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백두대간계 중 강원도 지역의 종 분포 특성

        정연숙 江原大學校 附設 環境硏究所 1998 環境硏究 Vol.15 No.-

        Characteristics of species distribution in the Baekdoo Great Mountain Chain of Kangwon Province were discussed. Resulting from Detrending Correspondence Analysis based on the floristic composition of 48 mountains, the mountains of the Baekdoo Chain tended to aggregate on DCA axis. It represented that there was the peculiar floristic composition of the Baekdoo Chain separated from the other mountains. High altitude, longitude near the East Sea and large number of vascular species were main factors for the distribution pattern. And exponential relationships between endemic rare species and number of species were clarified. Even though the regions of the Baekdoo Great Mountain Chain had been conserved relatively well, many regions have been faced to be disturbed for tourism,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industry and mining since the local autonomy. Thus, the necessity for the establishment of large area network through the connection of scattered protected areas in the Baekdoo Great Mountain Chain was suggested. It would play a role as a core of nature conservation to sustain species diversity in Korea.

      • KCI등재

        국내 다문화교육과 다문화대안학교 관련연구 동향분석

        정연숙,Saino Akane,김영환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1 교육혁신연구 Vol.31 No.1

        Purpose: This study considered the role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alternative schools to be important for multicultural children and adolescents. To this end, the research trend of preceding researchers was analyzed centering on RISS journals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and future direction. Method: This study conducted a search of domestic academic papers with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alternative school' as the core words of the academic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RISS, and conducted research on a total of 122 papers. The tool for performing the analysis was Microsoft's 'Excel'. Results: First, it can be seen that studies o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alternative schools have gradually decreased since 2016. Second, research on teachers who will be in charge of multicultural education was found to be insufficient. Third, as can be seen from 14 studies on elementary school and students (11.5%), 10 studies on school and middle school students (8.2%), and 6 studies on high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4.9%). There seems to be a lack of research on the student.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development and analysis of textbooks, research on method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research on evaluation remained at a meager level. Conclusion: In order to resolve the lack of grasping the actual situation and the current situation in the field and the lack of preparation of measures to improve it, research on the subject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alternative schools and more research on teachers who will promote learners in the educational field are needed. Also it was found that research on high school and students, development and analysis of textbooks, research on method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research on evaluation were insufficient. Since this study was the target of analysis from 2006 to the first half of 2020,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it was not possible to add additional research materials. 연구목적: 본 연구는 다문화 아동 및 청소년들을 위해 다문화교육과 다문화대안학교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보았으며 이를 위해 RISS의 학술지를 중심으로 선행연구자들의 연구동향을 분석해 현 상황과 앞으로의 지향점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학술연구정보서비스 RISS에서 ‘다문화교육’ 및 ‘다문화대안학교’를 핵심어로 하여 국내학술논문의 검색을 실시하였다. 총 122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분석을 실행한 도구는 Microsoft사의 워크시트인 Excel이었다. 연구결과: 첫째, 다문화교육 및 다문화대안학교를 주제로 한 연구는 2016년 이후 서서히 줄어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다문화교육을 담당할 교사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및 학생에 대한 연구 14편(11.5%), 학교 및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 10편(8.2%), 고등학교 및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 6편(4.9%)에서 알 수 있듯이 고등학교와 학생에 대한 연구가 부족해 보인다. 이 외에도 교재개발 및 분석, 다문화교육의 방법 연구 그리고 평가 연구가 빈약한 수준에 머무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논의 및 결론: 현장에서의 실태·현황 파악의 부족과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 마련의 결여를 해소하기 위해 다문화교육 및 다문화대안학교를 주제로 한 연구와 교육현장에서 학습자들을 촉진할 교사에 대한 연구가 좀 더 필요하며 또한 고등학교와 학생에 대한 연구, 교재개발 및 분석, 다문화교육의 방법 연구 그리고 평가 연구가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2006년부터 2020년 상반기까지의 연구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기에 이후 연구물에 대한 부분은 추가하지 못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 KCI등재

        Status of wetland vascular plant species in Korea

        정연숙,Woo Tchul Lee,조강현,Kwang Yeong Joo,민병미,현진오,이규송,Kyungeun Lee,Anna Seo 한국생태학회 2015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ol.38 No.4

        We report the status of wetland vascular plant species in Korea including the whole peninsula and its adjacent islands. This analysis was based on database from our previous categorized list. In all, 4,050 taxa have been reported, including 3,769 native and 281 naturalized. Of these, 479 taxa (12%) are considered as wetland vascular indicator species: 240 obligate wetland plants (OBW) and 239 facultative upland plants (FACW). Approximately 31% of those 479 taxa, i.e., 149 taxa, are labelled as aquatic macrophytes. Wetland plants, mostly herbaceous but some woody, inhabit aquatic bodies and wet meadows. Except for two OBW and six FACW taxa, the rest of the plants are summer-green only. The information provided here is valuable for making assessments of wetland ecosystem health, as well as for developing management plans to preserve and restore wetlands and their resident plant species while also creating artificial wetland environments.

