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Role of Teachers' Enthusiasm and Efficacy in Technology Integr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Training and Intention to Continue Integrating: A Bangladesh Context

        김혜정,주민서,비슈짓 쿠마르 사카르,이필남,김혜정 한국교원대학교 뇌기반교육연구소 2022 Brain, Digital, & Learning Vol.12 No.4

        The study investigates the role of teacher experience with student change and their enthusiasm as antecedent factors that predict their continuance intention to integrate technology in the classroom. The Partial Least Squares technique was applied to analyze data from 157 teachers in Bangladesh participating in an international development program. The proposed model showed eight significant hypotheses. The variables of teachers’ effort regulation, efficacy on technology integration, teaching enthusiasm, and impact on students significantly influenced continuance intention to integrate technology in the classroom. These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when teacher training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programs is designed to secure the longer-term effectiveness of aid for educ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From the finding, we suggest a sustainable framework in the education sector for the effectiveness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aid.

      • 유아 인성 함양을 위한 지역사회 교육 네트워크의 프레임워크 탐색 : 생태학적 체계이론과 확장학습이론을 중심으로

        김혜정,서희전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9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9 No.6

        유아의 인성 함양을 위한 지역사회 교육 네트워크란 ‘유아가 지역사회의 건전한 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의 유아교육기관, 가정, 공공기관, 영리 및 비영리단체가 수평적, 주도적, 협력적인교육체제로 역할하면서 지역사회의 인적, 물적, 환경 자원을 활용하여 유아에게 풍부한 인성교육의 기회와 환경을 제공하는 것’(서희전, 김혜정, 2018)을 의미하며, 최근 우리사회의 연결, 협력, 커뮤니티를 통한 교육 요구에 따라 가치와 필요에 대한 인식이 확대되고 있다. 이에 그간 선행연구를 통하여 건전한 시민성으로서 유아의 인성을 정의하는 한편 지역사회 교육 네트워크의 개념화와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 왔다. 그러나 지역 내 교육 주체 간의 연계협력을 통한 지식형성의 과정 및 집단적 차원의 학습과 발달을 설명하는 구체적인 이론이 명확하게 제시되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교육 네트워크를 설명하는 기반 이론으로서 브론펜브레너의 생태학적 체계이론(ecological systems theory)과 엥게스트룀의 확장학습이론(expensive learning theory)을 문헌연구를 통해 탐색하고, 이들 이론을 바탕으로 교육 주체 간의 역동적 교류 즉, 각 주체 간에 확장적으로 배워나가는 공동체적 학습을 이해하기 위한 프레임 워크를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민요의 변화에 따른 전승 방향의 재고

        김혜정 국립국악원 2015 국악원논문집 Vol.32 No.-

        Folksongs are losing their functions such as labor songs and rituals and they are slowly disappearing due to the emergence of the mass media such as television and radio. in order to preserve and transmit folksongs, folksongs are designated as cultural assets, which, sadly, is only turning folksongs into performance arts and fixing their place. Various changes are noticed due to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which is causing the local characteristics to collapse and intermix. Changes in diet are causing changes in Korean body figure, using microphones are causing changes in vocalization and tone, and finally ignorance of functions and dramatization are causing changes in folksongs. This article briefly looks over musical changes caused by the changes in transmission environment of folksongs and examined the transmission direction as to how to adapt to such changes. There are efforts to preserve folksongs through documentation. However, the aim should not be constrained to a type of song, folksongs; rather, there should be an multi-dimensional documentation which can allow the public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folksongs as cultural background, traditional knowledge, and living culture. On the other hand, the folksongs which are designated as cultural assets and become performance art through the government’s support fund and repeated performance should capitalize on their status. Especially, in the education aspect, they can provide experiences such as providing education materials, the roles for education agents, and providing field experiences. On the other hand, the folksongs which are designated as cultural assets leave us another task because it is hard to maintain, preserve and transmit the original characteristics of folksongs. in other words, we need another type of basic music beside cultural asset folk songs which are become the music of experts. Folksongs as basic music should have improvisation and flexibility as important values. in addition, there needs to be an academic approach and examination with regard to changes of folksongs. 민요는 노동이나 의식과 같은 기능의 소멸, 그리고 텔레비전이나 라디오와 같은 매체의 등장으로 점차 사라지고 있다. 민요를 보존, 전승하기 위해 문화재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지만 오히려 공연예술화되고 고착화되는 단점이 발견되고 있다. 또 교통수단의 발달로 인한 지역적 특성의 붕괴와 혼용 양상, 식습관 변화로 인한 한국인의 체형변화와 마이크 사용으로 인한 발성 및 음색의 변화, 기능에 대한 몰이해와 공연용 각색으로 인한 변화 등 다양한 측면에서의 변화들이 감지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민요의 전승 환경 변화에 따른 음악적 변화들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간단히 정리하고 이들 변화에 어떤 자세로 대처해 나가야 할 것인지 전승 방향을 재고해 보았다. 향토민요는 기록화를 통해 보존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그 지향이 민요라는 악곡에만 머물러서는 안되며 문화적 배경과 전통 지식, 살아있는 문화로서 민요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입체적인 기록화가 시도되어야 한다. 반면 문화재 지정 민요는 정부의 지원금과 반복되는 공연으로 공연예술화되었으나 이를 부정적으로만 보지 말고 오히려 그러한 상황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문화재 전승자를 자원으로 삼아 더 적극적으로 민요 전승을 활성화해 나가야 한다. 특히 교육적인 측면에서 교육자료로서의 활용, 교육 주체로서의 역할, 체험학습의 제공과 같은 부분들을 담당해줄 인적 자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무형문화재 지정 민요가 본래의 민요적 특성을 유지․보전하고 전승하기 어렵다는 점은 또 다른 과제를 남기고 있다. 즉 전문가의 음악이 되어버린 문화재 민요 대신 또 다른 기층 음악이 만들어져야 한다는 점이다. 그리고 기층음악으로서의 민요는 또 다시 즉흥성과 유동성이 중요한 가치가 되어야 한다. 아울러 학문적으로는 민요의 변화에 대응하는 새로운 학문적 접근과 정리가 필요하다.

