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잠재적 수학 학습 포기 학생의 가정 자원 및 학교 배경 분석: TIMSS 2015 결과를 중심으로

        황지현,고은성,탁병주 대한수학교육학회 2020 학교수학 Vol.22 No.3

        This research is the follow-up study of Hwang & Ko (2018), in which five different motivational profiles are identified. Considering students with negative motivational constructs (profiles 1 and 2 in Hwang & Ko, 2018) have high potential to perceive them as students who give up on learning mathematics, we examined parents’ education levels, how to do homework and extra lessons, home resources, sense of school belonging, student bullying, and achievement by motivational profile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ests, and ANOVA. The findings showed that students would avoid learning mathematics if they have limited home resources while they want to improve their achievement. However, having enough home resources is not enough. If students are not able to see the improvement in their achievement despite their efforts to take extra lessons and spend their home resources, they would also be students who give up on learning mathematics potentially. 본 연구는 황지현과 고은성(2018)에서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발견한 수학에 대한 태도가 다른 5개의 학생 그룹을 이용한 후속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학 및 수학 학습에 대해 부정적 인식이 강한 학생들(프로파일 그룹 1과 그룹 2)이 수학 학습 포기를 결심할 가능성이 높다고 가정하고, 이들의 부모의 교육 수준, 학교 숙제, 사교육, 가정 자원, 학교 소속감, 집단 괴롭힘, 성취도에 대해 기술통계량, 카이제곱검정, AN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들은 자신의 성취도를 향상시키고자 할 때 가정 자원이 제한적이라면 수학 학습을 포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학 성취도를 향상시키는데 충분한 가정 자원을 가지고 있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생들이 학교 수업 외의 추가 학습을 하고 가정 자원을 사용하려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성취도가 향상되지 않을 때 학생들은 수학 학습을 포기할 가능성이 더 커질 수 있음을 제안한다.

      • KCI우수등재

        西獨의 學校種類와 學校制度

        黃智賢 한국교육학회 1964 敎育學硏究 Vol.2 No.1

        學校는 全體的으로 하나의 分類되고 組織된 構成과 學校制度를 形成하며 學校制度의 全體內에서 學校種類를 分類하고 學校形式과 學校型을 區分할 수 있다. 學校種類에 있어서는 傳統的인 一般 敎育을 爲한 學校와 職業的 敎育을 爲한 學校로 區分할 수가 있다. 一般的인 敎育을 爲한 學校種類로서는 그들의 文化世界의 體驗과 理解의 媒介를 通해서 生成되는 젊은 사람들의 個性을 形成하는 것이 學校의 目標이며 特徵인 것이다. 一般的 敎育을 爲한 學校는 어떠한 特別한 職業 目標를 追求하지 않으냐, 學校에서 將來의 職業을 爲하여 習得된 知識, 素質, 熟練 等의 重要한 것과 個個人의 授業對象들이 將來의 職業的 有用의 目標에 關하여 배우는 것이 除外되는 것은 아니다.

      • KCI우수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및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메타버스 관련 국내연구 경향 분석

