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冊과 誥命- 고려시대 국왕 책봉문서

        정동훈(Jung Donghun) 한국사학회 2017 史學硏究 Vol.0 No.126

        이 논문에서는 五代부터 明까지 중국 왕조에서 고려국왕을 책봉할 때에 수여한 책봉문서의 서식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검토하여, 국제질 서 속에서 책봉이라는 행위가 가지는 의미를 살펴보았다. 책봉이란 중국의 황제가 제후에게 그의 封地및 관련된 권한을 인정하는 행위를 말한다. 책봉 때에는 受封者, 즉 국왕에게 冊封號를 적어 넣어 그의 권위를 상징하는 책봉문서가 수여되었다. 그 종류에는 冊과 誥命 등이 있었다. 책은 임명문서 가운데 최고 권위를 가지는 문서식으로, 중국 내에서 황후나 황태자, 諸王등 황실의 구성원들에게 수여하는 문서였다. 즉 책이란 수봉자에게 爵位를 부여하는 문서였다고 할 수 있다. 반면에 誥命․宣命은 1품에서 5품까지의 관원을 임명할 때에 쓰는 문서였다. 고명은 官職을 수여하는 문서라는 점에서 冊과는 쓰임이 뚜렷이 구별되었다. 고려국왕의 책봉문서는 오대부터 송, 거란을 거쳐 금대까지는 항상 冊이 쓰였다. 이는 고려국왕의 지위를 중국 국내의 황실 구성원과 마찬가지로 일종의 작위로 인정했던 데 따른 것이었다. 원대에는 駙馬高麗國王이라는 王爵과 함께 征東行中書省의 丞相이라는 관료제적 지위가 동시에 부여되었는데, 이에 따라 책봉문서로는 원 국내 관료들과 마찬가지로 宣命이 사용되었다. 그리고 명대에는 원의 遺制를 계승하여 국왕에게 관료 제적 지위를 부여하면서 책봉문서로서 誥命을 수여하였다. 이는 중국 왕조에서 국제질서를 구성하는 원리에 변화가 생긴 데서 비롯되었다. 12세기까지 중국은 郡國制의 논리에 따라 외국의 군주의 지위를 일종의 작위로 인정하여 자국 내의 제후와 비슷하게 바라보았다. 그러나 몽골제국에서 고려에 征東行省이라는 지방행정기구를 설치함에 따라 외국에 대해서도 국내에서와 동일한 관료제적 운영 원리를 적용할 수 있는 논리적 근거가 마련되었다. 명은 이를 적극 계승, 활용하여 고려국왕에게 부여하는 각종 제도적 위상을 자국의 고위 관료에 적용하는 그것과 거의 같게 하였다. 이를 통해 대외관계 전반에 자국의 관료제적 제도를 관철시키고자 하였던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change in the format of the investiture documents bestowed to Koryŏ King from Chinese dynasties during the 10th to 14th centuries. Through the act of investiture, Chinese emperor recognized the feudal lords’ fief and his related rights. At the time of appointment, an investiture documents such as tablet 冊, certificate 誥命, and proclamation 制書were issued. Amongst them, the one with the most authority was the tablet. The range of subjects which were given the tablet was gradually declined. A tablets can be understood as documents endowing the appointee with a title of nobility 爵位, like empress, the crown prince, and the princes. On the other hand, certificate of appointment was a document appointing all official positions. As members of the bureaucratic system, and as subjects with a bureaucratic position, they did not receive tablets. For the Koryŏ king, the tablet was always used as the document of investiture, by Chinese dynasties from the Five Dynasties period through Song, Khitan, and Jin eras. Meanwhile during the Yüan dynasty period, the Koryŏ king was invested as both the imperial son-in-law and the King of Koryŏ, while also being appointed to the seat of minister of the branch secretariat for the Eastern campaign. It should be noted that a certificates called Xuānmìng 宣命, which was different from previous investiture documents, was used for the occasion. And in the Ming dynasty, tablets were no longer used and only certificates of appointment Gàoming 誥命 were bestowed. The reason that tablets were used as appointment documents for the king of Koryŏ was because their position was recognized as a noble one, just like those of the members of the Chinese imperial family. But at the same time, the Koryŏ king was also recognized as a bureaucratic member of the Yüan government, as a minister of a branch secretariat, so they received corresponding appointment certificates as well. And during the Ming period, only one of their dual positions (the latter) was recognized. As a result, only the bureaucratic title, the certificate was bestowed to Koryŏ king.

