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억양 발달 과정에서 나타난 언어 보편성과 모국어 전이-억양의 문법적 기능을 중심으로-

        가맹맹 이중언어학회 2019 이중언어학 Vol.77 No.-

        Although it is impossible that the pronunciation of learners can not be influenced by their native languages, not all features of learner language can be explained by the transfer of native language. With the study of learner language going on, researchers pay more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er of native language and language universal, as the fact that language universal is able to complement the contrastive analysis hypothesis which was formed by the transfer of native language. This study attempts to explain the effect of the language universal and the transfer of native language in the acquisition of Korean intonation of Chinese learner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of native language, target language and language universal can influence the degree of learning difficulty. When the native language form is as same as the target language form, and both of them are coincided with the language universal, the study will be easiest. And in this condition, the beginners tend to realize the target language form more remarkably. But even though the native language form is as same as the target language form, if they are different from language universal, the study will be difficult. Second, compared with the native language forms which do not match with the language universal, these which are coincided with the language universal are more possible to transfer to the target language forms’ realization of learners.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anguage universal and the transfer of native language in the language development of learners is related to the learning items. 제2언어의 음운 습득에 있어 학습자의 모국어가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없으나 모국어 전이만으로 학습자 언어의 모든 특징을 설명할 수 없다. 모국어 전이와 언어 보편성을 함께 살펴보고자 하는 이유는 언어 보편성이 모국어 전이에 의해서 형성된 대조분석 가설을 보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국인 학습자의 억양 발달 양상을 밝히고 언어 보편성과 모국어 전이의 관점에서 그러한 양상이 나타난 원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 대해 검토한 후 억양의 문법적 기능을 중심으로 녹음 자료를 작성하고 한국인 모어 화자와 중국인 학습자의 핵억양과 말토막 억양의 실현 양상을 비교하였다. 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우선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모국어와 목표어, 언어 보편성의 관계에 의한 학습 용이성을 제시하였다. 즉 모국어 양상과 목표어 양상이 같으며 둘이 언어 보편성과 일치하는 경우에 학습이 가장 쉽다. 이런 경우에는 초급 학습자가 목표어 양상을 과하게 표현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모국어 양상과 목표어 양상이 같음에도 불구하고 둘이 언어 보편성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학습이 아주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목표어에서 하나의 억양 양상만 존재하나 학습자의 모국어에서 대응되는 양상이 두 가지가 존재하는 경우, 목표어의 억양 양상이 언어의 보편성과 일치하면 학습자가 목표어의 양상을 비교적 쉽게 습득할 수 있다. 이어서 전이가능성에 대한 결론인데 언어 보편성과 일치하는 모국어 특성은 그렇지 않은 특성보다 전이 가능성이 더 높은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언어 발달 과정에서의 언어전이와 언어 보편성의 관계도 살펴봤는데 그것을 한 마디로 설명하기가 어려우며 목표 학습 항목에 따라 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문장 유형에서 나타난 언어 보편성과 모국어 전이를 밝혔다. 하지만 관찰된 학습자의 양상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언어 보편성과 모국어 전이의 더 전면적인 관계를 밝히지 못했다.

      • KCI등재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말토막 억양에 대한 지각 및 산출 연구

        가맹맹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20 한국언어문화학 Vol.17 No.1

        본 연구에서는 중국인 학습자가 말토막을 구성하는 음절수와 초성의 성질에 따라 어떻게 지각하고 산출하는지, 그리고 지각과 산출의 상관성에 대해 분석하였고, 말토막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가 말토막 억양 패턴 사이의 음성학적 차이를 구별할 수 있는지가 아니라 각 말토막 억양 패턴을 내재화시킬 수 있는지가 학습자의 산출 정답률과 관련된다. 둘째, 지각과 산출의 관계는 말토막에 포함된 음절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서 지각과 산출의 관계는 단순한 인과관계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초성에 대한 지각 정답률과 산출 정답률 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으며, 음절수의 차이는 초성에 대한 지각 정답률과 산출 정답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서 말토막 억양에 대해 교육할 때 단순한 지각훈련뿐만 아니라 명시적인 교육과 초점 훈련도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inese learners’ perception and production of accentual phras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syllables composing the accentual phrases and the pitch patterns of the first syllable in an accentual phrase and come up with some implications for teaching accentual phrases bas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perception and produc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roduction accuracy is related to whether learners can internalize the pattern of accentual phrases, instead of whether learners can point out the difference among the patterns of accentual phrases.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and production differs according to the number of syllables, and it can be seen that this relationship is not based on a simple causal system. Third, when it comes to the pitch patterns of the first syllable in an accentual phrase, there is a big difference between the accuracy of perception and production, but the difference in syllable numbers does not affect this accuracy. The above results show that while teaching accentual phrases, not only perceptual training but also explicit and focused training is needed.

      • KCI등재

        고변이 음성훈련과 저변이 음성훈련이 중국인 초급 학습자의 억양 지각에 미치는 영향 -억양의 문법적 기능과 감정 및 태도의 전달 기능을 중심으로-

        가맹맹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20 한국어 교육 Vol.31 No.3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high- and low-variability phonetic training on learners’ perception of Korean intonation. The participants were twenty Chinese primary learners study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they were and divided into two groups. The experiment consisted of a pretest, five exercises, a post-test, and a generalization 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high- and low-variability phonetic training have the same effect on increasing the accuracy of learners’ perceptions of the grammatical function of intonation. Second, both high- and low-variability phonetic training are needed to improve the accuracy of primary learners’ perceptions of the emotional/attitudinal function of intonation. Because high-variability phonetic training can compensate for the key disadvantage of low-variability phonetic training, namely that learners find it difficult to master various intonation patterns.; and On the other hand, low-variability phonetic training can compensate for the key disadvantage of high-variability phonetic training, namely that the effect is not stable.

      • KCI등재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운율적 요소 교육-중국인 학습자의 발화에서 나타나는 운율적 요소에 대한 한국인과 중국인의 지각 엄격성을 중심으로-

        가맹맹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21 한국어 교육 Vol.32 No.1

        This study analyzed the perceptual strictness of Korean and Chinese on the realization of prosodic elements of Chinese Korean learners. Seven Chinese speakers and seven Korean speakers judged the performance of 15 Chinese examinees on three tasks (reading, describing, narrating) by the nature of pitch change, the nature of pause, and the nature of speech speed,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FACETS. The study results show the following: first, Chinese learners need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change of pitch (intonation), but do not need to excessively pursue the accuracy of pause and speech speed, which are related to fluency. Second, learners should learn prosodic elements from the beginning of the study. Third, in the practice of prosodic elements, the type of task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effectiveness of the exercise.

      • 초점 억양에 대한 한국인 모어 화자와 중국인 학습자의 지각 범주화 양상 연구

        가맹맹 ( Jia Mengmeng ) 중국한국(조선)어교육연구학회 2023 한국(조선)어교육연구 Vol.22 No.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Korean native speakers and Chinese learners’ categorical perception of the intonational cues of focus. In order to do that, 19 Korean native speakers and 57 Chinese learners participated in the discrimination experiment and identification experiment. The results show that first,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Korean native speakers and Chinese learners with different proficiency in categorical perception of the intonational cues of focus, which means in terms of the pronunciation which Korean native speakers would not hear as focus, Chinese learners could hear as focus, and the possibility of that is getting higher as the proficiency of learners getting lower. Second, as the perception training should focus on the formation of categorical perception, training perception by natural pronunciation of Korean native speakers is not appropriate. Instead, the stimuli of the boundary of category should be u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