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Log-polar변환과 얼굴특징추출을 이용한 크기 및 회전불변 얼굴인식

        고기영,김두영,Go Gi-Young,Kim Doo-Young 한국융합신호처리학회 2005 융합신호처리학회 논문지 (JISPS) Vol.6 No.1

        본 논문은 CCD 칼라 영상을 이용하여 얼굴을 인식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YCbCr 컬러모델에서 피부색에 대한 색상 정보와 적응적인 피부범위 확장을 통하여 얼굴후보영역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얼굴후보영역을 이용하여 곡선전개 방식의 초기곡선으로 사용하여 얼굴영역을 정확히 추출하였다. 얼굴의 특징점을 추출하기 위하여 얼굴영역에서 칼라정보를 이용한 Eye Map과 Mouth Map을 이용하였다. Log-polar변환의 중심점을 얻기 위하여 검출된 얼굴의 특징점을 이용하였다. 특징벡터를 추출하기 위하여 DCT, 웨이브렛 변환을 통하여 추출한 계수들을 이용하였다. 제안된 방법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BP 학습알고리즘을 사용하는 신경망에서 얼굴인식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제안한 방법이 입력영상의 회전, 크기변화에 대하여 기존의 방법에 비하여 강인한 인식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face recognition system by using the CCD color image. We first get the face candidate image by using YCbCr color model and adaptive skin color information. And we use it initial curve of active contour model to extract face region. We use the Eye map and mouth map using color information for extracting facial feature from the face image. To obtain center point of Log-polar image, we use extracted facial feature from the face image. In order to obtain feature vectors, we use extracted coefficients from DCT and wavelet transform. To show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method, we performed a face recognition using neural network with BP learning algorithm.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is robuster with higher recogntion rate than the conventional method for the rotation and scale variant.

      • KCI등재

        산욕기 출혈의 경도관 동맥색전술의 유용성

        고기영,성규보,윤현기,Go, Gi-Yeong,Seong, Gyu-Bo,Yun, Hyeon-Gi 대한영상의학회 2003 대한영상의학회지 Vol.48 No.6

        목적: 산욕기 출혈을 치료하는 데 있어서 동맥색전술의 효용성과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고식적 치료로 지혈되지 않는 500 ml 이상의 산후 출혈로 인하여 동맥색전술을 시행받은 25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우측 대퇴동맥을 천자하여 양측 내장골동맥 조영술을 시행하여 출혈동맥을 색전한 후 측부혈류에 의한 재출혈을 방지하기 위하여 반대측 내장골동맥의 전방구역 또는 자궁동맥을 추가로 색전하였다. 출혈동맥이 보이지 않은 경우에도 제왕절개술 후의 출혈인 경우 양측 내장골동맥의 전방구역을, 그 외의 경우에는 양측 자궁동맥을 색전하였다. 사용한 색전물질은 코일, 젤폼 또는 폴리비닐알콜 입자 등이었다. 시술 후 질 출혈의 지속 여부,합병증 등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혈관조영술 상 출혈 부위가 확인된 경우는 13예(52%)였으며, 출혈 동맥은 일측 (n=10) 또는 양측 (n=2)자궁동맥, 일측 질동맥 (n=1)이었다. 색전술 후 12명(92%)은 질 출혈이 소실되고 회복되었으나, 1명은 질 출혈이 지속되어 자궁적출술을 시행받았다. 혈관조영술 상 출혈 부위를 찾을 수 없었던 경우는 12예(48%)였으며 색전술 후 11명(92%)은 회복되었으나, 1명은 패혈증이 악화되어 사망하였다.2명에서는 각각 색전술 12, 13일 후 재출혈이 발생하여 자궁절제술을 시행받았다. 결론: 동맥색전술은 고식적 치료로서 지혈되지 않는 산욕기 출혈의 치료방법으로서 효과적이고 안전한 치료방법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assess the effectiveness and safety of transcatheter arterial embolization for the treatment of massive postpartum bleeding. Materials and Methods: Transcatheter arterial embolization was attempted in 25 patients with massive postpartum bleeding. After identification at bilateral internal iliac arteriography, the bleeding artery was embolized using gelfoam, polyvinyl alcohol particles or microcoils, and to prevent rebleeding through collateral pathways, the contralateral uterine artery or anterior division of the internal iliac artery was also embolized. Clinical success and complications were retrospectively assessed and documented. Results: Active bleeding foci were detected in 13 patients (52%), and involved the unilateral (n=10) or bilateral (n=2) uterine artery and unilateral vaginal artery (n=1). Twelve (92%) of the 13 patients recovered completely following embolization, but one underwent hysterectomy due to persistent bleeding. The focus of bleeding was not detected in 12 patients (48%), but 11 (92%) of these also recovered following embolization of the bilateral uterine or internal iliac arteries. One patient, however, died due to sepsis. Two of the 12 patients underwent hysterectomy due to rebleeding on the 12th and 13th day, respectively, after embolization. Conclusion: Transcatheter arterial embolization is relatively safe and effective for the treatment massive postpartum bleeding.

