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신생 백서의 저산소성 허혈증에 의한 뇌손상 후 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1(ICAM-1) mRNA 발현에 관한 연구

        지희(Jee Hee Jung),서은숙(Eun Sook Suh),김창휘(Chang Hwi Kim),은백린(Baik-Lin Eun) 대한소아신경학회 1998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6 No.1

        목 적 : 다형 백혈구(polymorphonuclear leu-kocyte)와 단핵세포, 대식세포 등의 백혈구가 대뇌 허혈증이나 뇌졸중의 발병 기전에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또한 신생백서를 이용한 저산소성 허혈성 실험 모델에서 뇌조직의 괴사가 일어나기 전에 중성구가 조직에 축적되며, 중성구를 혈중에서 제거함으로서 저산소성 허혈증에 의한 뇌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미성숙 뇌에서 저산소성 허혈증 후 중성구가 뇌조직에 축적되는 정확한 기전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져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ICAM-1이 미성숙 뇌에서 저산소성 허혈증에 의한 뇌손상을 유도한다는 가설하에 생후 7일된 신생 백서를 이용한 저산소성 허혈성 뇌손상 모델을 이용하여 ICAM-1의 유전자 발현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방 법 : 7일된 Sprague-Dawley 백서(n=36)를 사용하여 methoxyflurane 마취 하에 우측 총 경동맥(common carotid artery)을 결찰하고 약 1시간 동안 보육기에서 회복시킨 후, 37 수조에 일부가 잠겨있는 유리용기에서 2시간 30분 동안 8%산소에 노출시켰다. 대조군으로는 단순 총경동맥 결찰군, 단순 저산소 노출군, 정상군 등을 이용하였다. 허혈 및 저산소 후 0, 1, 2, 4, 8, 12, 24, 48시간 뒤 백서 대뇌의 좌측과 우측 대뇌피질, 해마, 선조체로부터 각각 전(total) RNA를 추출한 뒤 RT-PCR을 통해 ICAM-1 유전자 발현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 과 : ICAM-1 유전자 발현은 총경동맥을 결찰한 동측(우측) 뇌피질, 해마, 선조체 모두에서 허혈 및 저산소증 직후부터 증가하여 4시간과 8시간 뒤에 가장 높았고, 그 후 감소하여 24시간과 48시간 이후 거의 검출되지 않았으며, 대조군에서는 모두 ICAM-1 유전자가 검출 되지 않았다. 대조적으로 총경동맥을 결찰한 반대측(좌측)에서도 ICAM-1 유전자가 발현되었으나 경미하였고 2시간이내에 약간 증가하다가 감소하였다. 결 론 : 미성숙 뇌에서 저산소성 허혈성 뇌 손상 시 ICAM-1 유전자의 발현에 관한 이같은 결과는 중성구의 동원(recruitment)과 이에 연속되는 뇌손상과 실험적으로 일치하여 ICAM-1이 미성숙한 뇌에서의 저산소성 허혈증에 의한 뇌손상을 유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 Leukocytes, both polymorphonuclear leukocytes(PMNL) and monocytes/ macrophages have been implicated in the pathogenesis of the cerebral ischemia and stroke. Neutrophils accumulate in post-hypoxic-ischemic neonatal rat brain prior to the evolution of necrosis and neutrophil depletion attenuates hypoxic-ischemic brain injury. However, the mechanisms leading to post-hypoxic-ischemic neutrophil accumulation are unknown yet. We hypothesized that 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1 might mediate post-hypoxic-ischemic injury in the immature brain; thus, we evaluated ICAM-1 gene expression in post-hypoxic-ischemic neonatal(postnatal day 7) rat brain. Methods : Neonatal rats(n=36) underwent right carotid ligation followed by exposure in 8% 02 for 2.5 hours; this procedure typically produces ipsilateral striatal, hippocampal and cortical infarction. Control groups are included by carotid ligation alone, hypoxia alone, and neither hypoxia nor ligation. For RNA extraction, rats were killed 0, 1, 2, 4, 8, 12, 24 and 48 h post- hypoxia-ischemia and RT-PCR was carried out. Results : ICAM-1 mRNA was barely detected in the controls including normal and sham operated animals. In the cortex, striatum and hippocampus, ICAM-1 mRNA was significantly induced in the ipsilateral(right) side compared to the contralateral(left) side just after hypoxia-ischemia. The elevated ICAM-1 mRNA gradually reached a peak at 4 or 8 h and then decreased to an almost basal level by 24 to 48 h. In contrast, the less pronounced contralateral(left-sided) ICAM-1 mRNA expression appeared to peak earlier, within 2 h post-hypoxia-ischemia. Conclusion : The temporal profiles of post-hypoxic-ischemic ICAM-1 mRNA expression are consistent with a role in post-hypoxic-ischemic neutrophil recruitment and in the evolution of subsequent brain injury.

