and experiences associated. They obtained various aspects as executives and grew as entrepreneurs. They did this through making experiences their habits. Such process was the way they achieved their goal of what they want to do. With such result in the background, conceptualization of the meaning of entrepreneurship and alternatives for applying these concepts on curriculum in school were provided.

      • KCI등재

        ‘문제 만들기’ 활동을 통한 발명 교수·학습자료 개발 방향 탐색

        강경균(Kyoung-Kyoon Kang),이건환(Gun-hwan Lee),박성원(Seong-Won Park)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9

        본 연구의 목적은 문제 발견 능력 향상을 위한 발명 교수·학습자료 활동지를 개발하고, 발명 영재를 대상으로 ‘문제만들기’ 수업의 효과를 분석하며, 질문 수준 향상을 위한 정책적인 제안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질문 만들기 활동지를 개발하고 만족도를 분석하였으며, 전문가를 통해 질문 수준 향상을 위한 전략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질문 만들기’의 수업은 문제상황과 문제해결조건을 학생들에게 제시하고, 문제확인 단계, 아이디어 창출 단계, 아이디어 수렴 단계, 실행하기, 평가하기로 구성하였다. 이러한 창의적 문제 발견을 위한 교수‧학습자료를 발명 영재 학생들에게 적용한 결과, 학생들의 만족도는 초등학생(M=4.56), 중학생(M=4.30), 그리고 전체 학생(M=4.33)의 만족도 평균이 4.30 이상으로 매우 높았다. 또한 발명 문제 발견을 활성화하기 위한 전략을 개발하기 위하여 ‘문제의 다양한 형태 찾기’, ‘문제수준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방법 필요함’, ‘문제 수준 향상을 위한 전문가의 도움이 요구됨’, ‘참신한 문제에 대한 다양한 평가와 보상’, ‘기관의 협력을 통한 질문시스템 구축 방안을 마련함’, ‘아이디어를 대우하는 문화가 필요함’ 등이 요구되며, ‘교육부, 미래부, 특허청, 중소기업, 지역사회 등의 협업과 지원’을 통해 교육적 여건이 마련되어야 한다. This research aimed to develop problem creating worksheets as a teaching & learning material for problem solving activities and assess its effectiveness. Activity worksheets for creative problem development were establish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blem-creating classes taught to gifted students in invention was evaluated. In addition, effective strategies for encouraging problem creating and question making in teaching & learning processes were explored. The creative problem identification activity consisted of 5 steps, which are idea creation, convergence, execution, and evalu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taught in the classes using this problem-identification worksheet were highly satisfied with the program. This study concluded that it requires an educational environment, government level collaboration, and support to create a mature social atmosphere and educational environment motivating students to keep asking questions and identify problems. Through continual modification, additional ongoing efforts to increase the credibility and the quality of the worksheets as a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learning tool will be needed.

      • KCI등재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통한 직업계고 교육 운영 방안

        강경균(Kyoung-Kyoon, Kang),윤지아(Ji-A, Yoon),홍영지(Young-ji, Hong),백민정(Min-jung, Bae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기반의 직업계고 운영 사례를 탐색하여 직업계고가 지역사회와의 소통과 협력을 통해 혁신적인 성장을 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 및 도출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례 연구(Case study)를 실시하였으 며, 사례 내 주제 분석과 사례 간 비교 분석을 통하여 지역사회 기반의 직업계고 운영 방안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계고는 지역사회와 지속 적인 소통과 협력을 통해 상생할 필요가 있다. 특히 직업계고는 학교의 유휴시 설을 이용하여, 창업지원센터, 직업교육센터, 지역나눔 배움터를 지역 주민과 공유하고, 지역사회의 지역기업, 대학 및 학교, 공공기관, 첨단 장비 보유기관에서 직업교육을 함께 협력할 수 있다. 둘째,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직업계고를 운영할수 있는 유형으로 진정한 성장형, 숙련기술 함양형, 가치 창출형이 도출되었다. 셋째, 지역사회 기반 직업계고 운영을 위해 지역사회의 소통과 직업계고 협력의 주요 원리로서 학교(학생, 교원)의 주도성, 교육과정 연계성, 교육활동의 역동성, 교육 여건의 효율성이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직업계고에서 효율적 운영을 위한 실천 전략으로서 다음과 같은 전략을 제안할 수 있다. 초·중·고·대 학교의 성장을 위한 협력, 지역 주민과 학교, 기업 등의 지역구성과의 멘토링 실시, 지역의 평생교육센터로서 주민과의 평생교육 운영, 지역 전문가를 활용한 프로젝트 수업, 지역사회와 연계한 맞춤형 프로젝트를 통한 실무 능력 향상 및 기술에 대한 전문성 강화 등 다양한 전략을 연계 적용함으로써 직업교육의 교육 운영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ommunity-based vocational management model to provide a way for vocational high schools to achieve innovative growth through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with local communitie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case study was conducted amo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ies, and a community-based vocational management model was developed through intra-case subject analysis and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cases.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vocational high schools are required to win-win through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with local communities. Vocational high schools use the school s idle facilities, share entrepreneurship support centers, vocational education centers, and community sharing learning centers with local residents, and vocational education at local companies, colleges and schools, public institutions, and attached equipment in local communities. Second, the real growth type, skill cultivation type, and value creation type were derived as the community-based vocational high school operation type. Third, for the operation of community-based vocational education, it can be seen that as the main principles of community communication and vocational cooperation, leadership of schools, curriculum linkage, dynamics of educational activities, and efficiency of educational conditions are required. Lastly, as a strategy for efficient operation in vocational high schools, cooperation for the growth of local schools, mentoring with local constituents such as schools and businesses, and local residents as lifelong education centers You can practice improving life skills and strengthening your expertise in technology through lifelong education management, project lessons using local experts, and customized projects linked to the community.