      • KCI등재

        시정수 비교기를 이용한 작은 크기의 위상고정루프

        고기영,최영식,Ko, Gi-Yeong,Choi, Young-Shig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1 No.11

        본 논문에서는 변화하는 루프필터 전압을 시정수 비교기를 사용하여 감지하고, 이의 출력에 따라 루프필터 전압변화를 보상하여 단일 칩으로 구현이 가능한 작은 크기의 위상고정루프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위상고정루프는 기존 구조에서는 안전한 동작이 불가능한 크기인 작은 용량을 가지는 커패시터를 사용하여 칩의 크기를 최소화 하였다. 시정수 비교기는 작은 시정수 값을 가지는 저항, 커패시터와 높은 시정수 값을 가지는 저항, 커패시터를 통과한 신호들을 입력으로 받아 루프필터 출력 전압의 변화를 감지한다. 시정수가 큰 노드의 출력은 루프필터 출력전압의 평균 값을 가지고, 시정수가 작은 노드의 출력은 루프필터 출력전압과 거의 같은 값을 가진다. 각 노드의 차이를 비교하여 나온 출력은 전류 보상기를 제어하여 작은 크기의 루프필터 커패시터를 충 방전 시킨다. 이는 제안된 위상고정루프를 안정하게 동작하도록 한다. 제안된 위상고정루프는 1.8V $0.18{\mu}m$ CMOS 공정을 사용하여 설계하였고, Hspice 시뮬레이션을 통해 회로의 동작을 검증하였다. A novel structure of phase locked loop (PLL) with a time constant comparator and a current compensator has been proposed. The proposed PLL uses small capacitors which are impossible for stable operation in a conventional PLL. It is small enough to be integrated into a single chip. The time constant comparator detects the loop filter output voltage variations using signals which are passed through small and large RC time constants. The signal from the large RC time constant node is the average of the loop filter output voltage. The output voltage of another node is approximately equal to the present loop filter voltage. The output of the time constant comparator controls a current compensator and charge/discharge small size loop filter capacitors. It makes the proposed PLL operate stably. It has been simulated and proved by HSPICE in a CMOS $0.18{\mu}m$ 1.8V process.

      • KCI등재

        Early-late 감지기를 사용한 고속 단일 커패시터 루프필터 위상고정루프

        고기영,최영식,Ko, Ki-Yeong,Choi, Yong-Shig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1 No.2

        A novel structure of phase locked loop (PLL) which has small size and fast locking time with Early-late detector, Duty-rate modulator, and Lock status indicator (LSI) is proposed in this paper. The area of loop filter usually occupying the larger portion of the chip is minimized using a single small capacitor. While the conventional PLL with a single capacitor loop filter cannot work stably, the proposed PLL with two charge pumps works stably because the output voltage waveform of the proposed a single capacitor loop filter is the same as the output voltage waveform of the conventional 2nd-order loop filter. The two charge pumps are controlled by the Early-late detector which detects early-late status of UP and DN signals, and Duty-rate modulator which generates a steady duty-rate signal. Fast locking time is achieved using LSI. It has been simulated and proved by HSPICE in a CMOS $0.18{\mu}m$ 1.8V process. 본 논문에서는 Early-late detector, Duty-rate modulator, 그리고 LSI(Lock Status Indicator)를 사용하여 작은 크기와 빠른 위상고정 시간을 갖는 위상고정루프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위상고정루프는 작은 용량을 가진 하나의 커패시터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칩의 크기를 결정하는 루프필터의 크기가 작아지게 되어 크기를 최소화 하였다. 기존의 전하펌프와 달리 2개의 전하펌프를 사용하여 하나의 커패시터를 사용하더라도 2차 루프필터를 사용 한 것과 같은 전압파형을 만들어 줌으로써 위상을 고정시킬 수 있다. 2개의 전하펌프는 UP, DN신호 위상의 빠르기를 감지해주는 Early-late detector와 일정한 비율의 파형을 만들어주는 Duty-rate modulator에 의해 제어된다. LSI회로를 사용함으로써 빠른 위상고정시간을 얻을 수 있다. 제안된 위상고정루프는 1.8V $0.18{\mu}m$ CMOS 공정을 사용하여 설계하였고, Hspice 시뮬레이션을 통해 회로의 동작을 검증하였다.

