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이 참여한 자조모임 공동체의 상호문화소통에 관한 연구

        김영순,김도경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22 다문화사회연구 Vol.1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주여성이 참여한 자조모임 공동체의 상호문화 소통 경험을탐색하여 그 의미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에 연구자는 인천시 A구 가족센터 자조모임에참여하고 있는 결혼이주여성 6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서면 면담과 개인별 2~3 회의 심층 면담을 중심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개방 코딩을 통해 귀납적으로 내용을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결혼이주여성이 참여하는 공동체의 상호문화 소통 경험은 6개영역으로 나타났으며, 그 내용은 지식의 습득과 활용, 태도의 변화, 비판적 문화 인식, 이해와 존중, 삶의 적극적 태도, 공감 형성이다. 지식습득과 활용, 태도의 경험, 비판적문화 인식은 선행연구 김영순 최유성(2020)과 달리 구성원 간 대인적 차원의 상호문화소통 내용으로 구성되었고 이해와 공감을 바탕으로 한 상호문화소통 경험은 거주국과의문화차이에 대한 이해와 존중, 갈등의 해결을 이끌었으며 정서적 지지를 제공하였다. 또 적극적인 삶의 태도 경험은 이주민 스스로 수혜적 대상이 아닌 상호문화소통의 주체로서 바라보게 하였다. 결과의 내용을 바탕으로 상호문화소통의 공간으로서 자조모임 활용방안을 제언하였고 연구의 한계를 제시하였다.

      • 청소년의 학교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김영순 한국에니어그램학회 2007 에니어그램연구 Vol.4 No.1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학교폭력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실증적인 자료를 확보함으로서 사회복지적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연구문제에 대한 분석결과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학교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개인적 요인을 투입하여 살펴본 결과 피해경험과 가해경험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학생을 기준집단으로 하였을 때 남학생들이 여학생들에 비하여 학교폭력에 노출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학년의 경우 가해경험과 피해경험에서 모두 1학년을 기준집단으로 하였을 때, 2학년은 차이를 나타내지 않은 반면 3학년에서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성적의 경우 상위권을 기준집단으로 하였을 때 가해경험에서는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피해경험의 경우 중위권과 하위권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 환경적 요인을 투입하여 살펴본 결과 가해경험에 부모의 자녀폭력, 부부간의 폭력, 가정경제수준이 가해경험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피해경험에서는 부모의 자녀폭력, 부부간의 폭력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즉, 폭력을 직·간접적으로 경험한 경우 가해경험과 피해경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학교 환경적 요인을 투입하여 살펴본 결과 하위 변수들 가운데 교사로부터 폭력경험, 학교에 느끼는 감정이 긍정적이지 못할 경우 가해경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피해경험에는 교사로부터 폭력경험, 친구와의 관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대중매체 요인으로 대중매체 폭력 접촉도가 청소년의 학교폭력 가해경험과 피해경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The study on the teenagers' school violence have been taken in many ways, but haven't been given satisfactory results. Rather, the school violence is becoming not only collectivized and generalized, but also has been occurred continuously among class mates without any guilty and its age group has been lowered as well. Based on this recognition, the purpose of the study aimed at looking for practical ways in the aspects of social welfare works for the school violence. Therefore, I tried to analyze the factors of the school violence which has been generalized and seriously increased, and sought to have positive materials on them. For this, The following summariz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research. First, it appears that the individual factor to the school violence had a bad effect on the sufferer and injurer experiences and boy students were more exposed to the school violence than girl students when setting girl students as a standard group. When it comes to the school-year, there were not much differences between the first grade and the second grade, but the third grade students were respectively influenced by the school violence and this results were adjusted the first grade as a standard group. In case of a school record, high-ranking students who have been sufferers don't be affected in their school achievements, however, injured students in the middle and low- ranking groups were largely influenced by the school violence. Second, the analysis applied the home environment factor showed that parents' harmful acts to their children, fights between husband and wife, and domestic economy had lots of effects on the sufferer students. On the contrary, injured students received bad effects through parents' violence to their children and fights between parents at firsthand. In other words, experiences on any violence regardless direct or indirect ways significantly affected to both sufferers and injurers. Third, considering the school environment variables such as violent experiences from the teachers and bad feeling for the schools, we could find out the fact that suffering students were largely affected by the school violence. On the other hand, injured students were influenced by violent experiences from the teachers and relationships with friends. Fourth, it appears that the factor of the mass media affected seriously and directly to the teenaged sufferers and injurers contacting violent and harmful mass media.