      • KCI등재

        일본 미디어와 전후 민주주의 : ‘불편부당’‧‘객관보도’ 원칙의 냉전사적 재고

        지희(Jung, Ji-Hee) 일본사학회 2022 일본역사연구 Vol.57 No.-

        이 논문은 전후 일본에서 불편부당・객관보도 원칙이 개념의 모호함이나 여러 논란에도 불구하고 민주적 저널리즘의 핵심적인 원칙으로 오랫동안 당연시되어 왔던 관행에 주목하여 그러한 관행을 가능케 한 인식론적 기반과 역사적 조건을 해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선행연구에서는 주로 전시 일본 미디어가 국가의 탄압에 굴하여 ‘군국주의자’들이 국민을 기만하는 데 일조했다고 전제하고 이러한 과거에서 일변한 전후 미디어 저널리즘을 구축하려는 노력에서 ‘서구’의 민주주의 ‘선진국’에서 실현되어 온 ‘보편적’인 저널리즘의 이념이었던 이들 원칙이 점령 개혁을 통해 이식된 것으로 설명한다. 이 논문은 위와 같은 설명의 기본 전제가 되는 전시 일본 미디어의 존재 양상에 대한 전후의 지배적인 이해 방식과 불편부당・객관보도 원칙 자체가 미국이 제2차 세계대전과 냉전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대두했던 역사성을 분명히 하고, 이들 원칙이 전후 일본의 민주적 저널리즘의 이념으로 자인된 과정을 패전과 냉전이 교차한 일본 전후의 특정한 맥락에서 고찰한다. 아울러 이들 원칙이 미국과 일본 양국의 미디어 공론장에서 좌우 양 극단을 배제하여 보수적 자유주의의 헤게모니를 재구축하고 지속시키는 데 기여한 점 또한 시야에 넣어, 전후의 불편부당・객관보도 원칙을 냉전 자유주의의 이념으로 역사화할 것을 제기한다. 이렇게 접근할 때 이들 원칙의 정착은 파시즘의 재흥과 공산진영에 대항해 자유 민주주의 체제를 수호하고 재건하려는 시도로서 대두한 냉전 자유주의의 틀 안에서 전후 민주주의를 상상하고 전후 저널리즘을 재구축하는 동시대적인 과정으로 다시 읽힐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넓게는 전후 민주주의를 신화화하기보다는 그 특정한 성격과 공과를 엄밀히 평가하고, 탈냉전과 우익 저널리즘 부상의 관계를 장기적인 관점에서 고찰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epistemological basis and historical conditions that have long taken the notion of “fair and objective news reporting” for granted as a core principle of democratic media journalism in postwar Japan despite the ambiguity of the concept and recurring controversies over its definition. Previous studies mainly assume that wartime Japanese media yielded to the oppression of the state and contributed to the deception of the people by the “militarist” leaders. These studies tend to presume fair and objective news reporting as an ideal of modern journalism, which had been realized only in “advanced” democracies in the “West” and was transplanted to Japan through the U.S. occupation’s postwar reform. This article demonstrates that the dominant postwar understanding of wartime Japanese media and the specific notion of fair and objective reporting as a democratic principle actually emerged in the process by which the U.S. conducted World War II and the Cold War. I also examine how this concept was embraced by the Japanese as the primary principle of democratic journalism in the specific historical context of postwar Japan, in which defeat in the war and the Cold War intersected. In addition, my study takes into consideration the fact that this type of news reporting contributed to the rebuilding and continuation of the hegemony of conservative liberalism by excluding both radical leftist and rightist discourses in both American and Japanese media. Therefore, I propose to historicize the postwar notion of fair and objective news reporting as the principle of Cold War liberalism. Seen in this way, the consolidation of this notion in postwar Japan can be rearticulated as a process of imagining postwar democracy and reconstructing postwar journalism within the framework of Cold War liberalism, which emerged as an attempt to defend and rebuild the liberal democratic system against the communist camp and the revival of fascism. Rather than mystify Japan’s postwar democracy, this approach will help us properly assess its specific characteristics, merits, and limits and may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rival of the post-Cold War era and the rise of right-wing journalism from a long-term perspective.