        황지현,한유진,임해원 대한건축학회 2023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9 No.1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research trends of the metaverse, the state-of-the-art technology, in South Korea. After surveying this researchtopic, the keywords of research papers based on text mining methods such as keyword network analysis and LDA topic modeling wereanalyzed. There were 637 metaverse articles collected from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published from 2007 to 2022. After pre-processing a total of 240 articles, 722 keywords were prepar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severalcategorized topics and crucial keywords. The most important keyword found in metaverse articles was virtual reality, which was mainlystudied in four types of the metaverse. Among the four types, augmented reality and the virtual world appeared as major keywords whereasmirror world and life-logging were not mainly dealt with. Therefore, the keywords mirror world and life-logging can be studied in the futurefor spatial design and architecture domains. Although multidisciplinary studies are being conducted, it has yet to be thoroughly studied. Manystudies have focused on metaverse applications and content as a very important keyword, but the scope has been very limited, especiallyregarding architecture domain. Lastly, the metaverse platform and user experience seem to be key topics in domestic research that especiallyfocus on major platforms belonging to the virtual world. Thus, in terms of spatial design and architecture, broader research on the metaverseneeds to be continuously conducted from a user’s perspective. The information and knowledge gained from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conducting future metaverse studies. 코로나 19 팬데믹 이후 비대면 소통이 일상이 되면서 3차원의 가상공간에서 타인과 교류하는 메타버스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다. 미래 메타버스 공간에 대한 중요성이 점차 커지면서 메타버스 연구에 대한 관심이 매우 증가하였음에도, 메타버스의 활용을 대상으로 동향을 파악한 연구는 미비하다. 이에 본 연구는 메타버스 활용 관련 국내 연구의 주제 및 경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에서 메타버스를 중심어로 하여 학술논문을 검색하여 2007년부터 2022년까지 발표된 총 637편의 국내 학술논문의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전처리를 거쳐 총 240편의 논문과 722개의 키워드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일차적으로 학문 분야 및 주제를 분석한 뒤, 텍스트 마이닝 방법론 중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과 LDA 토픽모델링을 활용하여 메타버스 활용 주제 및 관계를 세부적으로 분석하였다. 메타버스 활용 관련 국내 연구의 경향을 분석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메타버스 관련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키워드는 메타버스의 네 가지 유형(증강현실, 가상세계, 거울세계, 라이프로깅)과 함께 연구된 '가상현실'로 나타났다. 또한, 메타버스의 네 가지 유형 중 ‘증강현실’과 ‘가상세계’는 중요하게 나타난 반면, ‘거울세계’와 ‘라이프로깅’은 주요하게 다뤄지지 않았다. 따라서 건축 및 실내건축분야에서 활용 가능성이 큰 거울세계와 라이프로깅이 향후 연구 주제로 다뤄지기를 제안한다. 둘째, 공학 뿐만 아니라 복합학, 사회과학, 예술학 등 다학제적 연구가 진행되고는 있으나, 아직 다양한 활용 대상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많은 연구들이 메타버스의 다양한 분야에의 확장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콘텐츠'가 매우 중요한 키워드로 다뤄졌으나 세부 대상은 교육에 집중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양한 관점에서 건축 및 실내건축 분야에서 가용 콘텐츠의 개발 및 적용 방안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메타버스 플랫폼은 국내 연구의 핵심 주제 중 하나이며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위한 플랫폼으로도 적용 및 연구되고 있다. 기술은 구현 자체보다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의미 있는 경험을 창출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사용자 측면에서 메타버스 공간의 디자인 방향과 경험의 설계, 인터페이스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메타버스가 더욱 발전될 것으로 전망되는 상황에서 메타버스의 활용과 관련하여 더욱 폭넓은 콘텐츠를 대상으로 사용자 중심의 구체적인 적용 방향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제시한다.

      • KCI우수등재

        3기 신도시 마스터플랜에 대한 평가와 향후 과제

        황지현,김용진 대한건축학회 2023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9 No.1

        This study analyzes the master plans chosen as the winner in the Urban Design Concept and Multi-Dimensional Urban & Architectural SpacePlan for the 3rd Generation New Town competition that focus on three sites: Namyangju-Wangsuk, Hanam-Gyosan, and Incheon-Gyeyang. The possibility of realizing key design strategies were evaluated by comparing the master plan from the competition and its implementationplan.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an implementation plan, lots of design strategies related to space structure, self-sufficiency land use, mixedland use, and special district were modified or discarded because of business, law, and safety related issues. These analysis results showedthat the development of commercialization strategy, institutional review, and cooperation between urban planning and other related fields inthe initial stages were very important for the realization of this master plan in a New Town development. 본 연구는 「3기 신도시 기본구상 및 입체적 도시공간계획 공모」에서 당선된 남양주 왕숙, 하남 교산, 인천 계양 세 개 지구의 마스터플랜들을 대상으로 실현가능성을 평가하였다. 공모 당선작과 이를 바탕으로 승인 고시된 지구계획을 비교분석함으로써 현상설계안의 핵심 설계전략들이 지구계획에 얼마만큼 반영되었는지를 분석하고, 미반영된 전략이 있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지를 검토하였다. 분석결과, 3기 신도시 설계공모를 바탕으로 독창적이고 혁신적인 설계전략들이 다수 제안되었으나, 이들 중 다수가 지구계획으로 발전되는 과정에서 제외되거나 수정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이들 전략이 미반영 된 데에는 사업성 확보의 어려움, 관련 법제도와의 상충, 구체적인 실현전략 부족, 교통 및 환경 등의 분야에서 제기된 안전문제가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향후 신도시 개발에서 초기 마스터플랜의 실현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도시계획의 시작 단계부터 타 법제도에 대한 폭넓은 검토, 도시계획과 타 분야간의 활발한 소통, 사업화 전략의 발굴 등이 이루어져야 함을 보여준다.