      • KCI등재

        3년 1행인가, 1년 3행인가 - 고려-명 관계에서 사행 빈도 문제

        정동훈(Jung Donghun) 동북아역사재단 2022 東北亞歷史論叢 Vol.- No.75

        지금까지 연구자들은 명에 대한 조선의 조공과 관련하여, 홍무 연간에는 3년 1공이 행해지다가 건문 연간 이후 1년 3사로 전환되었다고 이해해왔다. 그리고 다른 외국에 비해 훨씬 빈번하게, 1년에 세 차례씩 사신을 파견한 사실은 조선과 명이 매우 밀접한 관계에 있었음을 보여주는 증거로 많이 제시되었다. 이 글은 고려-명 관계에서는 처음부터 줄곧 1년 3사가 원칙이었으며, 홍무제의 명령에 따라 아주 일시적인 예외가 있었을 뿐임을 증명하였다. 고려는 명과 관계를 맺은 이후 곧바로 1년에 세 차례, 하정사, 하성절사, 하천추절사를 파견하였다. 과거 한 세기 동안 고려가 몽골에 대해 하던 관행, 그에 앞서 고려가 거란·금에 대해 하던 관행을 그대로 명에도 적용한 것이었다. 1372년, 황제는 고려에 처음으로 3년에 한 번씩만 사신을 보내라는 명을 내렸다. 고려에서 너무 자주, 너무 큰 규모의 사신단을 파견하여 명 국내 사정을 염탐하는 것을 꺼렸기 때문이었다. 이 조치는 1383년까지 대략 10년 정도 유지되었다. 1384년에 공식적으로 복원된 1년 3행은 이후 1392년까지 큰 문제없이 지속되었다. 황제는 1393년에도 3년 1행을 지시하기는 하였지만, 이는 신흥 왕조 조선을 길들이기 위한 외교적 압박이었을 뿐이었다. 실제 이 조치는 1년이 채 되지 않아 슬그머니 철회되었다. 1397년에도 마지막으로 3년 1행 조치가 행해졌지만, 이는 황제의 죽음과 함께 자연히 무효가 되었다. 요컨대 황제는 고려 측에 불만이 있을 때마다 사신 파견 횟수를 줄이라고 명령하였던 것이다. 이후 1400년부터 양국 관계가 단절되는 17세기 초까지 1년 3행은 안정적으로 지속되었다. Researchers have recognized Joseon as a model tribute country to the Ming Dynasty. Compared to other foreign countries’ tribute intervals, the fact that envoy missions were dispatched three times a year was presented as evidence of close relationship between Joseon and Ming Dynasties. Regarding the frequency of tributes, it has been understood that in Hongwu era(1368-98), Goryeo court dispatched one envoy mission every three years, but converted to three times a year after Jianwen era(1399-1402). However, this paper proves that in the Goryeo-Ming relations, it was a principle to dispatch three times a year from the beginning, and that there were only very temporary exceptions according to the Hongwu Emperor’s order. Immediately after establishing a relationship with Ming in 1369, Goryeo set the number of regular envoy missions to the Ming capital city of Nanjing to ‘three times a year’: to celebrate the birthdays of the Ming emperor and the crown prince as well as for the lunar New Year’s Day. The practice of Goryeo in the relations with the Mongol Empire for the past century and the with the Khitan and Jin Dynasties before that were applied to the Ming Dynasty. In 1372, the emperor ordered Goryeo to send envoy missions only once every three years for the first time. This was because Goryeo was reluctant to spy on the domestic situation of the Ming Dynasty by dispatching envoy missions too often and too large. This was because the emperor suspected that Goryeo sent missions too often and too large to spy on the domestic situation of his country. This measure was maintained for about 10 years until 1383. The dispatch of envoy missions three times a year was officially restored in 1384, and continued without major problems until 1392. In 1393, the emperor ordered to reduce the frequency of envoy missions, but this was only a diplomatic pressure due to dissatisfaction with diplomacy with Joseon. In fact, this measure was withdrawn less than a year ago. In 1397, the last banning the irregular missions was taken, but it was naturally invalid with the death of the emperor. Since then, from 1400 to the beginning of the 17th century, when rel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ended, three envoy missions per year continued stably.