      • 脫毛에 對한 臨床的 考察

        김혜정,채병윤,Kim, Hae-Jung,Chae, Byung-Yoon 大韓外官科學會 1996 大韓外官科學會誌 Vol.9 No.1

        The alopecia is classified to Alopecia areata, Telogen effluvium, Anagen effluvium and Androgenetic alopecia. The exact cause of alopecia is not known, but a inherent and immunologic anc psychosomatic and endocrinic factors are suspected. We analysed clinical study in 77 patients, who had visited to the Dept. of Dermatology, Hospital of Oriental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to treat alopecia from June, 1994 to March, 1995.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In the series of 77 patients, $52\%\;were\;male\;and\;48\%$ were female. The peak incidence of age group was 20 to 29 ($55\%$). 2. The peak incidence of age group at on set was 20 to 29 ($49\%$). 3. The most frequent feature was insomnia ($25\%$). Frequent appeared signs and symptoms in descending order were head itching, head scale, fatigue and dizziness. 4. The personal history of patient were seborrheic dermatitis ($17\%$), atopic dermatitis, disorder of thyroid gland and acne in descending order. 5. The patients with family history occupied $25\%$. 6. Shineung Yangjin Dan was most used in treatments as $36\%$.

      • KCI등재

        음악교육을 위한 민요학 연구 방향 제언

        김혜정 한국민요학회 2021 한국민요학 Vol.61 No.-

        이 논문은 민요교육의 활성화를 꾀하기 위해 교육과정의 위계성과 교수법 개발 등의 구체적인 과제 제안을 목적으로 작성된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음악교육에서 민요가 차지하고 있는 위상과 의미를 점검하고 현재까지 이루어진 민요 교육 연구의 경향을 파악하면서 어떤 부분에서 부족함이 있었는지를 정리하였다. 민요교육을 위해 필요한 것은 ‘교육과정에 어떻게 맞출 것인지?’가 아닌 ‘민요를 위한 교육과정은 어떻게 짜야 하는 것인지?’의 문제로 전환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민요 중심으로 보았을 때 교육의 목표와 방향은 어떻게 짜야 하는지, 교육과정의 위계화는 어떻게 짜는 것이 좋을지, 지도안은 어떤 구도로 구안되어야 할 것인지 등 풀어나가고 조정하여 합의를 도출해 가야 할 문제가 많다. 한국인의 음악 교육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될 수 있는 민요 교육이 제대로 정리되어야 다른 장르의 음악과 외국의 음악으로 확장되어 나가는 토대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앞으로 이러한 장기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음악교육학과 민요학의 공조와 소통이 끊임없이 지속되길 바란다. This paper is designed to promote folk music education through cooperation and communication in the study of music education and folk music. First of all, we checked the status and meaning of folk songs in music education and figured out the trends in the study of folk songs education so far, and summarized what was lacking. I think what is needed for folk song education now is not the question of “how to educate according to the curriculum,” but the question of “how to formulate a curriculum for folk songs.” Based on folk songs, there are many issues that need to be solved, adjusted, and agreed on, such as how the goals and directions of education should be organized, how the hierarchy of the curriculum should be drawn up, and what structure should be devised. Although it may seem like a nationalistic closure to focus on folk songs, it is also expected that folk music education, which can be the most basic in Korean music education, will be the foundation for expanding to other genres of music and foreign music. In order to achieve these long-term goals in the future, we hope that cooperation and communication between music education and folk song research will continue constantly.

