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축전지공장 근로자들의 혈중 연농도에 대한 코호트 관찰

        김창윤,김정만,한구웅,박정한,Kim, Chang-Yoon,Kim, Jung-Man,Han, Gu-Wung,Park, Jung-Han 대한예방의학회 1990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Vol.23 No.3

        축전지 공장의 환경과 근로자들의 개인 위생의 개선 조치가 근로자의 혈중 연농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관찰하기 위하여 새로 설립된 축전지 공장의 생산직 근로자 116명을 대상으로 채용시 혈중 연농도를 측정하고 1987년 2월부터 약 3개월 간격으로 $12{\sim}18$개월간 추적 관찰하였다. 관찰기관 중 작업환경 및 근로자 개인위생의 개선조치를 시행하였고 1987년 8월부터 6개월 간격으로 3회 작업장내 공기중 연농도를 측정하였다. 또 사무직 근로자 40명을 대조군으로 선정하여 그들의 혈중 연농도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작업환경 개선은 국소배기장치 설치와 바닥의 진공청소였고 개인위생 개선조치는 매일 작업복 세탁, 퇴근시 샤워, 식사 전 손씻기, 작업장내 흡연 및 음식섭취 금지, 그리고 마스크 착용이었다. 대조군 40명 중 6개월까지 혈중 연농도의 관찰이 가능했던 27명에서 채용시 혈중 연농도가 $21.97{\pm}3.36{\mu}g/dl$이고 6개월후 $22.75{\pm}3.38{\mu}g/dl$로서 유의한 증가는 없었다. 공장이 가동되기 전에 입사한 A군은 폭로 전 혈중 연농도가 $20.49{\pm}3.84{\mu}g/dl$였고 폭로시작 3개월 후에 $23.90{\pm}5.30{\mu}g/dl$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p<0.01), 6개월 후(개선조치 1개월후)에는 $28.84{\pm}5.76{\mu}g/dl$로 더욱 증가되었으나 그후 4회 측정치는 $26.83{\sim}28.28{\mu}g/dl$로 더 이상 증가하지 않았다. 공장이 가동된 후 개선조치가 시행되기 전에 입사한 B군의 경우 폭로전 혈중 연농도가 $16.58{\pm}4/53{\mu}g/dl$였고 3개월후(개선조치 1개월후)에 $28.82{\pm}5.66{\mu}g/dl$로 급격히 증가했으며(p<0.01), 그 후 4회 측정치도 $26.46{\sim}28.54{\mu}g/dl$로 더이상 증가하지 않았다. 개선조치가 시행된 후 입사한 C군에서는 채용시 혈중 연농도가 $19.45{\pm}3.34{\mu}g/dl$였고 3개월후의 혈중 연농도가 $22.70{\pm}4.55{\mu}g/dl$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p<0.01), 6개월에 $23.68{\pm}4.18{\mu}g/dl$, 9개월에 $25.42{\pm}3.60{\mu}g/dl$로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1987년 8원부터 6개월 간격으로 3회 작업환경을 측정하고 작업장의 공기중 연농도에 따라 4개부서로 구분하여 그 성적을 보면 제I부서는 $0.365mg/m^3$였으나, 작업환경 개선조치 후 각각 $0.216mg/m^3,\;0.208mg/m^3$로 감소되었고, 제II부서는 $0.232mg/m^3$였는데 개선조치후 $0.148mg/m^3,\;0.120mg/m^3$였으며, 작업환경 개선 조치후 측정한 제III부서는 1988년 1월, 8월에 각각 $0.124mg/m^3,\;0.091mg/m^3$였고 제IV부서(이동부서)는 1988년 8월에 $0.110mg/m^3$로 III, IV부서가 I, II부서에 비해 낮았다. 각 부서별 비교에서 A군과 B군의 혈중 연농도는 공기중 연농도와 비례하지 않는 결과를 보여 작업환경이 제일 나쁜 제 I부서에서 오히려 혈중 연농도가 낮고 작업환경이 좋은 제III부서에서 더 급격히 혈중 연농도가 증가하였다. C군은 제 I부서의 혈중 연농도가 제일 높았고 이동부서인 제IV부서에서 제일 낮아 공기중 연농도와 혈중 연농도 사이에 일정한 관련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연취급 근로자의 모니터링은 공기중 연농도보다 혈중 연농도의 측정이 타당하며 작업환경개선도 중요하지만 개인위생에 대한 개선조치가 오히려 더 효과적이라 생각된다.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s in working environment and personal hygiene for the occupational exposure to the lead, 156 workers (116 exposed subjects and 40 controls) of a newly established battery factory were examined for their blood lead concentration (Pb-B) in every 3 months up to 18 months. Air lead concentration (Pb-A) of the workplaces was also checked for 3 times in 6 months interval from August 1987. Environmental intervention included the local exhaust ventilation and vacuum cleaning of the floor. Intervention of the personal hygiene included the daily change of clothes, compulsory shower after work and hand washing before meal, prohibition of cigarette smoking and food consumption at the work site and wearing mask. Mean Pb-B of the controls was $21.97{\pm}3.36{\mu}g/dl$ at the preemployment examination and slightly increased to $22.75{\pm}3.38{\mu}g/dl$ after 6 months. Mean Pb-B of the workers who were employed before the factory was in operation (Group A) was $20.49{\pm}3.84{\mu}g/dl$ on employment and it was increased to $23.90{\pm}5.30{\mu}g/dl$ after 3 months (p<0.01). Pb-B was increased to $28.84{\pm}5.76{\mu}g/dl$ 6 months after the employment which was 1 month after the initiation of intervention program. It did not increase thereafter and ranged between $26.83{\mu}g/dl\;and\;28.28{\mu}g/dl$ in the subsequent 4 tests. Mean Pb-B of the workers who were employed after the factory had been in operation but before the intervention program was initiated (Group B) was $16.58{\pm}4/53{\mu}g/dl$ before the exposure and it was increased to $28.82{\pm}5.66{\mu}g/dl$(P<0.01) in 3 months later (1 month after the intervention). The values of subsequent 4 tests remained between 26.46 and $28.54{\mu}g/dl$. Mean Pb-B of the workers who were employed after intervention program had been started (Group C) was $19.45{\pm}3.44{\mu}g/dl$ at the preemployment examination and gradually increased to $22.70{\pm}4.55{\mu}g/dl$ after 3 months(P<0.01), $23.68{\pm}4.18{\mu}g/dl$ after 6 months, and $24.42{\pm}3.60{\mu}g/dl$ after 9 months. Work stations were classified into 4 parts according to Pb-A. The Pb-A of part I, the highest areas, were $0.365mg/m^3$, and after the intervention the levels were decreased to $0.216mg/m^3\;and\;0.208mg/m^3$ in follow-up tests. The Pb-A of part II was decreased from $0.232mg/m^3\;to\;0.148mg/m^3,\;and\;0.120mg/m^3$ after the intervention. Pb-A of part III and W was tested only after intervention and the Pb-A of part III were $0.124mg/m^3$ in Jannuary 1988 and $0.081mg/m^3$ in August 1988. The Pb-A of part IV not stationed at one place but moving around, was $0.110mg/m^3$ in August 1988. There was no consistent relationship between Pb-B and Pb-A. Pb-B of the group A and B workers in the part of the highest Pb-A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workers in the parts of lower Pb-A. Pb-B of the workers in the part of the lowest Pb-A incerased more rapidly. Pb-B of group C workers was the highest in part I and the lowest in part IV.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b-B is more valid method than Pb-A for monitoring the health of lead workers and intervention in personal hygiene is more effective than environmental intervention.