      • KCI등재

        비내진설계 내력벽식구조물의 슬래브 내진성능 향상방안 연구

        황지현,박태원 한국방재학회 2013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3 No.4

        A need for seismic design of buildings have been increased dramatically due to the fact that seismic damages have been reported all over the world. In Korea, the seismic design code for buildings was developed in 1988. However, the buildings designed and built before 1988 are expected for serious seismic damages. With this reason, an appropriate seismic retrofitting method is required for such buildings, which needs to be economical and practical. In this study, seismic retrofitting methods by using H-section steel to the slab are developed and introduced applying to the wall-type apartment buildings. As a result, performance of slab test models was improved to satisfy the required retrofitting capacity. Stiffness and energy dissipation capacity of the model were also enhanced. 최근 세계 곳곳에서 지진에 대한 피해가 보고되면서 적정한 수준의 건물 내진성능을 보유하기 위한 많은 노력이 진행되고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1988년 이전에 설계되어 내진설계가 되어있지 않은 많은 기존구조물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이에본 연구에서는 내진설계 되어있지 않은 리모델링 대상 노후 건축물을 보강하여 내진성능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하여 비내진상세를 갖는 노후공동주택을 모델로 하여 슬래브 보강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슬래브에 H형강으로 보강한 실험체는 보강요구값을 만족하였고, 강성 및 에너지 소산능력에도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 동결농축유의 미량성분 분석 및 관능적 특성에 관한 연구

        황지현,이수정,김송희,안정좌,민상기,곽해수 한국축산식품학회 2005 심포지움 및 학술발표회 Vol.- No.35

        본 연구는 동결농축유의 미량성분을 분석하고 관능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농축유의 수용성비타민은 동결농축유가 진공농축유보다 비타민의 감소율이 적었고, 같은 동결농축유의 경우에 17% 고형분인 농축유가 27% 고형분인 농축유보다 비타민의 감소율이 적었다. 지용성비타민도 동결농축유가 진공농축유보다 비타민 감소율이 적었으며, 수용성비타민 보다는 그 감소율이 크지 않았다. 유리아미노산은 진공농축유보다 동결농축유에서 많이 측정되었고 단쇄유리지방산은 진공농축유가 동결농축유보다 생성량이 많았으며 고형분이 많을수록 많이 측정되었다. 지방산화도는 단쇄유리지방산의 결과와 같이 동결농축유보다 진공농축유가 더 높게 측정되었다. 관능검사는 cooked flavor, oxidized flavor, cheesy flavor, fat-taste, oxidized taste, off-taste에서 동결농축유가 진공농축유보다 양호하게 평가되었다. 결과적으로 동결농축유가 진공농축유보다 미량성분의 손실이 적고 관능적으로 양호하게 평가되었기 때문에 영양학적, 관능적으로 우수하다고 사료된다.