      • KCI등재

        두피질환과 탈모증에 대한 우리나라 성인 남녀의 인식도와 치료법 선택 행동양식 조사연구

        지희 ( Ji Hee Jung ),김정은 ( Jung Eun Kim ),유박린 ( Bark-lynn Lew ),심우영 ( Woo Young Sim ),강훈 ( Hoon Kang ) 대한피부과학회 2018 대한피부과학회지 Vol.56 No.3

        Background: Recently, the number of patients with scalp or hair loss disorder has rapidly been increasing and patient concerns are growing accordingly. With the flood of inadequate information available, many patients depend on treatments of which efficacy has not been proven. Objective: To collect data on the awareness, knowledge, and behavior of scalp and hair loss disorders in Korean adults. Methods: Between June 2015 and May 2016, a total of 1000 dermatologic outpatients, who visited St. Paul’s Hospital and the Kyung Hee University Hospital at Gangdong were aske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Results: Fifty-three percent of survey responders reported scalp-related symptoms and 44% of all responders indicated that they had alopecia. Most responders (90%) agreed that scalp and hair loss disorders should be treated, and more than 80% thought they should be treated by a dermatologist; although, they hesitated to visit dermatology clinics because of skepticism of treatment effectiveness or economic burden. It was observed that the patients rely heavily on scalp-related products such as shampoo, conditioners, and hair tonic, trusting their effects, which have not been verified to be effective. Conclusion: Although patients who have hair loss or scalp diseases need to be treated appropriately by confirmed diagnosis of dermatologists, they often depend on non-professional methods rather than visiting dermatologists. Therefore, dermatologists should concentrate their efforts on correcting the misunderstandings about scalp and hair loss disorders to reduce unnecessary social economic burden. (Korean J Dermatol 2018;56(3):181∼186)

      • 스마트폰 앱스토어의 고객만족에 대한 선·후행 변수

        지희(Jung Ji hee),기한(Chung Ki han),신재익(Shin Jae Ik),박은옥(Park Eun Ok),박세현(Park Se Hyeon) 한국창업학회 2012 한국창업학회 Conferences Vol.2012 No.-

        우리나라의 스마트폰은 2009년 하반기 이동통신회사의 출시경쟁으로 보급이 급속히 확산 되었으며, 2012년 2월 기준 스마트폰의 사용자는 약 2500만명으로 증가하였다. 이는 국민 10명 중 4명, 경제활동인구 가운데 80%가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스마트폰 시장이 급속도로 성장하여 도입단계를 지나 성장단계에 접어들었다고 할 수 있다. 스마트폰 단말기의 성장과 함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애플리케이션 마켓플레이스인 앱스토어를 인터넷 서비스 품질을 측정한 e-SERVQUAL을 적용하여 ‘앱스토어의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과 스마트폰의 지속적인 사용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판단하에 여러 선행연구로부터 변수를 도출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현재 스마트폰의 실사용자를 대상으로 ‘스마트폰 앱스토어의 사용자 만족에 대한 선·후행변수에 관한 연구’의 사전 설문조사가 진행되고 있으며, 기본적인 검증과 더불어 연구모델의 확장 및 변수개발을 통한 실제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 에도시대, 서민문화 속의 우키요에와 호리모노

        지희(Jung, Ji-Hee)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8 동북아시아문화학회 국제학술대회 발표자료집 Vol.2018 No.10