      • KCI등재후보

        자살의 심리학적 분석에 관한연구 - 공식통계자료를 중심으로 -

        김창윤 한국범죄심리학회 2010 한국범죄심리연구 Vol.6 No.2

        In 2008, Korea recorded a suicide rate of 27.3 per 100,000. this suicide rate more than three times from that of 1991. Meanwhile, suicide rates throughout the nation have been noticeably rising recent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sychological cause of the suicide. According to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NSO), Korea’s suicide rates have hit a record high of 12,000 in 2004. When analyzing the suicide rate in terms of gender and age, men in 2007 more than 61.1% increased from that of 1995 and women in 2007 more than 104.8% increased from that of 1995. Women suicide rate was increasing every year. And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Psychological Variables with the hopelessness, suicide-relevant cognitions, heightened impulsivity, problem solving deficits, perfectionism. The results of the psychological analysis revealed that the economic difficulties was the key factor. The main cause of the suicide rate for teenage was the school record etc. The main cause of the suicide rate in 20s was the job problem. The main cause of the suicide rate in 30s, 40s was the family troubles. The main cause of the suicide rate in 50s, 60s was the disease or disability. The Lack of a proper psychological care system for urging to commit suicide was the main cause in our rapidly risking society. 우리사회의 자살문제를 살펴보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자살문제는 자살생각이라는 심리적 요인이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밝혀지고 있기 때문에 심리적 측면에서 자살연구를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자살에 대한 제반 연구자료를 바탕으로 경찰청과 통계청의 공식자료를 통한 자살에 대한 심리적인 분석을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분석틀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자살에 대한 심리학적 이론을 소개하고, 심리학적 인지과정 및 결정요인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서 자살의 일반적 발생추이를 분석하였다. 둘째, 자살자에 대한 충동 및 이유를 분석하기 하기 통계청의「2006년 사회조사보고서」, 「2008년 사회조사보고서」의 자살자에 대한 충동 및 이유를 재구성하였다. 이를 통해서 자살자에 대한 충동 및 이유 Ⅰ(성별), Ⅱ(연령별), Ⅲ(학력별), Ⅳ(소득별) 등을 분석하였다.

