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自動ㆍ他動ㆍ受身の構文論的対応 - 他動詞の可能文に対応する自動詞文に注目して -

        韓静妍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6 비교일본학 Vol.38 No.-

        본고에서는 자타대응을 가지는 자동사로 구성된 자동사 구문과 그에 대응하는 타동사로구성된 타동사 구문, 그리고 자동사 구문과 나란히 타동사 구문에 대응하는 수동문의 구문론적인 대응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또한 타동사 구문이 아닌 타동사의 가능문에 대응하는자동사 구문의 존재에 주목하여 가능의 의미를 지니는 자동사 구문에 있어 동작주의 의지성이 관련하고 있음을 논하였다. 대부분의 타동사 구문은 자동사 구문으로 치환할 수 있음에 반하여 자동사 구문은 동작주가 명확하지 않으면 타동사 구문으로 치환할 수 없다. 이는 수동문의 경우에도 동일하다. 자동사 구문에 있어서 동작주가 명확한 경우에는 타동사 구문으로 치환 가능하다. 이 경우 동작주가 외인(外因)일 가능성이 있다면 수동문으로의 치환 또한 가능하지만, 동작주가내인(内因)으로 간주되며 외인일 가능성이 없는 경우에는 수동문으로 치환할 수 없다. 나아가 자동사 구문에 있어서 동작주가 명확하며 그에 더하여 자동사 구문이 나타내는사건의 실현에 동작주의 의지성이 동반되는 경우에는 타동사 구문이 아닌 타동사의 가능문으로 치환 가능하다. 이 경우에도 동작주가 외인일 가능성이 있다면 수동문으로 치환할 수있으나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수동문으로의 치환은 불가능하다. This thesis has studied the syntactic alternation of intransitive sentence, transitive sentence, and passive sentence. In addition, focusing on the existence of intransitive sentence that alternates with potential sentence of transitive, it also discusses the fact that the will of agent is involved in intransitive sentence which has the meaning of potential. Whereas most of transitive sentence can be changed to intransitive sentence, intransitive sentence cannot be changed to transitive sentence, if agent is not clear. The same holds true also with passive sentence. In the case of intransitive sentence, it can be changed to transitive sentence, if agent is clear. In this case, alternation to passive sentence is possible, if it is likely that agent is external cause, but alternation to passive sentence is not possible, if agent is regarded as internal cause and if it is not likely that agent is external cause. Additionally, as for intransitive sentence, alternation to potential sentence of transitive is possible, if agent is clear and, in addition, if the will of agent is accompanied by the realization of events expressed through intransitive sentence. In this case, too, alternation to passive sentence is possible, if there is likelihood that agent is external cause, otherwise, alternation to passive sentence is impossible.