      • 친환경 건설장비 선정을 위한 체크리스트

        원명 ( Myeung Kyun Won ),이명도 ( Myung Do Lee ),조훈희 ( Hun Hee Cho ),강경인 ( Kyung In Kang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2 한국건축시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12 No.1

        Using green construction equipment, there are some disadvantages like increasing construction costs and delaying the schedule. Despites of disadvantages, green construction equipment is necessary for decreasing environmental load in construction industry.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checklist for green construction equipment selection. For the checklists, criteria of the checklist were drawn by literature review in the aspects of contractor and a survey was performed in order to measure weights of the criteria. When a contractor choose the green construction equipment, this checklist can support an objective decision-making.

      • KCI등재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 환경 조성을 위한 방안 연구

        강경균,Kang, Kyoung-Kyoon 대한공업교육학회 2017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2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기업가정신 함양을 위하여 교육 환경을 마련하고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조사 연구의 대상은 기업가 정신 교육 전문 연수에 참여한 100명이며,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를 제외한 총 92부를 자료 분석에 활용하였다. 기업가정신 교육 요구도를 조사하기 위한 조사도구개발을 위하여 문헌고찰을 하여 8개 영역의 30개의 요소를 도출하였으며, 도출된 내용은 전문가를 통해 내용 타당도 검증하여 개발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교육 요구도는 Borich의 교육 요구도를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내용은 필요 수준, 현재수준, 교육 요구도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가정신 교육에 대한 모든 영역에서 교육 요구도가 평균 4.94점 이상으로 높게 나타나 기업가정신과 관련하여 교사들에게 교육적 강화의 필요성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현재 학교에서 기업가정신 관련 교육과정, 교사 전문성, 교육 환경, 교육 지원, 구성원들의 인식 등 모든 교육 환경이 미흡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장을 비롯한 학교 구성원의 기업가정신에 대한 협업, 전담교사제와 같은 교사지원, 기업가정신 교육과정 개발, 교육과정 실행에 따른 교사의 전문성 확보, 전문성 확보를 위한 교사 연수 지원, 기타 교육 환경 및 시설 확보 등의 교육환경이 강화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특히 학교 교육에 있어 교육 수요자인 학습자의 경우, 학부모의 인식은 매우 중요하다. 기업가정신 교육에 대하여 학부모의 인식 및 사회의 인식이 변화하기 위해서는 기업가정신의 올바른 개념 정립과 이에 따른 홍보가 필요하다. 특히 학부모의 경우, 학교 행사에 참여함으로써 기업가정신 교육에 대하여 올바른 인식을 가질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educational needs of experts for revitalizing youth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creating effective conditions for such education.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chosen 100 teachers who had participated in entrepreneurship-related professional training for teachers were selected and surveyed. A total of 10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of which 92 (92.00%) were used for the analysis. Eight were excluded as they were not properly answered. As for the used survey tool, a total of 8 areas and 30 items were derived from the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the validity of the contents was examined through expert meeting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ver. 20.0) statistical program. The analysis was conducted in terms of the required competency level, perceived competency level and educational needs. As for the used analytical methods, first, the averages of the required competency level and perceived competency level were calculated and the education needs were calculated using Borich's formula, and then the averages were compared through paired t-test. The results turned out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 The details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the calculation of the educational needs the educational needs in all areas turned out to be very high with the average being 4.94 points, which indicates that the teachers strongly feel the need for educational strengthening in relation to entrepreneurship. These results show that all the educational conditions such as entrepreneurship-related curriculum, teacher professionalism, educational environment, educational support and the perception among school community members are insufficient in the current school settings. For the improvement of the current status, the education conditions in the following areas should be improved: the cooperation from school community members including principals, teacher support such as an exclusive responsibility teacher system, the development of an entrepreneurship curriculum, the securing of teacher professionalism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teacher training support for the enhancement of their professionalism and the provision of educational environment and facilities. For enhancing the perception of parents and society regarding entrepreneurship,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precise concept of entrepreneurship and promote it based on such work.