      • KCI등재

        첫 입원치료 받은 정신분열병 환자들의 삶의 질 추적 연구

        한오수,이철,최지욱,홍진표,김창윤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7 신경정신의학 Vol.36 No.6

        울산의대 서울중앙병원 정신과에서 첫 입원 치료를 받고 퇴원하여 2년 혹은 5년이 경과한 정신분열병과 기타 정신병 108명 중 최종 73명(응답을 66%)을 대상으로 Heinrichs등이 고안한 삶의 질 척도(Quality of Life Scale)를 사용하여 현재의 삶의 질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삶의 질 측면 4가지 측면인 대인관계, 직업적 역할, 정신내적 요소, 및 일상적인 물건 및 행동 모두에서 삶의 질이 전반적으로 저하되어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대인 관계 영역 중 가족 구성원과의 인적 관계 항목은 다른 항목에 비해 상대적으로 만족도가 높았다. 둘째, 정신분열병군의 삶의 질은 기타 정신병군에 비해 대부분의 삶의 질 항목에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2년 경과군과 5년 경과군 사이 삶의 질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발병 초기 삶의 질 저하가 상당기간 유지됨을 시사하였다. 넷째. 퇴원 후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는 첫 입원 치료 기간이 유의한 역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또한 다변량 회귀 분석에 있어서도 같은 결과를 보였다. 이는 초기 치료에 대한 반응 정도가 부분적으로는 향후 삶의 질을 예측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기타 첫 입원 당시의 연령, 교육 수준. 사회경제적 수준, 첫 입원하기까지의 이환 기간, 첫 입원 당시 Global Assessment of Functioning 입원 치료시 약물용량 등은 삶의 질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Objectives : One object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descriptive level of qua1ity of life(QOL) in a group of the first admired schizophrenic patients through interviews being performed after two or five yeah of fo11ow-up, and comparing them with patients in psychotic disorders other than schizophrenia. Another object is to identify clinical variables on the first admission which correlate to QOL factors, after two or five years of fo11ow up. Methods : A total of 73 subjects of the first admitted patients with schizophrenia(n=57) and psychotic disorders other than schizophrenia(other psychotic disorders group, n= 16) were selected. A Quality of Life Scale(QLS) measuring 21 items of life variables was used. Demographic and psychiatric data were obtained through medical records and psychiatric interviews. Results : Schizophrenia group(n=57) showed moderate decrease(mean 3.7 of 6) in all aspect of quality of life. However, the schizophrenia group displayed a relatively high score in relations with household members(mean=5.2) only among 21 QOL items. Comparison to other psychotic disorders group(n= 16), schizophrenia grou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almost all aspects of QOL.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tained between the 2 year(n=27) and the 5year(n= 30) group. Duration of the first admission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current quality of life in the schizophrenic group. Conclusions : The significantly decreased score of quality of life suggests the need for careful observation and therapeutic concern for the early stage of schizophrenia. The schizophrenic group's relatively high score in relations with household members in this period may provide the importance of rehabilitation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Duration of the first admission may be a useful predictor of their subsequent quality of life.