      • KCI등재

        受身動詞と自動詞の「ている」

        韓静妍 한국일본학회 2016 日本學報 Vol.107 No.-

        본고에서는 일본어의 타동사에 대응하는 수동형(受身動詞) 및 자동사의 「ている」형의 상(相 aspect)적인 의미에 관계하는 동사의 어휘적 의미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수동형과 자동사의 「ている」형이 나타내는 결과계속・동작계속이라는 상적인 의미는 각각 [+한계성] [+과정성]이라는 의미소성에 기인하고 있음을 기술하였다. [+한계성]을 지니는 수동형 및 자동사의 「ている」형은 결과계속을 나타낼 수 있으며, [+과정성]을 지니는 수동형 및 자동사의 「ている」형은 동작계속을 나타낼 수 있다고 분석하였다. 또한 타동사에 나란히 대응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수동형과 자동사의 「ている」형의 상적인 의미에 차이가 나타나는 경우가 있음을 기술하였다. 이는 기본적으로 자동사는 주체의 변화만을, 수동형은 동작주의 동작과 객체의 변화를 모두 묘사한다는 사실에 기인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주체의 변화만을 묘사하는 자동사의 경우 그것이 나타내는 변화가 [+과정성]을 띠지 않는다면 동작계속을 나타낼 수 없음에 반하여, 동작주의 동작과 객체의 변화를 함께 묘사하는 수동형의 경우에는 객체의 변화가 [+과정성]을 띠지 않더라도 동작주의 동작이 [+과정성]을 지닌다면 동작계속을 나타낼 수 있다. In order to elucidate the lexical meaning of the verb relating to the aspectual meaning of the ‘-te iru’ form of passive and intransitive verbs, this thesis specifies that aspectual meaning - resultative state and progressive state - indicated by the ‘-te iru’ form of passive and intransitive verb is based on the lexical meaning of [+telic] and [+process]. This thesis analytically elucidates that the ‘-te iru’ form of passive and intransitive verb which is [+telic] can indicate the resultative state, and the ‘-te iru’ form of passive and intransitive verb which is [+process] can indicate the progressive state. The thesis also elucidates that the aspectual meaning of the ‘-te iru’ form of the passive and intransitive verb is sometimes different. This is basically because of the reason that an intransitive verb only depicts a change in subject, and its passive voice depicts both an act of an agent and a change of object. In the case of an intransitive verb that only depicts a change in subject, progressive state is not indicated, if the change is not [+process], but in the case of passive voice, which depicts both an act of agent and a change of object, progressive state is indicated, if the act of agent is [+process], even if the change of object is not [+process].

      • KCI등재

        非情物を主語とする受身文・自動詞文と動作主含意 ― 近代以降の日本文学作品の用例を中心に ―

        韓静妍 한국일본학회 2017 日本學報 Vol.112 No.-

        본고에서는 타동사 구문에 나란히 대응하는 수동문과 자동사 구문의 차이로서 종래의 연구에 있어서 지적되어 온 「동작주의 함의」라는 개념에 주목하여, 비정물을 주어로 하는 상대타동사의 수동문과 상대자동사 구문을 대상으로 구체적인 용례를 관찰하고 동작주의 함의라는 점에 있어서 두 형식이 실제로 차이를 보이는지 검토하였다. 「동작주의 함의」라는 개념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본고에서는 「동작주 존재 유무」와 「특정 동작주 함의」로 나누어 고찰하였으며, 수동문 및 상대자동사 구문이 나타내는 변화와 동작주 존재 유무, 그리고 특정 동작주 함의 여부와의 관련성을 관찰하였다. 구체적인 용례를 분석한 결과, 우선 상대타동사의 수동문과 상대자동사 구문은 나란히 상대타동사 구문에 대응한다고는 하지만 그 사용빈도에는 현격한 차이가 존재하여, 전체 용례에 있어서 수동문의 용례가 점하는 비율은 약 5%에 불과하며 상대자동사 구문의 용례가 약 95%를 점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동작주의 함의와 관련하여 두 형식을 관찰한 결과,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특정 동작주의 함의보다는 동작주의 존재 유무라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이 요인은 상대자동사 구문의 사용과는 관련성이 없으며, 수동문의 사용에 한하여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즉 수동문은 대부분의 경우 동작주가 존재하는 외인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경우에만 사용되는 데에 반하여, 상대자동사 구문의 사용은 동작주의 존재 유무에 영향을 받지 않는 양상을 보였다. 기본적으로 수동문이 동작주가 존재하는 외인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경우에만 사용되므로 동작주가 존재하지 않는 내발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상대자동사 구문만이 사용되지만, 상대자동사 구문은 내발적인 변화뿐 아니라 외인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경우에도 활발히 사용되고 있었다. 수동문과 상대자동사 구문의 전체적인 사용빈도를 보았을 때에 상대자동사 구문의 비율이 현격하게 높은 것을 생각해 본다면, 전체적인 보이스 체계에 있어서는 어휘적 태의 형식인 자동사 구문이 동작주의 유무와 관계 없이 우선적으로 사용되고, 문법적 태의 형식인 수동문은 동작주가 존재하는 외인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경우에 한하여 극히 낮은 비율로 사용되며 어휘적 태를 보충하고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Taking note of the concept of the implicitness of an agent, as pointed out in previous studies, as being the difference between passive and intransitive sentences, this thesis has examined specific forms of usage and has studied whether the two forms are actually different in terms of the implicitness of the agen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specific forms of usage, it has been, above all, confirmed that there is a noticeable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the usage of passive and intransitive sentences, and that, in all forms of usage, the proportion of usage of passive sentences is only five percent, whereas the usage of intransitive sentences is 95 percent. Next, regarding the implicitness of the agent, two forms were examined, and the examination showed that, in most cases, passive sentences are used only when there are changes caused by an external agent, whereas the use of intransitive sentences is not affected. Basically, because passive sentences are used only under these circumstances, only intransitive sentences are used to describe the changes caused by internal cause without an agent, whereas intransitive sentences are actively used not only to describe the changes caused by internal factors but also to describe the changes caused by an external agent as well. It can be said that, with regard to the overall voice system, intransitive sentences are preferentially used, regardless of the implicitness of the agent, and, in the case of passive sentences, which is the grammatical voice, their usage is extremely rare as they are only used to describe the changes caused by the external agent, simply to supplement the lexical voice.

