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뇌관화약 잔사물의 효율적 채취를 위한 채취 부위 및 시일경과에 따른 검출량 분석

        정중,박원석,윤영욱,정찬일,원정수,이상윤,최미정 한국과학수사학회 2023 과학수사학회지 Vol.17 No.2

        In this study, for effective primer residue collection, the collection location such as hands and clothes, the change over time in the outdoor environment, and the change in detection amount according to physical behavior were analyzed. The overall average detection amount of primer residue (3/2 Combo) according to the sampling location of hands (left: 6.33, right: 7.33) and clothes (left: 13.33, right: 16.00) was more than twice as high in clothes.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efficient to sample in the order of 1) right arm of clothing, 2) left arm of clothing, 3) right hand, and 4) left hand with high detection amount. In addition, when the arm part of the clothing was divided into 3 parts, the detection amount was about twice as high in the middle of the top part (8.67), middle part (16.00), and bottom part (8.67). Therefore, it is considered effective to collect the central part when collecting primer residue from the arm part of the clothing. In the outdoor environment, the detection amount of primer residues over time tended to decrease according to 0 day (13.33~16.00), 10 days (5.00~5.67), 20 days (0.00~1.67), 30 days (0.00~0.33). After the 30th day, one 2 Combo (Pb-Sb) was detected, confirming that the possibility of detecting the primer residues even after 30 days was present. When comparing the amount of detection of hands (6.33~7.33) and clothes (13.33~16.00) immediately after shooting and the amount of physical action applied, hand sanitizer (1.00~1.33) reduced about 79 to 86%, liquid soap (0.00~0.33) reduced about 95 to 100%, and clothing shaking off (1.33~4.00) reduced about 75 to 90%. It was confirmed that even though physical actions were applied, there was a possibility that the primer residues could be detected even in small amounts. 본 연구는 효과적인 뇌관화약 잔사물 채취를 위해 손과 의복 등 채취 부위, 실외 환경에서 시일경과에 따른 변화, 물리적 행동에 따른 검출량을 변화를 분석하였다. 손과 의복의 채취 부위에 따른 뇌관화약 잔사물(3/2 Combo)의 전체적인 평균 검출량은 손(좌: 6.33개, 우: 7.33개)과 의복(좌: 13.33개, 우: 16.00 개) 중 의복에서 2배 이상 검출되었으며, 검출량이 많은, 1) 의복 우측 팔, 2) 의복 좌측 팔, 3) 우측 손, 4) 좌측 손 순서로 채취하는 것이 효율적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의복의 팔 부분을 3부분으로 나누었을 때, 상단(8.67개), 중앙(16.00개), 하단(8.67개) 3부분 중 중앙에서 검출량이 약 2배 이상 많았기에 의복의 팔 부분에서 뇌관화약 잔사물 채취 시 중앙 부분을 채취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생각된다. 실외 환경에서 시일경과에 따른 뇌관화약 잔사물의 검출량은 0일(13.33~16.00개), 10일(5.00~5.67개), 20일(0.00~1.67개), 30일(0.00~0.33개)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30일차 이후에 2 Combo (Pb-Sb) 1개가 검출되어 30일 이후에도 뇌관화약 잔사물의 검출 가능성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사격 직후, 손(6.33~7.33개)과 의복(13.33~16.00개)에서의 검출량과 물리적 행동을 적용하였을 때의 검출량을 비교하였을때 손 소독제(1.00~1.33 개)는 약 79~86%, 액체비누(0.00~0.33개)는 약 95~100%, 의복 털어내기(1.33~4.00개)는 약 75~90% 감소하였으며, 물리적 행동을 적용하였음에도 뇌관화약 잔사물은 소량으로나마 검출될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악성 흉막삼출액에서 Viscum album 치료

        정중,이석기,임진수,최형호 대한흉부외과학회 2004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7 No.12