      • KCI등재
      • KCI등재

        일 농촌지역의 우울 증상에 관한 역학연구 -위험요인 및 요인구조분석

        하양숙,홍진표,김한규,이군희,한경자,조맹제,김용익,송미순,박성애,김창윤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9 신경정신의학 Vol.38 No.2

        연구목적 :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우울증 척도인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CES-D)을 이용하여 지역사회 주민의 우울증상의 정도를 평가하고, 우울증상의 위험요인을 분석하고, 한국인에서 우울증상의 요인구조를 알기 위해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방 법 : 경기도 일 농촌 지역의 30세 이상 주민에 대해 무작위 군집 집락 추출을 실시하였고, 훈련된 면담원들이 가정 방문을 통하여 면접 및 자기보고 검사인 CES-D를 실시하였다. 총 1,315명에서 응답을 하였고 응답율은 59.3%이었다. 결 과 : CES-D에 의한 우울증 점수는 0∼5점이 57%정도를 차지하였고, 평균 점수는 남자 7.8점 여자 9.5점으로 비교적 낮은 편이었다. ANCOVA 분석 결과 비결혼, 저학력, 여성이라는 위험요인은 독립적으로 우울증상을 악화시키는 요인이었으나 연령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CES-D 결과를 요인분석을 시행한 결과 4가지 요인이 추출되었는데 우울증상 및 신체증상이 한 개의 요인으로, 다른 나라에서 보고되지 않는 정서적 고통이 별도의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결 론 : 국내 역학 조사에서도 외국과 유사한 우울점수 및 위험요인이 확인되었으나 우울증의 요인에서는 특이한 요인이 추출되었다. 한국인에 독특한 우울 반응에 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Objectives :The rates, correlates, and factor structure of depressive symptoms in a Korean rural sample were examined using Korean version of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CES-D). Methods : Door to door visiting survey was conducted by trained interviewers. A random cluster sample of 1,315 respondents, aged 30 and over completed the CES-D scale along with additional sociodemographic questionnaire. Results : In this sample, mean CES-D score of male and female were 7.8 and 9.5, respectively which were lower than those reported previously. Symptoms of depression were most common among the less educated, non-married and female according to ANCOVA. Age was not a significant risk factor for depressive symptoms. Different factor structures emerged from this sample as compared to other studies using this approach. Somatic symptoms and affective symptoms were combined as one factor and emotional hardship emerged as a separate factor. Conclusion : Symptoms scores and risk factors were similar to the results reported in other countries but unique factor structures were found in this study. Further research is needed about the Korean depressive symptomatology and related areas.

      • Nefazodone과 Frazodone의 정신운동기능에 대한 급성 효과 : 정상 건강인에서 이중 맹검 교차 비교 연구

        김창윤,최삼욱,최형식,김유진,한오수 대한정신약물학회 2002 대한정신약물학회지 Vol.13 No.1

        목 적:새로운 항우울제인 nefazodone은 기존의 항우울제인 trazodone과 같이 세로토닌 길항/재흡수 억제제(Serotonin-2 Antagonist/Reuptake Inhibitor)로 분류되고 있다. 그러나 nefazodone은 항히스타민 효과가 없으며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 효과가 있다는 점에서 trazodone과 구별되며 이러한 차이로 부작용 면에서도 두 약제간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nefaz odone이 정신운동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기존의 항우울제인 trazodone과 비교 조사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방 법:연구대상은 20~40세의 정상 건강인 자원자 남자 12명이었다. 피검자는 이중-맹검 무선 라틴-방격 계획에 따라 trazodone 50 mg, nefazodone 50 mg, nefazodone 10 mg을 1주일 간격으로 교대로 일 회 복용하였으며, 정신운동기능은 약물 투여 1시간 전과 약물 투여 2시간 후에 측정하였다. 정신운동기능은 복합적인 선택반응시간을 측정하기 위하여 비엔나 테스트 시스템 Determination Unit을 이용하였으며 아울러 Critical Flicker Fusion Test 및 Grooved Pegboard Test를 시행하였다. 결 과:Viena Determination Unit 검사에서 약물 복용 전후의 반응시간의 변화를 분석하였을 때 nefazo -done10 mg의 경우 소검사 2, 3에서 약물 복용 후 반응시간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nefazodone 50 mg의 경우는 소검사 3에서만 약물 복용 후 유의한 반응시간 감소가 관찰되었다. 반면에 trazodone 투여 군에서는 약물 투여 전후에 정신운동기능의 유의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약물복용전후의 변화 정도는 약제간에 차이를 비교하였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는 도달하지 않았다. Critical Flicker Fusion 및 Gro ved Pegboard Test에서는 약물복용 전후 및 약제간에 유의한 수행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 정신과 전자의무기록 프로그램 개발

        김창윤,정범석,이철,한오수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2 신경정신의학 Vol.41 No.1

