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汉韩空间形容词“长”和“길다”的认知域投射

        韩松涛(Han Song tao)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7 동양한문학연구 Vol.46 No.-

        사람의 여러 가지 인지 중에서 공간에 대한 인지는 가장 기본적이다. 사람은 공간의 크기, 길이, 높이, 면적 등의 내용들을 인지할 수 있으며 이렇게 인지한 내용들은 공간형용사를 통해 표현하게 된다. 이와 같이 특정한 어휘로 공간 특징을 나타내는 것은 모든 언어의 공통점이기도 하다. 인간은 공간을 1차원, 2차원 그리고 3차원으로 구분하고 다양한 공간형용사를 통해 다른 공간 차원의 특징을 표현한다. 한국어 ‘길다’와 중국어 ‘长’은 각각 1차원 공간에서 사물의 길이에 대해 인지한 언어 표현이다. 두 어휘의 의미 투사에 대한 분석을 통해 우리는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두 어휘는 근원 영역에서 비슷한 의미를 나타낸다. 그리고 양자는 근원 영역에서 출발하여 은유를 통해 다른 목표 영역으로 투사되는데 투사하는 영역은 비슷하지만 투사한 후 나타나는 의미는 완전히 똑같지 않다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대조언어학과 인지언어학을 이론적 근거로 하여 한국어 ‘길다’와 중국어 ‘长’이 의미를 투사하는 과정에서 나타내는 차이를 분석하고 각각의 인지영역 투사 특징에 대해 논의하도록 한다. The most fundamental sense in human beings’ cognition is the sense of space. We can perceive the size, length, height, area and volume of the space and use spatial adjectives to describe the result of our perception. This language performance of basic sense towards space is a common phenomenon in all languages. The spatial dimension is divided into one dimension, two dimensions and three dimensions according to the spatial features. “长” in Chinese and “길다” in Korean is the language performance of human’s cognition towards the length of an object in one dimension.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projection in meaning of these words, we find that “长” and “길다” have quite similar meaning in source domain, and in their respective meaning constructions, they demonstrate the projection to other target domains. Among which some of the target domains are the same. We also find, however, though the target domains are the same, the specific semantic meanings after projection do not show one hundred percent equivalence. Based on Contrastive Linguistics and Cognitive Linguistics theories, the paper aims to analyz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both words in the course of projection and discuss their characteristics in the projection.

      • KCI등재

        汉韩视觉感官词 “大” 和 “크다” 的词义投射

        韩松涛(Han Song tao) 동양한문학회 2015 동양한문학연구 Vol.42 No.-

        시각감각기관은 사람의 중요한 감각기관 중의 하나이며, 색채, 명암, 공간적 크기 등 다른 감각기관보다 더 풍부한 내용들을 받아들일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받아들여진 내용들은 시각감각어를 통해 표현하게 된다. 중국어 ‘大’와 한국어 ‘크다’는 사람들의 넓은 공간의 인지를 나타내는 일종의 언어적 표현이다. 중국어 ‘大’와 한국어 ‘크다’는 시각감각어로, 사물의 면적이나 부피, 용량 등이 일반적 기준을 초과한다는 의미를 나타내며, 이는 사람들이 공간적 개념으로 사물을 인지한 것에 대한 결과이다. 중국어 ‘大’와 한국어 ‘크다’의 다의 구조에서 우리는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각각이 공간적 개념의 근원 영역에서 출발하여 정도, 성질, 수량 등 다른 목표 영역으로 투사되는데 양자는 투사하는 방향은 비슷하지만 투사한 후 나타나는 의미는 완전히 대응되지 못한다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중국어 ‘大’와 한국어 ‘크다’가 의미를 투사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차이를 분석하고 각각의 인지적 특징에 대해 검토하도록 하겠다. Visual sense is one of the important senses of human beings, which offers us more abundant contents than any other senses. For instance, we can have access to colors, lights and space through visual sense and we can use visual sensory words to describe these contents. As a language presentation of human’s vast spatial perception, “大” in Chinese and “크다” in Korean is a good case in point. As a visual sensory word, “大” in Chinese and “크다” in Korean describes the size, volume or capacity of an object that exceeds normal standard. It is the result of human’s perception of an object in the concept of space. However, in the polysemy structure of “大” in Chinese and “크다” in Korean, we find both words describe the contents projecting from the source conceptual domain of the space to other target domains such as extent, property and quantity. We also realize that the projection direction of both words is almost the same, but the meanings after projection do not show one hundred percent equivalence. The paper aims to analyz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both words in the course of projection and discuss their cognitive characteris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