      • KCI등재

        『元史』 高麗傳의 史源

        정동훈(Jung, Donghun)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21 동방학지 Vol.197 No.-

        『원사(元史)』 고려전(高麗傳)은 1216년 몽골과 고려의 첫 만남부터 1322년 전후의 이른바 심왕 옹립 운동까지를 다루고 있다. 편년 기사는 세조 쿠빌라이의 재위 기간에 대해 대부분의 지면을 할애하였는데, 그 가운데서도 1278년까지가 상세하다. 이는 『원사』 고려전이 1331년 완성된 『경세대전(經世大典)』 정전(政典) 정벌류(征伐類)의 고려문(高麗門)을 토대로 작성되었고, 다시 그 자료는 1276년에 황제가 편찬을 명령한 『제국신복전기(諸國臣服傳記)』의 고려 부분을 주로 참고했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이다. 『경세대전』의 고려문을 토대로 20세기 초에 간행된 『원고려기사(元高麗紀事)』의 내용을 『원사』 고려전의 편년 기사를 대조해본 결과, 『원사』 고려전의 1276년 이전 기사는 99% 이상 『경세대전』 고려문의 내용을 생략하거나 요약하는 정도로 작성되었음을 확인했다. 1277년 이후 기사의 사원(史源)은 둘로 나뉘는데, 하나는 전과 마찬가지로 『경세대전』의 고려문이고, 다른 하나는 『세조실록』과 『성종실록』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원고려기사』에는 실려 있는 내용은 『원사』 본기에 보이지 않고, 『원고려기사』에서 확인되지 않는 정보는 『원사』 본기의 그것과 일치한다는 점이 이 추측의 타당성을 높인다. 몽골 제국은 여러 종족, 국가, 정치체들이 어떤 과정을 거쳐 자신의 판도 내에 포함되었는지를 매우 중요하게 여겼다. 이를 밝히기 위해 여러 차례 역사서를 편찬했는데, 『제국신복전기』 역시 그 일환이었다. 이 과정에서 몽골 조정은 여러 차례 고려에 양국 관계의 역사를 정리해서 제출할 것을 요구하였다. 고려 측도 이 요구에 응하여, 자신이 몽골 황실과 오랜 인연을 맺어왔으며 양국 관계는 항상 우호적이었다고 적극적으로 선전하였다. 명 건국 직후 『원사』를 편찬할 때, 명의 사관(史館)에서는 고려 측에 관련 기록을 보내달라고 하지 않았다. 그러나 고려의 주장이 반영되어 만들어진 원 대에 기록물들이 명 초 사관(史官)들의 손에 입수되었고, 그 덕택에 『원사』 고려전은 양국 관계를 갈등과 대립이 아닌 우호와 협력의 서사 구도로 묘사하였다. The Goryeo Section of the History of Yuan is an official history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ngol Empire and Goryeo. However, the time range covered here is only from 1216 to 1322. This is because this part was written based on the Goryeo section of the Administrative Codes for Ruling the World (Jingshi Dadian, 經世大典), which was completed in 1331. The Goryeo part of the Biography of Many Countries’ Surrendering (Zhugou Chenfu Chuanji, 諸國臣服傳記) compiled shortly after 1276 is the main historical source for this section. More than 99% of the contents of the articles covering the period before 1276 in the Goryeo Section were written by omitting or summarizing the Dadian, while the contents covering the period after that were based on the Annals (Shilu, 實錄) of the Yuan Dynasty. The Mongol Empire paid much attention to the ways various tribes, countries, and polities surrendered to them. Therefore, the Mongol government demanded the Goryeo court to submit a summary of the history of their relations. Using this opportunity, Goryeo actively advertised his loyalty to imperial family. Immediately after the founding of the Ming Dynasty, historians were able to refer to the records made by accepting Goryeo s arguments. Thanks to th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was described not as conflictual and confrontational, but as friendly and cooperaitve in the Goryeo Section.

