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셜 미디어와 공공외교: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으로 보는 미국의 전략

        김상배 한국국제정치학회 2012 國際政治論叢 Vol.52 No.2

        This paper examines the dynamic of world politics surrounding the strategies for public diplomacy adopted by the United States. It focuses on two questions: how U.S. strategies for public diplomacy are implementing toward nations in the world, and how social media, such as Twitter, Facebook, and YouTube, are playing significant roles in the process of public diplomacy. Exploring these questions, this paper does not describe only U.S. strategies for public diplomacy; but also attempts to analyse the dynamics of the world politic of networks in which various actors including governments and civil society members are playing their roles. In order to explore the above issues in more theoretical manners, this paper adopts Actor-Network Theory(ANT) that has recently gained a lot of attentions in the sociology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particular, ANT is useful in that it provides International Relations with theoretical resources to understand the potential agency of non-human actors, such as social media. 이 글은 최근 미국이 추진하고 있는 공공외교의 전략과 이를 둘러싼 세계정치의 동학을 살펴보았다. 특히 이 글은 미국이 세계 국가들과의 관계 속에서 어떻게 공공외교의 네트워크를 구축해 가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트위터, 페이스북, 유튜브 등과 같은 소셜 미디어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구하였다. 이러한 시도를 통해서 밝히고자 한 것은, 미국이 추구하는 공공외교 전략에 대한 단순한 서술이 아니라, 정부뿐만 아니라 다양한 민간 행위자들, 그리고 주변의 물질적 환경 변수까지도 복합적으로 관련되면서 펼쳐지는 네트워크 세계정치의 동학이었다. 이러한 공공외교의 동학을 좀 더 분석적으로 살펴보기 위해서 이 글은 과학기술 사회학 분야에서 이루어진 행위자-네트워크 이론(Actor-Network Theory, ANT)의 시각을 원용하였다. 국제정치학의 시각에서 도입한 ANT는 공공외교의 세계정치에서 작동하는 비인간 행위자(non-human actor)라는 변수, 특히 인터넷 미디어의 연속선상에서 본 소셜 미디어가 미국의 공공외교 전략에 미치는 영향과 한계를 이해하는 데 매우 유용한 이론적 자원을 제공한다.

      • KCI등재

        외국인 순매수가 주가지수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 비선형모형을 중심으로

        김상배 한국산업경영학회 2018 경영연구 Vol.33 No.2

        This paper employs a smooth transition autoregressive (STAR) model to examine the nonlinear effect of foreign investor’s net purchase ratio on KOSPI returns. The changes in foreign investors’ net purchase ratio has been adopted as a transition variable for our study. Our sample period ranges from January 8, 2000 to September 30, 2017 and we use the weekly KOSPI index and foreign investors’ net purchase ratio. Nonlinear estimation shows that when the changes in foreign investors’ net purchase ratio are high, the long-run mean of KOSPI returns is positive, while that of KOSPI returns is negative when the changes in foreign investors’ net purchase ratio are very low. This suggests that the relation between foreign investors’ net purchase ratio and KOSPI returns is positive. In addition, we found that consecutive positive shocks from foreign investors’ net purchase ratio have a greater effect than consecutive negative shocks, implying that there is an asymmetric effect. By including the changes in exchange rate in our model, we observed that the changes in exchange rate influences KOSPI returns negatively only when the changes in foreign investors’ net purchase ratio are very high. Finally, we include the net purchase ratio of domestic investors and found that the changes in individual investors’ net purchase ratio affect negatively regardless of the regimes of foreign investors’ net purchase ratio. However, it is observed that the changes in institutional investors’ net purchase ratio have a different effect on KOSPI returns depending on the regime of foreign investors’ net purchase ratio. 본 연구에서는 비선형모형을 이용하여 외국인 투자자 순매수비율이 KOSPI지수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표본기간(2000년 1월 8일~2017년 9월 30일) 동안의 주별 KOSPI지수와 외국인 투자자 순매수비율을 활용한다. 분석결과, 외국인 투자자 순매수비율 변화분이 낮은 국면과 높은 국면에서의 KOSPI지수 수익률의 장기평균은 각각 음(-)과 양(+)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추정되어, 외국인 투자자의 순매수와 주가지수는 양(+)의 관계를 가진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국인 투자자 순매수비율 변화분의 양(+)의 충격과 음(-)의 충격이 KOSPI지수에 비대칭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율 변화율을 고려하였을 경우, 외국인 순매수비율 변화분이 아주 큰 국면에서만 환율 변화율이 KOSPI지수 수익률에 유의한 음(-)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시도된 분석의 결과에 근거하여 볼 때, 이는 외국인 순매수비율 변화분이 높은 값을 가질 경우 외국인 순매수가 늘어남에 따라 환율은 하락(원화의 평가절상)하고, 환율의 하락으로 인해 주가가 상승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국내 기관투자자와 개인투자자 순매수비율을 고려하여 분석한 결과, 개인 투자자의 순매수비율은 외국인 순매수비율 변화분의 크기에 관계없이 KOSPI지수 수익률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기관투자자는 외국인 투자자 순매수비율 변화분 국면에 따라 KOSPI지수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 정보·문화 산업과 미중 패권경쟁: 할리우드의 변환과 중국영화의 도전