      • 경남지역 119구조 현황과 정책적 시사점

        김영순 경남발전연구원 2014 경남정책 Brief Vol.2014 No.6

        ● 소방방재청 현황 - 소방방재청 조직은 청장을 중심으로 재난상황실을 두고 기획조정관ㆍ?예방안전국ㆍ?소방정책 국ㆍ?방재관리국?119구조구급국으로 구성됨. 중앙 중심의 컨트롤타워로 인해 현장에 대응 하지 못하는 점과 시설 노후화?근무환경 열악 등이 문제시되고 있음 - 최근「 정부조직법 일부개정법률안」을 통해 소방방재청은 국가안전처로 기능과 조직이 확대ㆍ?개편되고, 육상재난 발생시 긴급구조 활동에 있어 현장지휘권을 제도화함 ● 경남지역 소방조직?배치현황 - 경남본부와 창원본부(2011년)?소방서 19개?항공구조대를 포함한 20개의 구조대가 구성?운영되고 있음 - 소방헬기 1대?구조차 21대?구조정 3대 등 총 76개의 구조장비와 시군별 10명 내외의 구조대원으로 총 216명이 배치되어 도민의 안전과 생명을 보호하고 있음 ● 경남지역 구조?사고종별 현황 - 연간 구조건수는 최근 5년간 연평균 19.0% 증가하였고, 2012년 44,365건 출동하여 35,205건을 구조(처리)하였음. 구조인원은 최근 5년 연평균 2.2% 증가추세이나, 기타사고와 기계사고를 제외한 교통사고?화재 등은 감소추세임 ● 경남지역 시군별 소방?구조 특징 - 경남 소방공무원 1인당 1,267.3명의 주민을 관할하는 인력배치이고, 진주가 2,093.4명으로 가장 많은 인구를 관할하며, 김해(2,049.3명)?ㆍ창원(1,822.2명)ㆍ양산(1,665.3명) 순으로 소방공무원 1인당 관할인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남 - 구조대원 1명이 연간 처리하는 구조(처리)건수를 산출한 결과, 경남지역의 평균이 163건으로서 진주가 328.8건으로 가장 많고, 김해(307.1건)ㆍ양산(248.3건)ㆍ창원(231.4건)?ㆍ거제(191.0건) 순임 - 군 지역은 구조 대상지역이 넓어 신속을 요하는 구조ㆍ구난활동의 특징상 인구와 함께 공간 범위도 고려되어야 함 ● 시사점 및 정책제언 - 관할지역 인구?공간거리를 감안한 소방공무원 편성, 공간ㆍ?지역특성을 고려한 소방공무원 배치전략, 구조실적ㆍ관할인구 등을 고려한 구조대원 비중 조절 필요, 구조대원 전문교육 강화, 시설 현대화 및 접근성을 고려한 적정시설 배치, 국가안전처 신설에 따른 지역 소방조직 직제개편, 경남지역 재난?안전관리 기본계획의 현장ㆍ?실무형 계획 수립 등이 필요함

      • KCI등재후보

        학교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내용 계열성에 관한 연구

        김영순,전영은 한국문화교육학회 2011 문화예술교육연구 Vol.6 No.4

        이 연구의 목적은 김대중 정부부터 이명박 정부에 이르기까지 학교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내용 관련 계열성을 분석하여 학교 정책의 변화추이를 제시하는 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문화정책백서, 문화예술교육정책백서, 문화향수 실태조사 및 문화예술교육 정책 관련 각종 연구보고서 등을 활용하여 김대중 정부, 노무현 정부, 이명박 정부의 학교 문화예술교육의 내용들을 파악하였다. 먼저 계열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두 가지 분석 준거를 제시하였다. 그 다음으로 각 정부의 학교 문화예술교육 정책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며, 학교 문화예술교육을 위하여 시행한 사업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다. 김대중 정부의 학교 문화예술교육 사업은 교과 시간의 예술교육, 재량시간, 방과 후 교육, 강사풀제 등이 있었으며, 노무현 정부의 학교 문화예술교육 사업은 교과 시간의 예술교육, 예술강사 지원사업, 학교-지역사회 연계 문화예술교육 시범사업, 문화예술교육 선도학교 지원사업, 문화예술분야 교원 전문성 강화 지원, 예술꽃씨앗학교 지원사업, 방과 후 교실 지원, 학교축제지원, 폐교활용 지원 등이 있었다. 또한 현 이명박 정부의 학교 문화예술교육 사업은 교과시간의 예술교육, 예술강사 지원사업, 예술꽃씨앗학교 지원사업, 문화예술교육 선도학교 지원사업, 특별강사제도 운영, 문화예술분야교원 전문성 강화 지원, 초등학교 바둑교실 지원사업, 문화예술교육기회 확대사업, 명예교사 운영사업, 소외계층 아동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유아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등을 시행하였다. 이 연구는 각 정부의 학교 문화예술교육 정책 내용 관련 계열성을 교과시간의 예술교육, 예술강사 지원사업, 문화예술분야 교원 전문성 강화 지원, 문화예술교육 선도학교 지원사업 등 네 가지의 사업을 각 정부 정책의 내용에 따라 중복, 차이, 강조, 발전, 확대의 개념으로 분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Korean Arts and Culture Education of School Policy Contents from the Kim Dae-jung government to Lee Myung-bak government are changed. The sequence will be examined by analyzing the Arts and Culture Education of School of Kim Dae-jung government to Lee Myung-bak government. Above all, the Arts and Culture Education of School Business and Policy Contents will be mainly studied. First of all, this study will be deal with two forms that present sequence analyze methode of each government Arts and Culture Education of School Policies. The criterion of the analysis of the sequence are repetition, difference, emphasis, development, and expansion. This study is analysed on the each government policy contents of the books published by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MCST), Korea Arts and Culture Education Service, Korea Culture and Tourism Institute, particularly the Culture Policy white paper from 2001 to 2009, 2006 Arts and Culture Education Policy white paper.

      • 유치원 원장의 창의적 리더십이 교사의 핵심역량과 창의적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김영순,양연숙 大田大學校 社會科學硏究所 2018 社會科學論文集 Vol.37 No.1

        본 연구는 유치원 원장의 창의적 리더십이 교사의 핵심역량과 창의적 역할수행에 미 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유치원 43개 기관에 재직 중인 원장 43명과 교사 34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유치원 원장의 창의적 리더십과 교사의 핵심 역량 및 창의적 역할수행 간에 높은 상관관계가 있음을 밝혔다. 또한 유치원 원장의 창 의적 리더십이 교사의 핵심역량과 창의적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힘으로써 유 아교육현장에서 교사의 자질향상과 질 높은 교육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는 지원체계로 서 원장이 지닌 창의적 리더십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