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영역별 중요도에 대한 부모의 인식

        김두영,고등영 국립특수교육원 2016 특수교육연구 Vol.23 No.2

        The purpose of this current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preparing and establishing policies on lifelong program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future. For the purpose, a survey about the importance of perceptions on lifelong education programs was implemented with parents of people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could be major decision-makers(Kim & Park, 2013). For this survey 590 parents, living in Seoul were participated.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importance order in the 6 broad areas’ in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ulture & art education, career development education, liberal arts education, basic literacy education, citizen participation education and academic ability supplement education respectively. Among 18 middle areas’ of the programs, the culture & art enjoyment program, the leisure sport program, the vocational education program, the professional occupation education, the living knowledge program were appeared as high ranking orders. Second, the results were analyzed in order to verify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such as variables of parents and their children. The findings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variables of parents such as gender, age level and academic career. As well as meaningful differences were appeared in the variables of children such as life-cycle, gender, age level, types of disabilities and ratings of disability. Finally the discussions about support plans and establishing policies on lifelong program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addressed based on the results. 이 연구는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분류체계(김두영, 박원희, 2013)에 따른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중요도 및 우선순위를 발달장애자녀의 주요 의사결정권자인 부모를 대상으로 조사․분석함으로써 향후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정책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서울지역의 발달장애자녀를 둔 부모 590명이 응답한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들이 인식한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6개 대영역별 중요도는 문화예술교육, 직업능력향상교육, 인문교양교육, 기초문해교육, 시민참여교육, 학력보완교육의 순으로 나타났고,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18개 중영역별 중요도는 문화예술향유 프로그램, 여가스포츠 프로그램, 기초직업교육 프로그램, 전문직업교육 프로그램, 생활소양 프로그램 등이 상위순위를 나타냈다. 둘째, 부모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중요도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한 결과, 부모의 성별, 연령, 학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고, 발달장애자녀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중요도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한 결과, 자녀의 생애주기, 성별, 연령, 장애유형 및 장애등급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를 나타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 방안에 대하여 몇 가지 논의하였다.

      • KCI등재

        장애인복지관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설정향성 분석

        김두영,김호연,박원희 한국특수교육학회 2014 특수교육학연구 Vol.48 No.4

        The current study was implemented to understand the trend of setting programs for adults with disabilities at welfare centers nationwide with applying classification system of lifelong-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73 out of 199 welfare center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ere participated and 723 programs which were ongoing at those centers currently were analyzed. The programs were classified into 6 different categories; type, purpose, content, for whom, method, and program location. The three conclusions on this study were presented based on the results. First, since welfare centers for adults with disabilities is the most reliable facility currently, qualified specialists for lifelong-education should be posted. Second, in order to get a clear grasp of their need on lifelong-education profound research should be implemented for diversity and suitability for adults with disabilities. Last, the nationwide level of evaluation system should be operated to promote the facilities’ functioning for lifelong-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이 연구는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분류체계(김두영·박원희, 2013)를 적용하여 장애인복지관의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분류함으로써 장애인복지관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개설정향성을 파악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 연구 수행을 위하여 먼저, 전국의 장애인복지관 199기관(2011년 12월 기준) 중 36.6%에 해당하는 73개 기관에서 2013년 현재 실시하고 있는 장애성인 대상의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명칭, 목적, 내용, 대상, 형식, 장소를 기준으로 프로그램 조사표를 작성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장애인복지관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특성 및 발전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으며,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복지관은 명실공이 대표적인 장애인 평생교육 기관이며, 양질의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기 위해서는 장애성인 교육을 전담 지원할 전문 인력을 양성․배치하는 일이 시급하다. 둘째, 향후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적합화와 다양화를 위해서는 장애성인의 생애단계별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욕구를 파악하고 다양한 종류 및 내용의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연구․개발해야 할 것이다. 셋째, 범정부적 차원의 장애인 평생교육 기관에 대한 평가단을 구성하여 장애인복지관이 고유기능에 적합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지 등을 평가해야 할 것이다.

      • 다단계 임계치를 이용한 패턴 디지털 워터마킹

        김현환,김용민,김두영 東亞大學校 附設 情報通信硏究所 1999 情報通信硏究所論文誌 Vol.7 No.1

        Digital Watermarking is a research area which aims at hiding secret information in digital multimedia contents such as image, audio, and video.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watermaking method with visually recongnizable pattern into the digital image using wavelet transform, spread spectrum method and multilevel threshold value in considering the wavelet coefficients. The watermark information can be extracted by subtracting wavelet coefficients between the origitnal image and orginal image and the watermarked image. The es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sposed technique is invisible watermarking and robust to JPEG lossy compression, resizing, masking, and filtering.