      • 회생에너지 재생시스템을 적용한 건설용 리프트의 요구성능 도출

        원명 ( Myeungkyun Won ),임현수 ( Hyunsu Lim ),이명도 ( Myungdo Lee ),조훈희 ( Hunhee Cho ),강경인 ( Kyung In Kang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1 한국건축시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11 No.1

        Various studies on energy saving for construction sites have been carried out and some construction machines using motors have installed regenerative systems such as elevators and excavators. The construction lift also uses motors and generates more regenerative energy when the lifts descend because lifts convey many construction materials and workers. For this reason, it is possible to apply the regenerative system to the construction lift. However, if the system is applied without considering the lift`s characteristics, the new development would fail; we therefore need to propose a performance requirement.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performance requirement for the energy-regenerative lift prior to developing the energy-regenerative lift.

      • KCI등재

        고층 건축물 마감공사를 위한 건설용 리프트 계획 및 관리 통합형 양중모델

        이명도(Lee, Myung-Do),원명(Won, Myeong-Kyun),이웅(Lee, Ung-Kyun),조훈희(Cho, Hun-Hee),강경인(Kang, Kyung-In) 대한건축학회 2014 大韓建築學會論文集 : 構造系 Vol.30 No.5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integrated lifting model of planning and operation for finishing works in tall building construction. The model consists of five components: lifting schedule chart, lifting load leveling, lifting equipment planning, lifting TACT and lifting table. The model was designed to provide a more practical lifting planning and operating method for construction managers as well as to cope with unexpected schedule delays. To validate the proposed model, a case study was performed in building a construction project;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in order to evaluate its effectiveness compared with the original method. A case study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1) The model is estimated to provide more practical lifting planning alternatives compared with the original method to construction managers. (2) The model can be a valuable management tool in terms of the lifting operation of construction lift. (3) The model can be provide an effective method to cope with unexpected situations through the integration of lifting planning and operation.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ed model can be employed as practical means to the planning and operation of construction lift at construction sites.

      • KCI등재

        국민의식과 사회문제 해결 대안으로서의 기업가정신 탐색

        이채원(Chaewon Lee),강경균(Kyoung Kyoon Kang) 한국경영학회 2016 Korea Business Review Vol.20 No.4