      • 여고생의 월경곤란증에 대한 대처방법 연구

        정연숙,임미혜 대전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2020 自然科學 Vol.3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oretical groundwork for public health education by finding out the characteristics of menstruation, the degree of menstrual pain, and preventing the overdose of drugs as coping method for dysmenorrhea in some of the female high school students in Daejeon city. The study subject includes 363 female students in one high school located in Daejeon. Visual analogue scale was used to measure menstrual pain, and measurement tool, made by Woon-yeong Hwang(2004), for dysmenorrhea. 14 items of physical discomforts, 9 items of emotional discomfort, and 4 items of social discomfort were used from Hwang's tool. Questionnaire was carried out for data collection from September 17th to 23rd of 2018.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processing collected raw data using SPSS statistical method of frequency and percentage. The average discomfort score of subject was 1.72(±1.15): physical discomfort at 1.96(±1.17), emotional discomfort at 1.83(±1.22), and social discomfort at 0.64(±0.96). The most frequently used coping method for dysmenorrhea was to 'lie down or rest' chosen by 208(96.7%) subjects. After that, 204(94.9%) chose 'get some sleep', 196(91.2%) chose 'keep the area in pain warm', 194(90.2%) chose 'hold back the pain', 183(85.1%) chose 'take a painkiller', 167(77.7%) chose 'stay alone', and166(77.2%) chose 'talk to a friend' in order. On the other hand, least favored coping methods were 'go for a meditation' 71(33.0%), 'eat favorite food' 101(47.0%), and 'go for an exercise' 103(47.9%). When marked on a 5 score scale, according to the degree of ease, 'get some sleep' scored 2.74(±1.18) and revealed as the most effective method. Next was to 'take a painkiller' 2.66(±1.33), 'lie down or rest' 2.63(±1.13), 'keep the area in pain warm' 2.35(±1.13), and 'do massage' 1.58(±1.11) orderly eased the dysmenorrhea. On the other hand, 'restrain pain' 0.62(±0.86) and 'go for a meditation' 0.83(±0.66) showed not to be effective in relief of dysmenorrhea. When looking at the correlation between dysmenorrhea and its coping mechanism, the rate of dysmenorrhea is at around p<0.01, physical discomfort at 0.927, psychological discomfort at 0.910, and sociological discomfort at 0.646. These results resulted showing a high rate of correlation of dysmenorrhea, physical discomfort and psychological discomfort but a relatively low correlation for the sociological discomfort. This concludes that sociological discomfort is a relatively uninfluential factor. Above all the research result, subjects take very passive actions to menstrual discomfort and prefer the easy method of 'take a painkiller'. It is necessary for women to get help to promote precise knowledge and behavior, so they can actively take control of their own health

      • 대암산 큰용늪의 초본 식물상에 관한 고찰

        정연숙,이우철,주광영,이지선,서형수,이경은,서안나 강원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2009 기초과학연구 Vol.20 No.-

        지리적 위치, 기후, 지형 등의 조건 때문에 우리나라는 이탄습원이 매우 희귀하다. 대암산의 큰용늪은 보전상태가 양호하고 특징적인 식물상을 가져 우리나라 대표적 산성 이탑습원으로써 특히 중요하다. 그동안 식물상이 지속적으로 보고되어왔으나 연구결과 간에 큰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큰용늪의 초본 식물상을 연구하고 그간 발표된 식물상과 비교 검토하였다. 본 연구결과 큰용늪의 초본식물은 총 130분류군(관속식물123 분류군, 선태식물문 7분류군)이 푼포하는 것으로 확인이 되었다. 단자엽식물이 37분류군(관속식물의 30%, 사초과 12분류군, 벼과 7분류군)이나 분포하여 산성이탑습원의 종조성 특징이 확인되었고, 우리나라 북부와 강원도 이북에 분포하는 종이 23분류군(관속식물의 19%)으로써 식물구계학적 중요성이 밝혀졌다. 이 결과에 기초하여 뚝사초(Carex thunbergii var. appendiculata), 진퍼리새(Molinia japonica), 대암사초(Carex chordorrhiza), 대택사초(Carex limosa)등 산성이탄습원의 지표종, 우점종 및 식물 구계학적 특징종 등 18 분류군을 기존 문헌의 식물상과 비교하고 논의하였다. 식물상은 생태계의 가장 기초적인 정보일 뿐만 아니라 산성이탄습원의 분류에서도 중요한 기준이다. 연구자간의 상호 검토를 통해서 정확한 식물상 정보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Due to geography, climate and topography, peatlands are very rare in Korea. Especially Keunyongneup is a well preserved raised bog with the unique flora. The floristic compositions have been reported, but showed large difference among repotrs. Therefore, this aimed to investigate the herbaceous flora of Keunyongneup and to review the preexisted reports. Total 130 taxa identified from the Tracheophyta and Bryophyta. Among these, 37 taxa (30% of total Tracheophyta) belong to Monocotyledon and 28 taxa (19% of total Tracheophyta) is known to distribute in the Northern part of Korea. The identification and the presence of 18taxa, which are dominant species, characteristic species geographically and/or indicator spedies, were reviewed with other reports. As an example, the representative bog species, carex thunber gii var. appendiculata, has been reported as C. dispalata in many reports. It is because the field surveys might have conducted in season without inflorescence. The floristic composition with correct information should be provided to understand the rnique raised bog, Keunyongneup.