      • KCI등재

        고려 사신의 몽골 잠치(站赤) 이용

        정동훈(Jung Donghun) 한국사학회 2019 史學硏究 Vol.0 No.134

        이 논문은 13세기 후반부터 14세기 후반, 고려의 개경과 몽골제국의 大都사이를 왕래하던 고려의 사절들이 몽골제국이 부설해둔 역로망, 즉 站赤를 어떻게 활용했는지를 살펴보았다. 개경과 대도 사이의 역로는 압록강 이북의 東八站을 거쳐 遼陽-瀋陽에 이른 후 서진하여 大寧을 통과하는 내륙 루트로 연결되는, 당시의 잠치 루트를 그대로 이용하였다. 개경에서 대도에 이르는 구간은 총 1,730km에 이르는데, 조선전기에서울에서북경에이르는 일반적인경로가약1,485km, 후기에는 약 1,530km였던 데 비하면 훨씬 먼 거리였다. 이 루트는 당시의 수많은 역로 가운데서도 가장 물동량이 많았던 노선 가운데 하나였다. 고려국왕은 역마 이용 증빙물인 각종 牌符와 鋪馬聖旨, 鋪馬箚子등을 부여받았으며 사신들에게 이를 발급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 당시에 다른 제왕·부마·공주들이 잠치 남용의 주범으로 지목되어 특히 성종대(1294~1307) 이후 많은 제한을 받았던 데에 반해, 고려국왕은 14세기 이후로 오히려 더 활발하게 잠치를 이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고려에서 몽골제국으로 파견되는 사절은 크게 1) 실무적·비정기적 사절과 2) 의례적·정기적 사절로 나눌 수 있는데, 각각은 구성 과정과 규모, 이동 속력 등에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양자 모두 기본적으로는 잠치를 이용하여 이동하였다. 1)의 경우 짧게는 열흘만에 개경에서 대도에 이를 수 있었으며, 2)의 경우에도 겨울에는 25일, 하루 평균 70km씩을, 여름에는 평균 30~40일, 하루 평균 50km씩을 이동하였다. 가장 대규모의 사절이라고 할 수 있는 고려국왕의 親朝의 경우에도 기본적으로는 잠치를 이용하면서도, 그밖에 소요되는 많은 비용을 遼陽과 瀋陽일대에 설치된 掃里로부터 공급받거나, 원 조정으로부터의 특별 경비 지원을 받기도 하였다. 후대와 비교했을 때 고려-몽골 사이의 사절 왕래는 압도적으로 빈번했고, 이동 속력도 최대 하루 173km에 달했으며, 비슷한 규모의 정기적 사절단이 이동했을 때의 평균 속력도 조선 시대의 그것에 비해 2~3배 빨랐다. 이는 결국 몽골제국의 잘 발달된 잠치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This study examines how the Goryeo envoys, who traveled between the two capitals of Goryeo and the Mongol Empire from the late 13th century to the late 14th century, utilized the jamchi (transport system) built by the Mongol Empire. The postal route between Gaegyeong(開京) and Daidu(大都) was almost identical to the inland jamchi network of the Mongol Empire: across the Yalu River–Eastern eight stations(東八站) - Liaoyang(遼陽) - Shenyang(瀋陽) - Daning(大寧) - Daidu. The distance of the route totaled 1,730km, while it was about 1,485km from Seoul to Beijing in the 15th and 16th centuries and about 1,530km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This was one of the most heavily trafficked routes of the Mongol Empire. Goryeo King was granted various kinds of credentials for using the jamchi by the Emperor and had the authority to issue them to his messengers. While other Princes and Lords were often restricted by being cited as the main culprits in the abuse of the postal system, Goryeo King actively utilized it after the 14th century. The envoys dispatched from Goryeo to the Mongol Empire could be divided into two types: 1) practical and non-regular envoys and 2) ceremonial and regular envoys, each showing differences in composition, size and speed of movement. However, both of them had been basically moving by using the jamchi system. 1) was able to reach Daidu in just 10 days, and 2) moved an average of 70km per day over 25 days in winter and 50km per day over 30 to 40 days in summer. When Goryeo King himself visited the Emperor, the largest delegation had moved, which required a great deal of supplies. In those cases, Goryeo migrantsgroup(sauri) set up in Liaoyang and Shenyang, or Mongol central government supported them. Compared to later years, the number of envoys between the Goryeo and the Mongol Empire was overwhelmingly frequent. And the speed of travel was up to 173km per day, two to three times faster than that of the Joseon Dynasty. This was because Goryeo envoys were able to use the well-developed the jamchi system of the Mongol Empire.