        This thesis examines the artistic characters of Ukiyoe and Horimono, two representative folk culture in Edo era(1603~1867), so called Japanese Renaissance, and their relation. Due to the development of commodity money economy in Edo era, the population of urban merchants and craftmen, Chōnin(townsman), grew and so did new cultural genres such as literature, fine arts, or performances. Ukiyoye was a kind of woodprint which mainly used important illustrations from popular dramas and novels, or portraits of Kabuki actors or prostitutes. Due to its cheap prices and mass production, Ukiyoe soon became one of the most popular genres. Among many Ukiyoe painters sketching heros who criticize society, Katsushika Hokusai(1760~1849) and Utagawa Kuniyoshi(1798-1861) stand out. Especially, the latter is famous for his characters from "Tsūzoku Suikoden Gōketsu Hyakuhachinin no Hitori(One of the 108 Heroes of the Popular Water Margin)). He depicted tatoos on the body of the lower dramatis personae gradually accepted as symbolic heros by the common people. Tattoo devotees came to use this Ukiyoe as a basic design when tatooing, which later on foster a new genre, “Horimono.” Edo people engraved this Horimono on their bodies to prevent from dangers or bad fortunes. This novel cultural trend was again depicted in Ukiyoe woodcuts or Kabuki dramas and became one of three most representative Edo popular genres. Since the late 19th century, Horimono, while Uikyoe became the most famous Japanese art reevaluated and adapted by some impressionist painters such as Claude Monet(1840~1926) or Vincent van Gogh(1853~1890). Overall, this study analyzes Ukiyoe and Horimono as the two artistic media representing feelings and consciousness of Edo common people. Ukiyoe and Horimono are meaningful in offering a way to scrutinize the pre-modern Japanese society as well as contemporary tattoo culture in Japan.

      • 정보 과학 교육 : 두 개의 위치영역을 갖는 위치등록 방법의 페이징부하에 대한 수리적 분석

        지희 ( Ji Hee Jung ),문유리 ( Yu Ri Moon ),백장현 ( Jang Hyun Baek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0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4 No.1

        본 연구에서는 영역기준 위치등록(Zone-Based Registration, ZBR) 방법의 성능 개선 방안을 제안하고 그 성능을 분석한다. 기존 ZBR 방법에서는 MS(Mobile Station)가 새로운 영역에 진입할 때마다 위치등록을 수행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ZBR 방법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2개의 위치영역을 가질 수 있는 이중영역 영역기준 위치등록(Two Zone-based Registration, TZR)과 발신호에 의한 묵시적 위치등록을 고려한 이중영역 위치등록(Two Zone-based Registration with outgoing call, TZRC)을 고려하였다. TZR에서는 MS가 가장 최근에 위치등록한 위치영역뿐만 아니라 그 직전에 위치등록한 위치영역까지도 저장하게 되며 이 경우 저장된 2개 위치영역을 넘나들때는 위치등록이 필요 없게 된다. 반면에 TZR에서는 SZR에 비하여 페이징 비용이 증가할수 있는데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발신호에 의한 묵시적 위치등록을 고려한 TZRC를 제안하고 수식을 유도하여 성능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다양한 환경에 대한 수리적 결과로부터 제안하는 TZRC 방법이 기존의 SZR, TZR 방법보다 성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뉴미디어 세대와 일본 풀뿌리 평화운동의 조우: "헌법 9조에 노벨평화상을" 운동

        지희 ( Jung Ji-hee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6 日語日文學硏究 Vol.98 No.2

