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ELMS 알고리즘에 대한 연구

        김종우 濟州敎育大學 科學敎育硏究所 1997 科學敎育硏究誌 Vol.13 No.-

        Least Median of Squares(LMS) 방법을 응용하여 초기 기본집합을 설정하는 김종우(1996)의 ELMS는 기본집합에 이상치들을 잘 배제시킨다. 이 방법의 사용에서 반복되는 기본집합의 추출에 따른 문제점은 처리 속도를 LMS에 비해서 크게 줄이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김종우(1996)에서 제시한 2단계 방법중에 1단계에서 사용한 ELMS의 적절한 크기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ELMS에서 SUBSET의 최적 크기

        김종우 濟州敎育大學校 1995 論文集 Vol.24 No.-

        Rousseeuw(1984)가 제시한 Least Median of Squares(LMS) 방법을 개선한 염준근, 박종구, 김종우(1995)의 ELMS는 효율적으로 이상치들을 인식한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 최적의 subset을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종유석 그림은 정확한 기준 점을 선정하는데 어려움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ELMS를 사용한 이상치 판별을 위한 적절한 크기의 subset 결정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스마트기기에 대한 교사의 활용 수준과 개선 사항에 대한 실태 분석

        김종우 한국정보교육학회 2014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8 No.4

        지식기반사회에서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교수․학습을 위하여 전국적으로 스마트교실을 설치하고 있다. 이러 한 경향은 빠르게 확산돼 갈 것으로 예상되며, 현재 사용 중인 스마트기기를 교육적 활용을 위하여 교사들을 중 심으로 활용 수준과 사용에 따른 문제점을 조사하였다. 스마트기기의 접근 용이성에 따른 영향 평가를 위해 스 마트교실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교사와 일반교실을 주로 사용하는 교사로 대상을 구분하여 스마트 수업을 위해 요구되는 스마트기기에 대한 요구사항, 학생들의 변화에 대한 교사의 기대 수준 등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스마 트교실 및 스마트기기에 대한 활용 및 만족 정도를 통해 현재 설치된 스마트기기에 대한 수준을 분석하였다. 교 사들은 스마트기기에 대한 막연한 기대효과를 갖고 있으며, 활용도 높은 기자재와 주변 기기와의 호환성 개선, 수업에 적합한 전자칠판을 필요로 하고 있으며, 정보검색, 동영상 등 기본적인 활용 수준으로 교사에게 익숙한 전자칠판의 기능 향상이 교육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Smart classrooms have been set up nationwide to utilize smart devices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knowledge- based society, As this trend might quickly spread, we have investigated the utilization levels, and issues around the facilities from the experienced teachers. In order to study the impact of easy access to smart devices, the teacher sampling groups were divided into two: one teacher group responsible for smart classrooms and the other group teaching in ordinary classrooms. Survey questions dealt with teacher needs analyses, their expectation of their students’ attitude changes, their satisfaction and utilization levels of smart devices currently built in classrooms. The results showed us that teachers have vague expectation about the smart devices and want more highly applicable devices for instruction, improvement of their compatibility with other multimedia devices or ap-plications as well as to improve the resolution of electronic boards. and basic functions of information search and videos that they use everyday.