      • KCI등재

        다중사회정체성 맥락에서 평가자 집단 유형이 동남아이주민들의 자기고정관념화에 미치는 영향

        황지현,김도영,신희천,이주연,김혜숙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6 No.1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salience of ethnic identity and the evaluator group on the implicit as well as the explicit self-stereotyping of the Southeast-Asian immigrants in the context of multiple social identities. Furthermore, we also examined whether the effect of the salience of ethnic identity and the evaluator group on the self-stereotyping of the Southeast Asians was mediated by the salience of Koreans'stereotypes on the competence of the Southeast-Asian immigrants'. To examine these hypotheses, we asked the Southeast-Asian migrant participants to evaluate their own competence using both the implicit and explicit measures, in a hypothetical job interview situation in which the nationality of the evaluator and the salience of national identity was varied. The results showed that as expected, participants for whom the Southeast-Asian identity was made salient evaluated their competence less favorably when they thought the evaluator was a Korean (i.e., when their social identity was salient) than when the evaluator was a Southeast-Asian (i.e., when their personal identity was salient). In contrast, the self-evaluation of competence of the participants for whom the Korean identity was made salient was not different in terms of the nationality of the evaluator. Furthermore,the results of the implicit self-stereotyping demonstrated the same pattern as the explicit measures. However, the analysis on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alience of Koreans' stereotypes regarding the competence of the immigrants for the interaction effect of the identity salience and the evaluator group on self evaluation of competence, did not obtain any significant result. We discusse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본 연구에서는 다중사회정체성 맥락에서 정체성의 특출성과 평가자 집단 유형이 동남아이주민들의 자기고정관념화에 미치는 영향과 과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동남아이주민 실험 참여자들에게 한국 혹은 고국에서의 생활에 대해 간략히 서술하도록 하여 정체성(한국인 대 동남아인)의 특출성을 조작한 뒤, 평가자 집단 유형(한국인 평가자 대 동족의 평가자)이 제시된 취업장면 시나리오를 읽고 암묵적·명시적 자기 유능성을 평가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예상대로 동남아인 정체성이 특출해진 참여자들은 면접장면에서 평가자가 동족일 때보다 한국인 평가자일 때 자기 유능성(자기 면접점수/ 자기 유능성)을 더 낮게 평가하였다. 반면 한국인 정체성이 특출해진 참여자들은 평가자 집단 유형에 따른 자기 유능성 평가에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이러한 정체성의 특출성과 평가자 집단 유형에 따른 자기고정관념화는 명시적 측정에서 뿐만 아니라 암묵적으로도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중다회귀분석 결과, 평가자가 한국인일 때 동남아인 정체성이 특출해진 참여자의 자기 면접점수 예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동남아이주민의 유능성에 대한 지각된 한국인들의 고정관념이 유일한 설명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동남아이주민들의 자기고정관념화가 동남아이주민의 유능성에 대한 지각된 한국인들의 고정관념의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예상을 일부 지지하는 결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들에 대한 이론적‧실제적 의미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디지털 무역규범의 국제적 논의에 관한 연구

        황지현,김용일,Hwang, Ji-Hyeon,Kim, Yong-Il 중소기업융합학회 2021 융합정보논문지 Vol.11 No.10

        디지털 무역의 확산으로 글로벌 통상환경 하에서 디지털 무역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국제적인 디지털 통상규범이 부재한 상황이므로 새로운 무역규범 정립을 위한 논의는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세계 각국은 자국의 이익을 고려한 디지털 무역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나 상이한 규제정책으로 통상갈등을 초래하고 있다. 국경 간 데이터의 자유로운 이동에 따른 개인정보 침해에 대한 안전장치를 마련하기 위해 세계 주요국들은 데이터 지역화 조치를 취하고, EU는 GDPR을 발효하였다. 개인정보가 포함된 데이터의 이전을 제한하는 규제들은 디지털 기업들의 경영활동에 장애요인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주요국들이 도입한 디지털세에 관하여 미국은 디지털세 부과를 차별적인 조치인 무역장벽으로 간주하고 있으며, 일부 국가들은 자국에 미칠 부정적인 영향을 우려해 디지털세 도입을 반대하고 있다. 그러나 OECD와 G20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글로벌 디지털세에 관한 논의가 진전을 보이면서 디지털세 합의안이 연내에 도출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응책도 마련해야 하는 상황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디지털 무역 규범의 최근 동향을 고찰하고, 디지털 무역의 핵심 쟁점들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우리나라 통상정책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With the spread of digital trade, the share of digital trade under the global trade environment is increasing. However, since there is no international digital trade standard, the discussion to establish a new trade rule has important significance.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implementing digital trade policies in consideration of their own interests, but different regulatory policies are causing trade conflicts. In order to provide safeguards against personal information infringement due to the free movement of data across borders, major countries around the world have taken measures to localize data, and the EU has enacted GDPR. And the United States regards the imposition of the digital tax as a trade barrier, and some countries oppose the implementation of the digital tax for fear of negative impact on their countries. However, discussions on the global digital tax, centered on the OECD and the G20 are making progress. As it is highly likely that a digital tax agreement will be drawn up within this year, countermeasures must also be prepared. Therefore, this study presents implications for the future direction of Korea's trade policy by examining recent trends in digital trade norms and analyzing major issues in digital tra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