      • LMS 적응 필터링 알고리즘과 에지맵을 이용한 역하프토닝

        고기영,김두영 동아대학교 생산기술연구소 1999 生産技術硏究所硏究論文集 Vol.4 No.1

        Digital Halftoning convert a continuous-tone images to a binary images. There are many good methods for digital halftoning: ordered dither, error diffusion and more recently direct binary search(DBS). Inverse halftoning addresses the problem of recovering a continuous image from a halftoned binary image. Simple low pass filtering can remove the high frequency noise but it also removes the edge information. Thus the edge information should be separated from the halftoning noise. As a result, the edge of result image is blurring. The 512×512 continuous tone Lenna image is halftoned by using clustered-dot ordered dithering, dispersed-dot ordered dithering, error diffusion method. This paper present that we obtain continuous-tone-image which using LMS adaptive filtering algorithm. This image discover the optimal filter weights. To reduce noise without blurring the edges of reconstructed image use edge map.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proposed method gives a higher PSNR and better subjective quality than conventional methods. As a result, the edge information of reconstructed image reduce blurring.

      • KCI등재

        식도 정맥류 진단 및 등급 판정의 복부 전산화단층촬영과 식도 내시경의 비교:만성 간질환 환자의 예후 추정에 관한 전산화 단층 촬영의 가치

        고기영 대한영상의학회 1996 대한영상의학회지 Vol.34 No.2

        Purpose : To evaluate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conventional CT of abdomen in the detection ofesophageal varices, and to correlate CT grade of esophageal varices with prognosis and risk for bleeding.Materials & Methods : Both CT and endoscopy were performed in 100 patients. Endoscopy revealed that while 54patients had varices, 46 did not. CT criteria of variceal grading were follows : (1) wall thickening of more than5mm or irregular wall contour(grade I) ; (2) intraluminal protruding tubular structures with contrastenhancement(grade II) ; (3) confluent varices in the wall of esophagus or multiplied paraesophagealcollaterals(grade III). CT were reviewed by three radiologists without reference to clinical and endoscopic data.Results :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CT in the detection of esophageal varices were 80%, retrospectively. CTand endoscopic grades agreed with each other in 68% of patients, and there was high correlation between CT andendoscopy.(Gamma statistics, p=0.828). No history or endoscopic evidence of variceal bleeding was present on gradeI, but there was a high incidence on grade II(35%) and on grade III(50%)(MH Chi-Square, Ridit scores=50.561,p=0.000). Conclusion : Abdominal CT is useful in the detection of esophageal varices, and can predict the riskfactors of bleeding in patients with chronic liver diseases.

      • KCI등재후보

        Log-polar변환과 얼굴특징추출을 이용한 크기 및 회전불변 얼굴인식

        고기영,김두영 한국융합신호처리학회 2005 융합신호처리학회 논문지 (JISPS) Vol.16 No.1

        In this paper, we propose a face recognition system by using the CCD color image. We first get the face candidate image by using YCbCr color model and adaptive skin color information. And we use it initial curve of active contour model to extract face region. We use the Eye map and mouth map using color information for extracting facial feature from the face image. To obtain center point of Log-polar image, we use extracted facial feature from the face image. In order to obtain feature vectors, we use extracted coefficients from DCT and wavelet transform. To show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method, we performed a face recognition using neural network with BP learning algorithm.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is robuster with higher recogntion rate than the conventional method for the rotation and scale variant. 본 논문은 CCD 칼라 영상을 이용하여 얼굴을 인식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YCbCr컬러모델에서 피부색에 대한 색상 정보와 적응적인 피부범위 확장을 통하여 얼굴후보영역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얼굴후보영역을 이용하여 곡선전개방식의 초기곡선으로 사용하여 얼굴영역을 정확히 추출하였다. 얼굴의 특징점을 추출하기 위하여 얼굴영역에서 칼라정보를 이용한 Eye Map과 Mouth Map을 이용하였다. Log-polar변환의 중심점을 얻기 위하여 검출된 얼굴의 특징점을 이용하였다. 특징벡터를 추출하기 위하여 DCT, 웨이브렛 변환을 통하여 추출한 계수들을 이용하였다. 제안된 방법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BP 학습알고리즘을 사용하는 신경망에서 얼굴인식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제안한 방법이 입력영상의 회전, 크기변화에 대하여 기존의 방법에 비하여 강인한 인식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노말브틸아크릴레이트/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계 유화중합에 관한 계면활성제의 영향

        고기영,김철웅,김광주,구기갑 한국공업화학회 2002 응용화학 Vol.6 No.2

        Polymer latexes for polymer cement were prepared by introducing small amount offunctional monomers(acrylic acid and acrylic amide) during the semicontinuousemulsion polymerization of methylmetacrylate(MMA) and n-butyl acrylate(n-BA). Thepolymerization was investigated by following the variation of the amount and type, of surfactants on particle size, polymer content at different times of the polymerization process.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particle size and polymer content can be controlled by the amout and types of surfactants. LE and NE types out of nonionic surfactants used were good surfactants due to the formation of stable polymer latex without coagulants. Especially, a hydrophilic chain length(n) of these nonionic surgactants had a signigicant effect on the final particle size and polymer cont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