        기업가정신(Entrepreneurship)은 일자리 창출 및 경제성장에 기여하여 국가의 경쟁력을 형성하는 핵심동력 역할을 한다. 즉, 기업가정신은 우리가 처해 있는 사회 및 경제적 문제를 해결하는 대안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업가정신은 창업으로 인식되거나 기업가적 사고방식 및 행동양식으로 국한되어 이해되는 경우가 많다. 기업가정신이 국민의식과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대안으로 작용하기 위해서는 기업가정신의 개념에 대한 재정립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기업가정신이 국민의식과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대안으로 이해되어야 한다는 당위성을 설명하기 위해 기업가정신 전문가와의 인터뷰를 통해 기업가정신이 국민의식과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본질과 속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찾고자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기업가정신의 개념을 재정립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기업가정신에 대한 의미와 구조를 순환적으로 밝혀내는 자연주의적 질적 접근을 시도하였으며, 특히 삶의 현상에 대한 본질적 측면을 밝힐 수 있는 현상학적 접근법을 사용하였다. 이를 위해 기업가정신에 대한 오랜 연구와 경험을 가진 전문가와의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국민의식과 사회문제 해결로서의 기업가정신을 핵심질문으로 하여 기업가정신의 의미가 사회나 국가에 어떤 의미를 미치는지를 질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기업가정신의 본질 속에는 6개의 주제가 내포되어 있음을 파악하였다. 첫째, 편향된 가치로 인한 사회 구조의 불균형, 둘째, 기존의 한계로 인한 사회문제의 악순환, 셋째, 새로운 요구로 인한 패러다임 변화의 필요성, 넷째, 유기체적 기업이 변화하는 동인으로서의 기업가정신, 다섯째, 기업가정신이 주는 역동성으로 인한 기업의 선순환, 여섯째, 경제 및 사회적 가치창출의 원천으로서의 기업가정신으로 정의되었다. 이러한 기업가정신 개념의 본질에 대한 이해를 통해 일반적으로 인식되던 창업으로서의 협의 개념에서 벗어나 사회문제를 해결해 주는 시대정신으로서의 기업가정신을 재개념화 한 것은 본 논문의 기여점이라고 할 수 있다. 기업가정신의 재개념화와 더불어 기업가정신이 국민의식 및 사회문제 해결의 대안으로 작용하는 여러 사례들을 발굴하고, 기업가정신을 함양할 수 있는 기업가정신 교육, 혹은 관련 프로그램의 지속적 개발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Entrepreneurship has been a driving force for economic growth. However, the definition of entrepreneurship has been defined as a way of thinking for creating value or defined as activities related to start-up. This kind of narrow definition led the misunderstanding to the public. Also, the entrepreneurship policy makers and educators have used the concept of entrepreneurship as a start-up activities. With this mis-concept of narrow definition should broaden to the right and broad concept of entrepreneurship as the zeitgeist and the solutions to social problem. For redefining the entrepreneurship concept, we conducted the survey with experts in the entrepreneurship industry such as professors in entrepreneurship division at university level and experts in entrepreneurship industry such as policy makers in the government related organization. Based on Colaizzi(1978)’s research, the phenomenologist view is useful to see the core value of phenomena. Researchers did in-depth interview to redefine the definition of entrepreneurship. We got the 6 key concepts which they have to be included in the definition of entrepreneurship through in-depth interview. First, entrepreneurship can solve the inequity issues in terms of social value and economic side. Second, it can be a solution of unbalanced bad cycle of society. Third, it can be a solution to adjust the current economic paradigm. Forth, entrepreneurship can be a driving force of economic and social dynamics. Fifth, it will create the positive system to create the effective results. As a sixth key point, entrepreneurship can be a source of social value creation beyond the economic value creation. These core values can lead the more broad perspective to understand entrepreneurship concept as a solution of social problem and the zeitgeist. Using this understanding, entrepreneurship can be applied to the economic sectors and social sectors as well. Also, it will bring the right direction for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the situation all students have to take the entrepreneurship course as a mandatory course.

      • KCI등재

        청소년의 미래진로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백민정(Minjung Baek),강경균(Kyoung-Kyoon Ka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이 미래를 예측하고 미래의 문제를 풀어낼 미래의 대안들을 탐색하며, 자신이 원하고 바라는 미래사회의 모습을 찾고, 그 사회에서 자신이 실현할 미래의 직업을 발견하거나 창조하는 미래진로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그 결과, 청소년 미래진로프로그램은 미래이해, 미래참여, 미래의 나, 미래경영으로 총 4 모듈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미래진로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K대학의 영재교육원의 학생 93명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실험 연구를 진행하였다. 청소년의 미래진로프로그램에는 남학생 62명, 여학생 31명, 중학생 62명, 고등학생 31명이 참여하였다.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청소년의 미래효능감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7.810, p<.001). 결과적으로 청소년 미래진로프로그램에 참여한 청소년은 평소에 의문을 갖고 문제에 대해 분석하고, 자신에 대하여 성찰하며,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의 문제에 관심을 갖게 되는 등 생활에 있어 새로운 의미를 생성하는 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배움을 통해 새로운 것을 깨달아 현실에 적용하고, 배우면서 비판적인 사고 능력을 기르며, 배운 것을 잘 활용하는 실천력이 향상되었다. 또한, 사회를 개선하는 데 참여하는 사회 개선력이 높아졌으며, 자신을 타인에게 솔직하게 이야기하고 약점을 인정하며, 다른 사람들을 통해 새로운 것을 찾거나 만드는 의사소통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Youth Future Career Program for adolescents and to look into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the future efficacy. Through the program, adolescents would predict the future, explore alternative futures to solve future problems, find the shape of the future society they want and desire. In addition, they will discover or create future jobs. In this study, the Youth Future Career Program was developed into four modules: Future Understanding, Future Participation, Future-self, and Future Management. Ninety-three students in K University"s Gifted Education Center participated in the Future Career Program (62 males and 31 females, 62 middle school students, and 31 high school students). The students responded to 14 questions about the future efficacy of the Youth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8 out of 14 questions (p<.05). In particular, the abilities of the participants were improved as follows: to apply newly learned things to society, to evaluate the current problems, to develop critical thinking to solve the problem, and to communicate with members of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