      • KCI등재

        전층각막이식을 시행한 안에서 리바운드 안압계의 임상적 유용성

        김종우,정지원 대한안과학회 2018 대한안과학회지 Vol.59 No.12

        Purpose: To compare the measurements of the rebound tonometer (RT), Goldmann applanation tonometer (GAT) and noncontact tonometer (NCT) in patients who underwent penetrating keratoplasty (PKP), and to evaluate the reproducibility of the RT measurements. Methods: This study included 19 PKP eyes and 28 normal eyes. We compared the intraocular pressure (IOP) measurements of the GAT and NCT with the RT in both groups using Spearman’s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Wilcoxon signed-rank test. The IOP, as measured with an RT in each group, was assessed with respect to reproducibility using the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Results: In normal ey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surements obtained with the RT, GAT, and NCT (p > 0.050). In the patient group, the RT measuremen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GAT (p = 0.872), but they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btained with the NCT (p = 0.011). However, the RT measurements showed a relatively high correlation with those of the GAT and NCT (r = 0.770 and 0.879, respectively). The ICC of the RT was 0.986 for the PKP eye group and 0.961 for the normal eye group, both of which were highly reproducible. Conclusions: In PKP eyes, the measurements obtained with the RT showed a relatively high correlation with those of the GAT and NCT, and the repeatability of the RT measurements was high and similar to those for normal eyes. The RT can therefore be considered a useful method for measuring the IOP in PKP eyes. 목적: 전층각막이식을 시행받은 환자에서 리바운드 안압계의 임상적 유용성을 골드만 안압계 및 비접촉 안압계와 비교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전층각막이식을 시행한 19안, 정상 대상자의 28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전층각막이식을 시행한 안과 정상안 각각에서 리바운드 안압계로 측정한 안압 결과를 골드만 안압계와 비접촉 안압계로 측정한 결과와 Spearmann 상관분석을 시행하고 Wilcoxon signed rank test 검정을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또한 각 그룹에서 리바운드 안압계로 측정한 안압 결과를 급내상관계수를 이용하여 재현성을 평가하였다. 결과: 정상안에서는 리바운드 안압계로 측정한 결과가 골드만 및 비접촉 안압계로 측정한 결과값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0). 전층각막이식을 시행한 안에서는 리바운드 안압계로 측정한 안압은 골드만 안압계로 측정한 안압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p=0.872), 비접촉 안압계로 측정한 안압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았다(p=0.011). 하지만 리바운드 안압계로 측정한 안압과 골드만 및 비접촉 안압계로 측정한 안압은 비교적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r=0.770, 0.879). 리바운드 안압계 측정치의 급내상관계수는 전층각막이식을 시행한 안에서는 0.986, 정상안에서는 0.961로 두 군 모두 높은 재현성을 보였다. 결론: 전층각막이식을 시행한 안에서 리바운드 안압계 측정값은 골드만 및 비접촉 안압계 측정값과 비교적 높은 상관성을 보였으며 정상안과 유사하게 높은 재현성을 보여 이들 환자의 안압 측정에 있어서 유용한 방법 중 하나로 생각해 볼 수 있다.

      • KCI등재

        A Prospective Randomized Comparison of a Covered Metallic Ureteral Stent and a Double-J Stent for Malignant Ureteral Obstruction

        김종우,Bumsik Hong,신지훈,Jihong Park,김진형,권동일,Min-Hee Ryu,Baek-Yeol Ryoo 대한영상의학회 2018 Korean Journal of Radiology Vol.19 No.4

        Objective: To compare the safety and efficacy between a covered metallic ureteral stent (CMS) and a double-J ureteral stent (DJS) for the treatment of a malignant ureteral obstruction (MUO). Materials and Methods: Nineteen patients (seven men and 12 women; mean age, 53.4 year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CMS (n = 10) or DJS (n = 9) group. The following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technical success, i.e., successful stent placement into desired locations; stent malfunction; stent patency, i.e., no obstruction and no additional intervention; complications; and patient survival. Results: The technical success rate was 100% in all 10 and 12 ureteral units in the CMS and DJS groups, respectively. During the mean follow-up period of 253.9 days (range, 63−655 days), stent malfunction was observed in 40.0% (4/10) and 66.7% (8/12) in the CMS and DJS groups, respectively. In the per-ureteral analysis, the median patency time was 239.0 days and 80.0 days in the CMS and DJS groups, respectively. The CMS group yielded higher patency rates compared with the DJS group at three months (90% vs. 35%) and at six months (57% vs. 21%). The overall patency rat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MS group (p = 0.041). Complications included the migration of two metallic stents in one patient in the CMS group, which were removed in a retrograde manner. The two patient group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regarding their overall survival rates (p = 0.286). Conclusion: Covered metallic ureteral stent may be effective for MUO.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