        김상배 재단법인 동아시아연구원 2016 EAI 워킹페이퍼 Vol.- No.-

        이 글은 21세기 선도부문으로서 정보·문화 산업, 그중에서도 특히 영화산업에서 벌어지는 미중 패권경쟁을 이해하는 분석틀을 제시하였다. 먼저 기술경쟁의 양상을 보면 할리우드가 새로운 시장을 향한 변환의 전략을 모색하면서 여전히 글로벌 영화산업의 흐름을 주도하고 있는 가운데, 중국이 국내 시장의 꾸준한 성장과 기술력 향상을 바탕으로 도전하고 있는 모습이다. 둘째, 표준경쟁의 관점에서 볼 때, 할리우드가 업계의 표준을 장악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국내 시장의 막대한 규모와 자본력을 내세워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려는 중국의 도전도 만만치 않다. 끝으로, 매력경쟁의 차원을 보면, 영화 콘텐츠의 내용적 매력을 발산하려는 영화 업계의 노력과 이를 지원하는 양국 정부의 정책과 제도 경쟁도 빼놓을 수 없다. 요컨대, 이 분야의 미중경쟁은 단순히 시장점유율이나 기술혁신을 놓고 벌이는 전통적인 경쟁을 넘어서 표준의 장악과 매력의 발산, 규모의 변수와 체제의 성격까지도 관련되는 신흥권력 경쟁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경쟁의 결과는, 기존의 세력전이 이론이 상정하는 것과 같이 권력이동의 단순구도에서 어느 한 나라의 단판 승을 논하는 종류의 것이라기보다는. 미국과 중국이라는 두 개의 네트워크 국가가 서로 공생적인 경쟁을 펼치는 구도로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 이렇게 복합적 차원에서 벌어지고 있는 미중 패권경쟁의 현재를 진단하고 그 미래를 전망하는 작업은, 최근 한류의 성공으로 인해 정보·문화 산업에서 나름대로의 입지를 세워가고 있는 한국이 미래전략을 모색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일이 아닐 수 없다.

      • KCI등재

        사이버 공간의 글로벌 지식질서: 네트워크 이론으로 보는 구조와 동학의 이해

        김상배 세종연구소 2013 국가전략 Vol.19 No.3

        As cyberspace has rapidly emerged as an indispensable variable in world politics, a lot of global players at the various levels are striving to establish rules, norms and orders in the related fields. It is certainly one of the major strategic concerns for South Korea, the so-called “Internet Strong Nation,” to understand the nature of the emerging orders and further to participate to the process of building the architecture of cyberspace. The organizing principles of cyberspace as on-line global space in world politics is quite different from that of off-line international space, in which nation-states had been playing the game of “Rich Nation, Strong Army.” Most of all, cyberspace is the space prevailed by the notion of knowledge power, which could be conceptualized as “knowledge order.” Cyberspace is also the space occupied by various actors, in which state and non-state actors are playing a complex game of new power politics. The competition to build global knowledge order in cyberspace could be described as the multi-layered competition between global and international forces at the three levels: knowledge hegemony vs. knowledge sovereignty, global governance vs. international regimes, and transnational public sphere vs. cyber-nationalism. The existing theories in International Relations have failed in providing sophisticated frameworks for the studies of cyberspace in IR. In this context, this paper adopts the Network Theory of World Politics, and explores the structure and dynamics of global knowledge order in cyberspace. A theoretical quest in this paper is expected to build a platform for future national strategies in this field. 최근 사이버 공간의 글로벌 질서를 모색하려는 시도가 벌어지고 있다. 그야말로 사이버 공간이 본격적인 세계정치의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기 시작했다. ‘인터넷 강국’으로 자부하는 한국의 입장에서도 이러한 글로벌 질서의 성격을 정확히 이해하고 그 형성의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일은 매우 중요한 국가전략적 과제가 되었다. 새로운 세계정치의 공간으로서 사이버 공간은 기존에 국민국가들을 중심으로 부국강병의 게임이 벌어지던 오프라인의 국제정치 공간과는 그 성격이 사뭇 다르다. 무엇보다도 사이버 공간은 지식력을 잣대로 파악되는 지식질서의 공간이다. 또한 사이버 공간은 국가이외에도 다양한 비국가 행위자들이 활동하는 공간이다. 현재 사이버 공간의 글로벌 지식질서 형성과정에서는 지식패권과 지식주권, 글로벌 거버넌스와 국제레짐, 초국적 공론장과 사이버 민족주의 등으로 개념화되는 세력들이 경합하는 복합적인 양상을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노드(node) 기반의 발상에 머물고 있는 기존의 국제정치이론은 사이버 공간의 세계정치적 의미를 파악하는 데 매우 둔감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글은 네트워크 세계정치이론의 시각을 원용하여 사이버 공간에서 창발하고 있는 글로벌 지식질서의 구조와 동학을 탐구함으로써 이에 대응하는 미래 국가전략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 논의로 삼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