      • 단양 및 영월의 석회암 지역에서 현존식생의 특징과 군집분류

        정연숙,홍은정 강원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2003 기초과학연구 Vol.14 No.-

        단양 및 영월 일대에 석회암의 영향이 상존하고 있는 네 지역(태화산 지역, 631고지 지역, 삼태산 지역 및 갑산 지역)에서 현존식생의 특징과 식생의 보전현황을 밝히는 동시에, 석회암 지역에서 형성되는 특징적인 종구성을 분류하였다. 조사지의 현존식생은 석회산업의 직, 간접적 영향으로 심하게 훼손되어 왔다. 석회산업의 사양화로 영향이 감소되기는 하였으나 현재에도 지속되고 있다. 전체 면적에서 식생보전등급 III 이상 양호한 식생 면적이 31.7%에 불과하였다. 소나무가 주 수종인 침엽수림이 13.7%로서 가장 넓은 면적에 분포하였다. 낙엽활엽수림은 8.6%를 차지하였는데 비석회암 지역과 달리 신갈나무림의 분포면적이 작고 활엽수림 중 건조한 곳에 주로 분포하는 굴참나무림의 면적이 가장 넓은 것이 특징적이었다. 현재에도 석회산업의 영향이 가장 큰 지역은 갑산과 삼태산 지역이었고, 태화산 지역은 석회암의 분포면적이 작아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전체적으로 보전등급 III 이상의 식생은 심하게 절편화 되었으며 강변과 일부 도로변의 암벽지역 등은 인위적 훼손의 영향을 적게 받아서 회양목림이 분포하고 갑산 지역에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측백나무림이 보전되는 등 석회암 식생의 고유한 특징이 남아 있다. 우리나라에서 석회암 식생의 희소성을 고려할 때 전체지역의 보전가치는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체지역의 식생보전등급은 IV로 평가하였다. 각 중점조사지역의 현존식생을 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군집 분류하여, 분꽃나무-당조팝나무 군집과 쪽동백-난티나무 군집의 두 군집으로 나누었다. 전자는 모암인 석회암 또는 돌로마이트의 영향이 크게 작용하는 지역에 주로 분포하였으며, 후자는 모암이 석회암 또는 돌로마이트가 아니거나 숲이 발달하여 모암의 영향을 덜 받는 지역에 분포하였다. 석회암 식생의 느린 생장과 상존하는 인위적 훼손을 고려할 때 이 지역에서는 보전대상지역을 식생보전등급 II로 낮추어 보전대상 식생의 연결성을 높일 것을 제안한다.

      • 기후변화와 삼림생태계 변화

        정연숙 한국응용곤충학회 2012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2 No.10

        기후변화가 육상식물이나 삼림에 미치는 영향은 광범위하게 작용하는 온도변화 및 이산화탄소와 같은 온실기체의 직접적 영향에 더하여, 지역에 따라 불균등한 온도변화와 강수량, 극한사상의 빈도 변화, 무서리 기간의 연장 등이 주요인으로 작용한 결과이다. 과거 빙하기의 영향과 달리 사람에 의해 야기된 변화는 속도가 매우 빨라서 특히 삼림생태계와 같이 수명이 긴 생물로 구성된 군집의 적응력이나 적응 방향이 주목을 받고 있다. 기후변화의 영향을 실제로 입증하기는 매우 어렵다. 특정 지역에서 일어나는 변화는 기후변화라기보다는 지역적 특징과 짧은 기간의 생물학적 변화의 결과일 가능성이 높고 기후변화의 영향을 받더라도 국지적 변화와 분리하여 설명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기후변화의 영향을 빠른 속도로 받고 있는 생물종은 적응하거나, 더 적합한 곳으로 이주하거나 또는 적응하지 못하고 절멸하게 될 것이다. 빙하기가 퇴각할 때 온난화가 진행되면서 많은 생물종은 북쪽으로, 고산지로의 이동의 역사를 이미 경험했다. 오늘날 기후변화와 관련된 많은 연구들이 분포대의 실제 변화를 입증하거나 모델을 통해 생물분포대의 이동을 예측하고 있다. 생물분포대의 이동보다 기후변화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입증하기 쉬운 것이 계절 현상의 시기 변화이다. 유럽과 북미를 중심으로 수많은 연구결과가 축적되고 있다. 계절 현상과 관련된 과거 기록이나 연구결과가 많고 장기 연구가 지속되어 왔기 때문이다. 이와 달리 우리나라에서 식물이나 삼림 동태에 미치는 기후변화의 영향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발표는 국내외의 기후변화 연구 결과 중, 특히 온도 증가의 영향이 가장 많이 밝혀진 분야를 중심으로 생물계절 현상의 변화, 생물 분포대의 이동, 종 간의 상호작용을 주로 다루며, 후반부에서는 이산화탄소의 증가가 삼림에 미치는 영향과 삼림의 진화적 적응 가능성을 고찰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