      • KCI등재

        동부민요권 멸치잡이소리에 나타난일본 민요의 수용 양상-그물당기는 소리를 중심으로-

        김혜정 한국민요학회 2020 한국민요학 Vol.58 No.-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look at the changes in the post-acceptance and the Japanese boat songs that remain in Hamkyong Province, Gangwon Province and Gyeongsang Province. Among the boat songs, the song that was influenced the most by Japan is an anchovy net pulling song. Traditionally, nets were pulled by hand. However, with the introduction of manual machinery by Japan, Japanese songs were accepted together. At first, they sang Japanese lyrics and traditional Japanese music. But over time, it began to change little by little. The first thing that changed was the beat. This is because Korean and Japanese liked different beats. Next, the scale changed. This is because the Japanese scale was unfamiliar because the Korean and Japanese accents were different. The last thing left is the lyrics of the song. They are similar to exclamations, because they have no problem even if they don't know the meaning. Koreans have turned Japanese songs into Korean songs for decades. Because folk songs were living cultures, they achieved self-directed magnetization. 강원도와 경상남북도의 동해안 지역에 일본 어업노동요가 다량 수용되어 있다는 사실은 여러 연구를 통해 밝혀진 바 있다. 이 글에서는 지역 범주를 함경도부터 경상남도의 남해안까지의 동부민요권으로 확대하여 일본 어업노동요의 영향과 수용 양상을 정리하고, 특히 많은 영향을 받은 그물당기는 소리를 중심으로 수용 이후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동해안의 어업노동요에서 일본 민요를 수용한 것은 멸치잡이 어로의 그물당기는소리가 가장 직접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물을 손으로 당기는 것이 아니라 얼기에 감아 돌리는 방식이 수용되면서 ‘마이다’, ‘시매’ 등의 ‘감는다’, ‘조이다’의 뜻의 가사들이 수용된 것이다. 그물당기는소리의 전통적인 형태는 ‘다리여보자’, ‘당기어라’, ‘어야 사리야’와 같은 후렴구를 가진 것이었다. 함경도 자료에서는 전통적인 그물당기는소리의 비중이 높았으나 점차 남쪽의 자료로 올수록 일본 영향이 더 많이 발견된다. 그물당기는소리로 수용된 일본민요는 일부 노젓는소리와 그물푸는소리 등에도 영향을 주었다. 또 일본 민요의 변화 양상을 음악과 문학의 요소로 구분해 본다면 음악에 있어서는 박자가 가장 먼저 한국음악화되었고 다음으로 토리가 변화하였으며 가장 늦게까지 남은 요소는 일본어 가사이다. 민요에서 구호나 여음구는 의미를 모르고 부르는 일이 더 많기 때문에 일본어 구호가 그대로 남게 된 것으로 생각된다. 일본 민요의 영향과 수용 및 변화 과정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어민들이 일본의 민요를 그대로 수용한데 그치지 않고 자기화 과정을 거쳤다는 점이다. 자신들에게 편리하고 익숙한 형태로 스스로 고쳐서 한국화시켰다는 점은 민요학에서 매우 중요한 지점이라 할 수 있다. 그러한 자주적 수용과 적극적 변화 과정에서 살아있는 민요가 갖는 힘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

        가족 간 전화대화의 구조적 양상 분석

        김혜정 우리말학회 2011 우리말연구 Vol.28 No.-

        전화대화는 면대면 대화와 달리 예절이 더 엄격하게 요구되는 대화여서 일상적인 대화보다 규칙적인 대화의 구조 양상을 보인다. 그러 나 전화대화라 하더라도 가족 간에 이뤄지는 전화대화의 경우 일반적인 전화대화나 친밀한 사이의 전화대화와는 다른 양상을 띤다. 시작부에서 는 전화대화 상호간의 확인절차가 간단하게 이뤄지고, 화제부에서는 안부 를 물을 경우 의문사 ‘어디, 뭐’를 이용한 질문이나 ‘안부’관련 질문을 개시 발화로, 용건을 해결할 경우는 의문사 ‘어디, 뭐’를 이용한 질문 외에도 정 보 진술, 단도직입적 질문 그리고 전화수발신과 관련한 내용을 언급하는 표현을 이용해 개시발화를 함으로써 대화를 구성해 나간다. 그리고 종결 부에서는 일반적인 대화 종결구조인 ‘선종결’과 ‘종결’의 다양한 발화형태 를 통해 대화를 마무리한다. 가족 간 전화대화의 구조적 양상을 분석한 결과 화제부에서는 다음의 세 가지 특징을 보인다. 매우 친밀한 사이인 가족 간에는 상대방의 정보를 자세히 알고자 하는 의도를 가지고 있어서 ‘왜, 어디, 뭐’와 같은 질문을 자주 하고, 대화의 핵심을 유보하는 일이 적었으며, 부모가 아버지인 경우 단도직입적 질문형으로 대화의 화제부가 구성되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 KCI등재

        La influencia de Charles Baudelaire en las obras de Francisco de Villaespesa en torno a la imagen femenina del Fin de Siglo

        김혜정 한국스페인어문학회 2010 스페인어문학 Vol.0 No.57

        Este trabajo pretende destacar el influjo poético de Charles Baudelaire en las obras del abanderado modernista español, Francisco Villaepsesa (Almería 1877-1936), en su configuración poética de la imagen femenina y, a su vez, analizar el cambio social y estético del fin de siglo que produjo el surgimiento de los escritores bohemios,identificados con las heteras, hacia las que manifestaron un sentimiento solidario. En consecuencia, se plasmó un arquetipo de musa poética como uno de los fenómenos particulares del fin de sigl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