        Background: Malignant pleural effusion is a common clinical problem in neoplastic patients. With the diagnosis of a malignant pleural effusion, palliative therapy was done. One of the treatments was a chemical pleurodesis. Talc was the most commonly used a sclerosing agent, but the quality of patient's life was not improved. We was evaluated by other agents such as Viscum album for relief of malignant pleural effusion. Material and Method: From November 2001 to October 2003, 17 patients who underwent to chemical pleurodesis for the malignant pleural effusion. We compared the talc (group I: 10 patients) and Viscum album (group II: 7 patients). We analysed them retrospectively in term of various factors and results. Resul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 I and group II in the sex ratio, mean age, origin of primary cancer and site, but, group I had higher successful rate (80%:71%) than group II. Group II had better length of chest tube stay after procedure, Karnofsky performance and recurrence than group I. The failed treatement group was related to the pleural fluid pH and interval of initial chemical pleurodesis after thoracostomy. Conculsion: Although the chemical pleurodesis with Viscum album was slightly lower than talc in the successful rate, there was an alternative method instead of the chemical pleurodesis with talc to improve the patient's quality of life in malignant pleural effusion. 배경: 악성 흉막 삼출액은 암환자에서 흔히 나타나는 임상 증상이며, 진단이 되면 보존적 요법으로 치료하는데, 가장 흔히 사용되는 방법은 화학적 흉막 유착술이다.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talc는 환자 삶 질을 향상시키는 못한다. 저자들은 악성 흉막 삼출액을 치료하는 다른 경화제인 Viscum album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1월부터 2003년 10월까지 악성 흉막 삼출액으로 치료를 받은 1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Talc group I (10명)과 Viscum album group II (7명)으로 나누어서 후향적으로 여러 가지 인자와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성별, 연령, 원발성 종양 및 병변 부위는 양군 간에 차이는 없었지만, 성공률은 group I에서 더 높았고, group II에서는 시술 후 더 짧은 흉관 유지 기간, 더 높은 Karnofsky performance와 낮은 재발률을 보여 주었다. 치료가 실패한 경우는 흉막 삼출액 pH 및 흉강삽관술 시행 후 화학적 흉막 유착술 기간과 관련이 있었다. 결론: Viscum album을 이용한 화학적 흉막 유착술이 talc를 사용한 경우보다 성공률은 약간 낮았지만, 악성 흉막 삼출액 환자의 삶에 대한 질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선택된 경우에 대용 치료법이 될 수 있을 것 같다.

      • KCI등재

        종단 간 학습 방법을 이용한 이동로봇의 장애물 회피

        정중,고두열,박진성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19 제어·로봇·시스템학회 논문지 Vol.25 No.6

        The purpose of autonomous driving is to help a mobile robot move from a starting point to a target point without any collisions. A mobile robot requires global path planning and local path planning to generate a path, where the local path planning guides the robot along the global path while taking action to avoid obstacles. In this paper, end-to-end approach to obstacle avoidance for a mobile robot is proposed. The approach uses a depth data to produce a straight motion, left rotation, or right rotation. The only data that the learning model requires is the depth image and control commands from the human operator. The method does not perform any additional operations like feature extraction on the raw sensor input values, resulting in a relatively low computing burden and intuitive learning without needing to know the robot model.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successfully avoids obstacles.

      • 내가 아는 정규오 목사님

        정중 光神大學校 出版部 1999 칼빈과 개혁신학 Vol.1999 No.-

        정규오 목사님을 내가 처음 알게 된 것은 눈으로 뵙고 안 것 보다는 귀로 듣고 알게 되었다. 왜냐하면 정규오 목사님은 마을과 교회는 달랐지만 나의 고향 분으로 같은 면의 이웃 교회를 섬기셨기 때문이다. 귀고 듣고 알게 된 정목사님은 고향 산중마을 출신으로서 호남에서는 제일 큰 교회, 광주에서 중심되는 광주중앙교회를 시무하시는 훌륭한 목사님으로 이미 그 명성이 널리 알려져 있었다. 나는 험악한 세월을 살아왔고, 이제 꽃 믿음을 가진 처지에서 도저히 올라갈 수 없는 구름 위에 계신 어른으로만 느껴졌고 고향에서 그런 어른이 태어났다는 사실이 자랑스럽기만 했다. 그러던 나는 하나님의 특별한 은혜와 섭리로 부르심을 받아 광주신학교에 다니게 되면서 가까이에서 정목사님을 눈으로 뵙고 그 분을 모시고 신학 공부를 하게 된 것이 감격스럽기만 하였다. 그리고 광주신학교와 총회신학교를 졸업하고 정목사님이 소속해 있는 전남노회에서 목사 안수를 받고 전남노회 장성중앙교회와 전남노회 영광읍교회를 약 30년 동안 목회하는 중에 가까이에서 정목사님을 모시고 계속 협력하여 일하며 목회 현장에서 배우고 성장해 왔기 때문에 누구보다도 나는 정목사님을 잘 아는 사람 가운데 하나록 자부하고 싶다.