      • Nalidxate 의 전이금속 착화합물

        김두영,이철규,송영광 충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1992 과학교육연구논총 Vol.9 No.1

        As part of a program to evaluate the catalytic role of metal ions between the drug and DNA, the interactions of various transition metal ions with nalidixic acid(1-ethy1-1, 4-dihydro-7-methy1-4-oxo-1, 8-naphthylridine-3-carboxylic acid)have been studied using potentiometric titration methods, in an ionc medium of 0.1 M(NaCl)at 25℃. The copper nalidixate complexes are formed with abnormally large stability constant, as might have been expected chelation and additive efffect. This results revealed that there was a specific requirement for cu^2+ion, and that the bactricidal activity was associated with the formation of chelate complex.

      • KCI등재

        장애인 평생교육기관 종사자의 평생교육 인식 및 요구 –경기도내 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김두영,이경준 한국특수교육학회 2018 특수교육학연구 Vol.53 No.1

        This study looked at the recognition and needs of lifelong education by workers at facilities for lifelong educa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is, the purpose is to find out the policy direction and tasks that lifelong education facilities for lifelong educa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should carry out for the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researched survey of 201 workers at facilities for lifelong educa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Gyeonggi Province: night schools, welfare centers, day care centers, residential facilities and other facilities for lifelong educa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addition, eight experts with five or more years of experience were surveyed in writing to analyze in depth the overall recognition and needs for lifelong educa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s a second surve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reached as a result of discussions on policies and activation of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First, training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a variety of training opportunities should be provides to empowerment of those who work at facilities for lifelong educa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Second, it should expand the integrated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without disabilities. Third,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expand financial support for the operation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Fourth, specific policies and measures should be sought to increase the local community’s interest in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o improve the perception of their. Firth, it should carry out projects to nurture and dispatch professional instructors for lifelong educa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Sixth, divers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distributed to reflect the need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ir families. 이 연구는 장애인 평생교육기관 종사자의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 및 평생교육 관련 요구를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장애인 평생교육기관이 장애인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하여 앞으로 나아가야할 정책적방향과 과제를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를 위해 경기도 내 장애인야학, 장애인복지관, 장애인 주간보호시설, 장애인 거주시설,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및 기타 장애인 평생교육기관에 종사하고 있는 201명의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고, 추가로 장애인 평생교육에 대한 전반적 인식과 요구를 심층․분석하기 위하여 5년 이상의 경력자 8명을 대상으로 2차 서면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장애인 평생교육 활성화 및 정책과제에 대해 논의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했다. 첫째, 장애인 평생교육기관 종사자의 평생교육 및 특수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다양한 연수 기회를 마련해야한다. 둘째,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통합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확대해 나가야 한다. 셋째, 장애인 평생교육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적 지원을 확대해 나가야 한다. 넷째, 지역사회의 장애인 평생교육에 대한 관심을 제고하고 장애인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기 위한 구체적인 정책과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다섯째, 전문적인 장애인 평생교육강사를 육성하고 파견하는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 여섯째, 장애인 당사자 및 가족의 요구를 반영하여 다양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보급해야 한다.

