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xpert Team on Climate Change Detection and Indices (ETCCDI)를 이용한 강원지역 극한기상특성의 변화 분석

        강건국,이동섭,황석환,김병식,Kang, Keon Kuk,Lee, Dong Seop,Hwang, Seok Hwan,Kim, Byung Sik 한국수자원학회 2014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7 No.12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기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로 인한 부정적 영향에 대한 우려가 증가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기후변화로 연평균 강수량이 1910년대 1,155mm에서 2000년대 1,375mm로 약 19% 증가했으며 21세기말에는 약 17%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최근 10년간 1일 100mm 이상 집중호우의 발생빈도는 총 385회로, 70~80년대 222회에 비해 1.7배나 증가하는 등 기후변화로 인해 극한기상의 변화가 심해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강원지방의 경우 대부분 지역이 산악으로 구성되어 있어 다른 어느 지역보다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을 크게 받을 것으로 예상되며, 높은 태백산맥으로 인해 영서 및 영동으로 구분되어 산악 및 해양성기후를 모두 가지고 있는 특이한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강원지방의 기후가 최근 어떤 특성변화가 있는지 ETCCDI (Expert Team on Climate Change Detection and Indices) 지수를 이용하여 정량화하고자 한다. Interesting in abnormal climate is currently growing because of climate change. With this, an increasing number of people continue to show concern over the negative effects of such changes. In Korea, the annual average rainfall amount increased to about 19% from 1,155 mm in the 1910s to 1,375 mm in the 2000s. By the end of the 21st century, it has been projected that rainfall will further increase to about 17%. In particular, the 10-year frequency of localized heavy rain of more than 100-mm rainfall per day reached 385 days in the last 10 years. As such, it increased 1.7 times from 222 in the 1970s-80s. The extreme events caused by climate change is thus reported as having exacerbated over the years. Gangwon-province will suffer more from climate change than any other region in Korea because of its mostly mountainous terrain. It is a special region with both mountainous and oceanic climates divided alongside the eastern and western regions of the Taebaek Mountain Range. As such, this paper try to quantify using ETCCDI (Expert Team on Climate Change Detection and Indices) the recent climate changes in this region.

      • KCI등재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설치를 위한 유형결정 방안에 대한 연구

        강건국(Kang, KeonKuk),지용근(Jee, YongKeun),최정렬(Choi, JungRyel),김병식(Kim, ByungSik) 한국방재학회 2017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7 No.4

        극한강우와 토석류 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소하천 상류에서 토석류 유출 저감 및 저수를 통한 용수 확보가 가능한 다기능 토석류 유출저감시설을 설치하고 있으나, 기존 산지부에 설치하는 사방댐은 기능적 측면에서 상이하기 때문에 사방댐 설치 기준을 적용하기에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목적 및 필요 기능에 따라 변형할 수 있는 토석류 유출저감시설의 설치를 위한 적지선정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적지선정을 위해 산사태위험도 분석, 토사유출량 분석, 자연 휴양적 이용등급 분석, 인구밀도 분석, 소하천 홍수범람위험구역 분석 등을 수행하였으며, 각각의 분석결과를 통합 및 표준화하여 해당유역에 대한 적지선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론은 향후 소하천에 지속적으로 설치가 될 것으로 판단되는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적지선정에 활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As the damage caused by extreme rainfall and debris flows occurred continuously, a Multi-purpose Debris Flow Mitigation Module(MudM2) reducing the depletion of debris flows and Securing water through water storage in the small river has been installed. However,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standard for installation of debris barrier on mountain part because it differs in function from debris barrier. Therefore, in this study, a methodology for the type determination of MudM2 which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the required function. In order to select appropriate sites, we conducted landslide risk analysis, soil runoff analysis, natural recreational utilization grade analysis, population density analysis, and flood flood hazard zone analysis for small watersheds. The analysis results were integrated and standardized, Respectively. The methodology suggested in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the determination of the type of MudM 2 that are expected to be installed continuously in a small river.

      • KCI등재

        안정적인 물 공급과 정보관리를 위한 SWG 통합플랫폼 개발

        강건국(Keon-Kuk Kang),윤정환(Jeong-Hwan Yun),정성은(Sung-Eun Jung) 한국정보기술학회 2017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Vol.15 No.3

        Multidimensional integrated operation and management of bi-directional communication is important to enhance the efficiency, economical efficiency and convenience of water resource management worldwide. In particular, the development of future intelligent programs for integrating and managing individual programs is important, and the developed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enable linkage and operation in consideration of sustainability. Therefore, in this research, we developed an integrated platform utilizing infrastructure such as communication(Smart), water resource(Water) and spatial distribution(Grid). The SWG integration platform is composed of a variety of programs for water resource management through integrated components and libraries as a single framework, which will ensure the efficiency, stability and sustainability of the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