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문화 가정 청년들의 청년기 가족관계 경험 및 그 영향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김재훈,김재훈,김민선,송가람,이수현,송지혜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2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1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family relationships that multicultural young adult experience in families and examines how multicultural young adult family relationship affect in transition. In order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multicultural young adults, 12 young adults who were born in Korea or immigrated were recrui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 consensus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used to explore multicultural young adults’s family adaptation and communication experiences. The interview was conducted in a semi-structured format for an average of about 60 to 70 minutes. In order to secure the validity of the research results, two experts received opinions on the appropriateness of the broad fields and categories derived from the research. Finally, 5 domains and 18 categories were derived: ‘Various experiences with family members in the growth process of youth born in Korea.' ‘Formation of a new family and experiences within the mid-immigrant youth.', ‘Cultural adaptation and family relationship experience of foreign parents.’, ‘Effect of the family on identity formation and growth of youth with migration background in the transition period.’ ‘Acceptance of bi-culture due to positive experiences in parent and family.’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experiences of youth with migratory backgrounds in their young adults families were described, and the implications of the role of family relationships in identity formation were described. It was suggested that a study on multicultural young adults is necessary.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 청년들이 청년기 가족 안에서 경험하는 가족관계 경험을 탐색하여 다문화 가정 청년들의 가족 관계가 성인 전환기에 있는 청년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다문화 가정 청년들의 경험을 탐색하기 위해 국내출생과 중도입국 다문화 가정 청년 12명을 연구 참가자로 모집하였다. 분석을 위해서 합의적 질적 연구(CQR)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반 구조화된 형식으로 평균적으로 약 60~70분의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국내출생 청년들의 성장과정에서 가족 구성원과 다양한 경험’, ‘중도입국 청년들의 새로운 가족형성과 그 안에서의경험’, ‘외국인 부모의 문화적응과 가족관계 경험’, ‘다문화 가정 청년들의 이중문화 수용에 가족이 미친 영향’, ‘다문화 가정 청년들의 정체성 형성과 성장에 가족이 미친 영향’의 5개 영역과 18개 범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 가정 청년들의 청년기 가족 안에서의 경험을 살펴보고 정체성 형성에 가족관계의 역할에 대한시사점을 논하였다.
農家經濟에 關한 調査硏究 : 果樹農家와 一般農家와의 經濟調査比較硏究
金在勳 안성산업대학교 1967 論文集 Vol.1 No.-
① 所得的收入과 所得的 支出은 果樹農家가 一般農家에 比하여 많고 兩者 比較할 때 所得的 支出額數에 比例하여 同 收入이 높은 傾向이 있다. 이로써 볼때 所得的 支出의 合理的인 增加는 農家收入을 增加시킨 수 있는 要因이라 하겠다. 한편 生産質의 節滅問題인데 現在의 生産樣式에서 段當數量을 向上시켜 生産質의 減少를 꾀하든가 多角經營에서 얻어지는 利益으로 費用의 節減을 圖謨하여야 할 것이다. ② 農家支出의 約2/3는 生計費로 支出되고 있으며 그로因하여 所得을 上昇시키기위한 投資 卽所得的 支出이 相對的으로 減縮되고 있을뿐 아니라 人間으로서 文化的 生活面이 低劣함을 알 수 있다. ③ 農家經濟의 收支를 對照하여 보면 赤字를 示顯하는 原因의 하나는 農家收入에 比하여 相對的으로 많은 生計費를 支出함에 있다고 하겠으나 生計費의 滅縮은 더 以上 期待하기 어러운 点이 現實이라 하겠다. 또한 本地方에 있어 사과樹園經營은 激甚한 天牛훼 및 腐爛病으로 因하여 致命的 打擊을 받고 있으며 이에 對한 硏究가 앞으로 期待된다. ④ 農家經濟의 向上을 圖謀하는 길은 (ㄱ) 經濟性이 높은 作目의 選擇과 綜合比率 (ㄴ) 作付方式 (ㄷ) 養畜을 兼營함으로써 地力의 維持增進 (ㄹ) 生産費의 合理的인節減 (ㅁ) 時間的 및 室間的 土地利用度의 增進 (ㅂ) 適當한 經營規模. 以上 經營組織에 따르는 所得的 支出의 合理化를 期하고 이에 의한 所得的 收入의 增大를 꾀하는데 있다. 여기서 附言한 바는 各作物의 作付方式 經營組織에 對한 技術性 및 經濟性의 積極的究明은 今後의 硏究에 期待되는 바 크다고 하겠다.
金在勳 안성산업대학교 1971 論文集 Vol.3 No.-
1. 一般으로 紛劑의 紛末度가 높아질수록 主劑의 單位面積당 附量이 增加한다. 2. 但 100-200 Mesh 사이의 紛末度에서는 附着量에 顯著한 差異가 없다. 3. 200-250Mesh의 것은 200Mesh 以下의 것에 比하여 約 2倍 250 Mesh 以上의 것은 約 5倍로 主劑의 單位面積當 附着量이 增加한다. 4. 以上試驗結果로 미루어 紛劑는 그 紛末度가 높을수록 그 效果도 增加하나 紛劑製造와 撒紛時의 物理的인 條件등을 고려하여 紛劑의 紛末度는 250 Mesh 以上이면 確實한 效果를 期待할수있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