      • KCI등재

        非情の受身と「に」格動作主

        韓静妍 한국일본학회 2015 日本學報 Vol.103 No.-

        본고에서는 종래 논해져 온 동작주 표시 「に」의 성격이 비정물 주어 수동문에도 적용되는지를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동작주 표시 「に」와 수영성(affectivity), 유정물 동작주 제약, 필수 동작주의 관계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우선 「피해」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어 온 유정물 주어 수동문과는 달리 비정물 주어 수동문의 경우에는 수영성이라는 개념도, 그에 대립하는 중립성ㆍ객관성이라는 개념도 적용되지 않음을 기술하였다. 비정물 주어 수동문의 경우, 「に」와 「によって」는 문체에 따라 선택되기보다는 동작주가 문장의 필수성분인지 여부에 따라 필연적으로 선택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또한 유정물 동작주를 「に」로 표시할 수 없다는 제약은 상당히 강하게 작용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그러한 제약을 회피하기 위한 「によって」의 사용이 근대 이후 수동문의 구조적인 변화 및 확장을 야기하여 수동문의 발달을 가져왔다는 견해에는 문제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마지막으로, 「に」로 표시된 동작주를 동반하여 주로 「피해」를 나타내는 유정물 주어 수동문과는 달리, 「に」로 표시된 동작주를 동반하는 비정물 주어 수동문은 상황 묘사에 사용되는 용례가 많으며, 이들 용례의 경우 동작주를 「に」대신 「によって」로 표시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に」에 의한 표시가 여전히 선호되는 경향이 있음을 밝혔다. The work described in this thesis aimed to determine wheth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agent marker 「ni」are also applied to the inanimate-subject passive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agent marker「ni」, affectivity, restriction of the animate-agent, and the indispensable agent. First, in the case of the inanimate-subject passive, it has been determined that neither the concept of affectivity nor its conflicting concept ─ neutrality and objectivity ─ is applied, unlike the animate-subject passive, which has been used to describe 「inconveniences」. In the case of the inanimate-subject passive, in most cases, 「ni」and 「ni-yotte」were inevitably being selected, and this depended on whether the agent is an indispensable constituent in the sentences, rather than being selected according to the styles of the sentences. In addition,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restriction determining that an animate-agent cannot be marked with 「ni」was relatively rigid. However, in this thesis, it has also been noted that there is a problem with the opinion that the inanimate-subject passive developed because its structural change and expansion were caused by the use of「ni-yotte」in modern times, with the purpose of avoiding such a restriction. Lastly, this thesis clarifies that, unlike the animate-subject passive which mainly describes 「inconveniences」with the accompaniment of an agent marked with 「ni」, there are many instances in which the inanimate-subject passive accompanying the agent marked with 「ni」is used in the description of circumstances, and in the case of these instances of usage there is a tendency that the mark with「ni」is still preferred, even though the agent can be marked with 「ni-yotte」instead of 「ni」.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