      • KCI등재후보

        장애인복지관 평생교육 담당자의 평생교육 인식 및 요구

        김두영,조창빈,정해동 국립특수교육원 2018 특수교육연구 Vol.25 No.2

        The study aimed to suggest some basic data for the disabled adult’s life-long education-relevant policies in future by recognizing the disabled adult’s participation state in the life-long education, and what they demand in relation to the operation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or them to participate in futur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survey which 630 disabled adults living in Gyeonggi-province and having the participation experience in a life-long education program replied. The main results of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as the results from investigating the respondents’participation in a life-long education after dividing their participation experiences into 6 types among the disabled adults’ participation state, it was appeared that the answer having participated in a lecture in a certain place was the highest as 73.2%. Next, at being asked what kind of institute they were participated, it was appeared that the highest answer was a rehabilitation center for the disabled as 45.9%, and to the question of participation purpose, the highest answer was the happiness (25.1%). Last, it was the identified that the program area which the respondents participated the most frequently was the culture-art education (1.61). Second, as the results from investigating the respondents’s participation intention among the demands in operating the disabled adult’s life-long education program, the answer that they would want to participate was highest as 87.6%. Next, at being asked what kind of institute that they would hope to participate in, the answer of rehabilitation center for the disabled was the highest (34.3%) and followed a general life-long education institute (16.4%), and concerning what kind of program area that they would want to participate in, the respondents answered the leisure sports(3.95point) area the most frequently. Last, as to the demands for boosting a life-long education program, the most respondents answered the expansion of budget for the disabled adult’s life-long education (4.48 point). Based on the abov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ways to develop and boost the disabled adult’s life-long education. 이 연구는 장애인복지관 평생교육 담당자의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를 조사·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장애인복지관이 평생교육기관으로서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국 104개 장애인복지관에 근무하고 있는 477명의 종사자들이 응답한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복지관 평생교육 담당자의 38.8%는 2016년 개정된 「평생교육법」의 내용에 대해 전혀 또는 거의 알지 못한다고 응답했고,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통합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대해서는 프로그램의 성격에 따라 통합이나 분리를 조정하여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응답이 80.3%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국가나 지방자치단체로부터의 장애인 평생교육 지원에 대해서는 충분하다는 응답이 5.9%에 불과한 반면, 전혀 또는 별로 충분하지 않다는 응답이 62.4%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인복지관에서 평생교육 업무를 수행할 때 발생하는 문제들의 심각성에 대해 조사한 결과, 기관 외 측면에서는 비장애인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 부족을, 기관 내 측면에서는 장애인 평생교육 전문 강사의 부족을 가장 큰 어려움으로 꼽았다. 장애인 평생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 필요한 과제에 대해서는 장애인 평생교육기관에 대한 예산 지원을 가장 중요한 과제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 평생교육을 증진시키기 위한 정책과제에 대해서는 장애유형별 다양한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을 최우선 과제로 꼽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장애인복지관이 평생교육기관으로서 나아가야 할 방향과 올해부터 운영에 들어간 국가장애인평생교육진흥센터의 정책과제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공급 현황 및 패턴 분석-경기도를 중심으로-

        김두영,박애스더,이경준 국립특수교육원 2018 특수교육연구 Vol.25 No.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eek for the improvement task forthe operation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based on the analysis of the provision status and patterns of lifelongeducation program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by researching/classifying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operated by lifelongeducation institut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ithin Gyeonggi Provincein 2016. For this, total 614 programs provided by 66 lifelong educationinstitut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ithin Gyeonggi Province wereanalyzed, an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eachsubject lifelong education institut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verage9.3 lifelong education programs were operated for a year. In each mainsubject, the program for adults showed the biggest percentage(78.7%). Regarding the program tuition, the pay program was 36.3% while the freeprogram was 63.7%. In the form of operation, most of the programs(98.0%) were the self-operating programs. These indexes showed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the type of lifelongeducation institut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Second, in the results ofexamining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provided by lifelongeducation institut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ithin Gyeonggi Province in 2016 based on the six major domains, the culture & art education was46.3%, which was followed by liberal education(18.7%), basic literacyeducation(18.7%), vocational competency improvement education(8.3%),and citizen participatory education(4.9%). In the 18 mid-domains, theculture & art enjoyment program was 17.6%, which was followed byleisure sports program(17.1%), living knowledge program(16.3%), andbasic independent life program(13.5%). Based on the above results of thisstudy, the policy tasks and measures for reinforcing the functions oflifelong education institut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ere discussed. 이 연구는 경기도 내 장애인 평생교육기관에서 2016년 한 해 동안 운영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을조사하고 분류함으로써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공급 현황 및 패턴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장애인 평생교육기관 운영의 개선 과제를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내 66개 장애인 평생교육기관에서 공급한 614개의 프로그램을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 대상 장애인 평생교육기관에서는 1년간 기관 당 평균 9.3개의 평생교육 프로그램을운영하였고, 주요 대상별로는 성인 대상 프로그램이 78.7%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프로그램 수강료별로는 유료 프로그램이 36.3%, 무료 프로그램이 63.7%로 나타났고, 운영 형태별로는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프로그램이 98.0%로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지표들은 장애인 평생교육기관 유형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둘째, 경기도내 장애인 평생교육기관에서 2016년 한 해 동안 공급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6개 대영역별로 살펴보면, 문화예술교육이 46.3%, 인문교양교육과 기초문해교육이 각각 18.7%, 직업능력향상교육8.3%, 시민참여교육 4.9% 등의 순으로 나타났고, 18개 중영역별로는 문화예술향유 프로그램이17.6%, 여가스포츠 프로그램 17.1%, 생활소양 프로그램 16.3%, 기초자립생활 프로그램13.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장애인 평생교육기관의 기능 강화 방안과 정책과제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화학전지의 애니메이션 제작 , 활용을 통한 수업효과 분석

        김두영,권효식,서정환 충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0 과학교육연구논총 Vol.16 No.1

        Such method of teaching with the use of computer animation CD-ROM is aimed at changing the students' preconception into more scientific concepts. This method not only allows students to visualize the movement of the particles at molecular level, but also draws students' attention on the details of chemical process. Moreover, this method demonstrates its effectiveness in facilitating students to change concepts and to understand concepts of electrochemical cells by stimulating the development of dynamic mental models of reac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