        この論文は、2012年の第2次安倍晋三內閣成立後、日本政府·與黨による改憲の動きが表面化している狀況の中で、平和憲法を維持してきた日本國民をノ一ベル平和賞候補に3年連續推薦する活動を行っている「憲法9條にノ一ベル平和賞を」運動を分析する。旣存の平和運動、特に護憲運動の主軸を成した戰爭世代とは異なり、戰爭體驗ではなく、生活平和主義的感受性とニュ一メディアという新しいコミュニケ一ション手段を持つ平凡な主婦から始まったこの運動は、數十万の贊同者を集め、全國的、またグロ一バルな關心と支持の中で、3年以上勢力を增やしている。この論文は、このような異例の運動を可能にした大きな要因としてニュ一メディア環境がもたらした新たな動員構造に注目する一方、單純なインタ一ネット署名運動を超えて運動の擴散が可能になったのは、日本の草の根市民運動組織と個人有志、そして彼らの蓄積された運動經驗が結合されたためであったことを提起する。「憲法9條にノ一ベル平和賞を」運動は、前後2世代の新しい運動方式と從來の平和運動が改憲政局という特殊な狀況の下で、結合に成功した事例として、また、1980年代を經て、主に保守主義と連動して理解されてきた生活平和主義に潛む政治性が顯在化した事例として意義づけることができる。 This paper examines the campaign entitled "The Nobel Peace Prize for Article 9 of the Japanese Constitution." By collecting petitions, this campaign has recommended the Japanese people who have kept the Peace Constitution as a candidate for the Nobel Peace Prize for three consecutive years. Building on an intriguing new media-based grassroots peace movement launched by Takasu Naomi, an ordinary housewife and mother of two young children, the campaign represents an effort to protest against the Liberal Democratic Party government`s series of actions aimed at revising the constitution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second Abe Shinzo Cabinet in 2012. My study pays special attention to the role of new media in creating new mobilizing structures for ordinary citizens to promote the movement and gain popular support. Nevertheless, without numerous enthusiastic supporters, grassroots social movement organizations, and their accumulated experience and strategies, it would have been impossible for the movement to expand its popular base. Thus, I assess this movement as having successfully combined the ways of traditional Japanese grassroots social movements with the new methods of the second-postwar generation movement. It also suggests that an everyday-life pacifism (as opposed to political pacifism), which has conventionally been associated with conservatism in postwar Japanese society, can surprisingly serve as a catalyst for civic activism.

      • KCI등재

        정서이야기와 수혜자 경험이 유아의 자원분배행동에 미치는 영향

        지희(Jihee Jung),윤경(Yoonkyung Jeong) 인지발달중재학회 2021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2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유아기 자원분배행동에서 정서이야기와 수혜자로서의 직접 경험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만 3-5세 유아 154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조건에 따라 유아가 수혜자에게 나누어준 사탕의 개수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먼저 모든 유아를 대상으로 정서이야기(n = 76)와 상황이야기(n = 78) 집단에 무선 할당하여 개입별로 유아가 타인에게 나누어주는 사탕 개수의 사전, 사후를 비교하였다. 다음으로 이야기개입 이후에도 공평한 자원분배(5개)가 어려운 유아를 대상으로 수혜자경험(n = 61)을 했을 때 자원분배행동에서 변화를 보이는지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유아들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자원분배행동이 증가했고 공평한 자원분배(5개)와 근접한 경향을 보였다. 1단계 개입에서는 정서이야기를 한 집단에서 상황이야기를 한 집단보다 자원분배행동의 증가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2단계 개입에서는 직접 수혜자 경험을 했을 때 사전보다 사후에 사탕 분배 개수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즉, 유아가 자신과 타인에 대한 정서를 인식하고 직접적인 경험을 할수록 친사회적인 행동특성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관련된 변인을 탐색하고자 한 것이다. 유아의 특성을 고려한 정서이야기와 수혜자에 대한 직접경험이 유아의 자원분배행동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정서 인식과 관련된 경험이 친사회적 행동의 발달적 관련 변인으로 제안되었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emotional stories and direct beneficiary experience on prosocial behavior through evaluating early childhood resource distribution behaviors.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on 154 infants aged 3 to 5 years, and data were collected included the number of candies distributed by infants to the beneficiaries under different conditions. First, we compared the dictionary and post-mortem of the number of candies distributed by infants to others following intervention between all infants who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motional story (n=76) and contextual story (n=78) groups. Following the story intervention,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in resource distribution behavior when the beneficiary experience (n=61) was given to infants with difficulty in equitable resource distribution (five resources). Results: With in crease in age, infants’ resource distribution behavior increased, and resource distribution tended to become more equitable (five resources). In the first stage of intervention, the increase in resource distribution behavio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motional stories group than that in the other group. In the second stage of intervention, the number of candy division after death increased significantly when the child observed direct beneficiary experience. In other words, the more the infant recognized their own and others’ emotions and directly experienced theses, the more characteristics of pro-social behavior they displayed Conclusions: This study intended to explore the prosocial behavior of infants. Emotional storie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infants and direct experience with beneficiaries have been shown to affect the infants’ resource distribution behavior, suggesting that emotional recognition-related experiences are developmentally related variab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