      • 손상과 크리프의 상호작용에 의한 조적조 기둥의 복합거동

        정중 ( Jung Joong Kim ) 한국복합신소재구조학회 2014 복합신소재학회논문집 Vol.5 No.2

        Since the collapse of historical masonry structures in Europe in the late 1990’s, the interests in understanding the long-term effect of masonry under sustained compressive stresses have increased. That requires combining the significance of time-dependent effects of creep with the effect of damage due to overstress to realize the evolution of cracks and then failure in masonry. Meanwhile, composite analysis of masonry columns was proven effective for realizing ultimate strength capacity of masonry column. In this study, a simplified mechanical model with step-by-step in time analysis was proposed to incorporate the interaction of damage and creep to estimate the maximum stress occurred in masonry. It was examined that the interaction of creep and damage in masonry can accelerate the failure of masonry.

      • 열적 비정상상태의 일차원 온도분포 시간이력으로부터 열전도도를 추출하는 수치적 방법

        정중,염광수,임남형 한국방재학회 2015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4 No.-

        화재로 인한 건축물 구조부재의 파괴는 추가적인 경제적 손실과 인명피해를 가져오기 때문에 화재에 대한 구조부재의 안전성은 매우 중요하다. 화재에 노출된 철근콘크리트 구조부재의 경우, 부재의 열전도도에 따라 내부 온도가 상승하고 부재의 하중저항강도와 강성이 저하된다.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화재에 대한 구조성능 확보 여부는 일반적으로 표준화재실험을 통하여 입증한다. 콘크리트의 열전도도는 온도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2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열적 정상상태의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하여 측정한다. 본 연구에서는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화재에 대한 구조성능 확보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표준화재실험으로부터 얻어지는 열적 비정상상태의 일차원 온도분포 시간이력으로부터 콘크리트의 열전도도를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표준화재실험으로부터, 기둥의 표면에서 중심까지의 온도분포 시간이력을 얻었다. 콘크리트의 온도에 따른 열전도도 k(T)=α{(T/120)²-T/60+200}에 대하여 다양한 α값으로 온도분포 시간이력을 수치해석 하였고, 실험결과와 가장 오차가 작게 발생하는 α값을 결정하였다. 결정된 콘크리트의 온도에 따른 열전도도는 2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열적 정상상태의 콘크리트 블록에서 측정된 콘크리트의 열전도도와 비교하였고, 제안된 수치해석에 의한 열전도도 산출방법이 유효함을 입증하였다.

      • KCI등재

        연성파괴 유도를 위한 RC 슬래브의 휨 보강 한계

        정중 한국방재학회 2016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6 No.2

        The demands for rehabilitation of reinforced concrete (RC) structures increase due to aging of structures and increase of design loads. This study proposed design criteria of continuous reinforced concrete (RC) slabs enhanced in flexural to derive ductile failure. The proposed design criteria was applied to the design of one-way continuous RC slab strengthened with externally bonded glass fiber reinforced polymer (GFRP). Design technique to derive ductile failure of strengthened RC slabs with the proposed design criteria was also presented with case study. 건축물의 노화와 재하하중의 증가로 인한 철근 콘크리트(Reinforced Concrete, RC) 구조물의 보강에 대한 요구는 증가하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휨 보강된 연속 슬래브의 연성 파괴를 유도하기 위한 보강 한계가 제안되었다. 제안된 보강 한계를 외부 부착 유리섬유 보강 폴리머(Glass fiber reinforced polymer, GFRP)로 휨 보강된 RC 슬래브의 설계에 적용하였다. 보강된 RC 슬래브의 연성파괴 유도를 위한 설계 기법을 사례 연구와 함께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