        연구목적: 전산화된 의무기록(컴퓨터기반 환자기록)은 귀중한 의료정보의 입력, 검색, 관리의 효율성과 의무기록의 질을 향상시켜 궁극적으로 임상연구를 활성화하고 의료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게 된다. 본 연구진은 국내 진료환경에 맞추어 포괄적이고 사용자의 편의를 최대한 고려하여 전산화된 입원환자용 정신과 의무기 록 프로그램(네트워크 버전)을 개발하여 의무기록 전산화의 이론적 기반과 실제 활용모델을 제시하고자 하 였다. 방 법: 연구자 회의를 통해 기존 의무기록을 분석하고 본 연구진의 구조화된 병력조사 도구를 참조하여 데이터베이 스에 포함될 항목 내용 및 유형을 결정하였다. 컴퓨터 프로그램(Asan Medical Center Psychiatric Information System, APIS)은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으로 Oracle 7.3.4, 운영체제는 한글 윈도우즈 NT 4.0 버전, 개발도구는 PowerBuilder 4.0, 통신프로토콜은 TCP/IP를 사용하여 작성하였다. 결 과: APIS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APIS는 자유기술형과 구조적 형태의 자료를 적절히 조합하고 보다 나은 의무기록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들에 대한‘도움말 팝업 윈도우’를 제공하여 포괄적이고 수준 높은 의무기록 을 가능하게 해준다. 2) APIS는 서술형의 자료를‘입력 편의 도구’를 이용하여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자료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였다. 3) APIS는 사용자가 서식틀의 파일이나 연구용 척도들을 프로그래머의 도움 없이 임의로 제작 또는 편집할 수 있도록 하여 융통성 있게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4) 문제지향식 의무기록의 원 칙을 살리면서 흔히 불편하게 느껴지는 문제목록 관리와 문제목록에 따른 경과기록 조회를 쉽게 할 수 있도 록 하였다. 5) APIS는 과내 행사관리와 메일 기능을 이용한 의사소통 뿐 아니라 병원심사나 경영자료로 요 구되는 진료통계 현황들을 부가적으로 제공해준다. 6) 고유번호와 암호 부여를 통해 APIS 접근이 통제되며 자료 보안을 위해 권한설정을 할 수 있다. 의무기록 종료 후에는 특정 권한을 가진 사람 외에는 변경 권한이 제한되어 있으며, 변경 전 자료도 추적이 가능하다. 결 론: 정신과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현재까지 입원환자용 네트워크 프로그램을 큰 문제없이 운용하고 있으며 정 신과는 물론 타 진료과에서도 참고할 수 있는 국내 의무기록 전산화의 이론적 기반과 모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Objectives:Computer-based patient record(CPR, Electronic medical record) improves the quality of medical record which reflects the quality of clinical practice. It provides more efficient and convenient way of input, retrieval, storage, communication and management of medical dat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actical domestic model and theoretical basis for CPR for psychiatric patients. This model can be applied in other clinical departments. Methods:The contents and types of items to be included in the data-base were determined through consensus meetings of investigators on the basis of our previous works on the ‘comprehensive assessment of symptoms and history in psychiatric disorders’ and analysis of structure and items of medical records. The computer program(Asan Medical Center Psychiatric Information System, APIS, version 1.0) was developed using Oracle 7-3-4, Power builder 4.0, Hangul Windows NT and TCP/IP as a programming, development tools, system operation and transmission protocol. Results:The characteristics of APIS are as follows. 1) APIS ensures comprehensive and high quality psychiatric record through combinations of free-text and structured data format and through many available ‘help pop-up windows’ of required items for better documentations. 2) APIS provides convenient and efficient ways of data input, particularly for narrative input of texts, with various tools such as ‘template copy’, various ‘pop-up lists for block or phrase copy’. 3) APIS enables users to create and modify the template files or scales for research. 4) APIS which adopted principles of POMR(Problem Oriented Medical Record) makes cumbersome management of problem titles very convenient 5) APIS also provides additional statistics necessary for hospital audit and managements as well as mail communication and schedule management of department. 6) Access to APIS requires authorized ID and password where several levels of privileges(view only, edit allowed, master) are assigned to secure the data. And also modification of data was not allowed after completion of medical record except by persons with master ID. User’s password and the data before modification can be traced. Conclusions:Our study results demonstrate the practical model and theoretical basis for CPR for psychiatric patients. We believe that this model and methods contained in this program can also be applied for developments of CPR for other clinical depart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