      • KCI등재

        洪武帝의 명령이 고려에 전달되는 경로

        鄭東勳(Jung Donghun) 동양사학회 2017 東洋史學硏究 Vol.139 No.-

        This study examined the process how the Hongwu Emperor’s orders were delivered to Koryŏ. At the beginning of the Ming Dynasty, there were no regulations stipulating how to document and convey the orders of the emperor. In this situation, the will of the emperor was sometimes conveyed in the form of documents, sometimes in the form of oral messages, to the neighboring country, Koryŏ court. The emperor’s orders were most commonly proclaimed in the form of an imperial edict, in the name of the Emperor. Most of the imperial edicts were drafted by the secretaries based on the orders of the emperor, but there was also a statement by Hongwu Emperor himself, called hand edict. In contrast to the former, the latter shows a much more direct expression of the emperor’s intentions. The words of the emperor were immediately transcribed by the imperial clerks. When the envoys of the Koryŏ heard the Emperor’s words, the transcript were conveyed by the envoys hands. When the Ming’s bureaucrats heard them, they were communicated to the Koryŏ government by sending an official document citing the emperor’s orders. The latter was one step further embellished than the former, so the emperor’s will was transmitted vividly. There was also a way of oral delivery of the emperor’s orders. It is a way for the envoys of Koryŏ or Ming to convey the Emperor’s words to Koryŏ court without being transferred by letter. The route through which the emperor’s command is delivered can be summarized in five ways: 1) Oral message, 2) Transcript, 3) Official document, 4) Hand edict, 5) Imperial edict. Among them, the emperor’s will can be expressed most directly by 1) oral message. As the latter goes, the emperor’s remarks became more and more refined through more procedures, sometimes decorated with diplomatic rhetorics, and the emperor’s intention was gradually hiding behind the writings. On the other hand, 1) oral message had the possibility that the memory of the messenger was inaccurate, and that the envoy would arbitrarily distort it. The emperor’s words could be expressed more clearly and logically as it went by going through the various procedures.

      • 사전노출과 배경음악은 가상현실 공포감을 증가시킬까?

        정동훈(Donghun Chung),김수연(Su Yeon Kim),함중일(Jung Il Ham),정택영(Taek Young Jung),유가람(Ga Lam Yu) 한국HCI학회 2019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2

        본 연구는 가상현실 공포 게임에서 게임의 스토리가 담긴 영상의 사전노출 여부와 공포스러운 배경음악의 사용여부에 따른 사용자의 공포감의 차이를 실험연구로 조사했다. 게임은 Richie`s Plank Experience 의 Nightmare 모드를 사용했으며 사전영상은 Richie`s Plank Experience 의 게임 플레이 영상을 편집한 것과 일반적인 가상현실 게임 영상을, 그리고 배경음악은 공포영화 Insidious 에서 사용된 노래와 배경음악이 없는 환경을 만들었다. 2*2 팩토리얼 디자인으로 각 셀 당 20 명씩 총 80 명을 무작위 할당하여 실험한 결과, 공포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선행연구 결과와 달리 집단간 차이를 보이지 않은 이유는 게임 자체의 공포감이 높았다는 점과 효과음 때문에 배경음악 효과 유무 간 차이가 명확하지 않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비록 연구결과가 집단 간 차이를 가져오지는 않았지만, 본 연구는 선행 연구가 거의 없는 가상현실 게임의 영상사전노출 효과와 배경음악 효과를 다뤘다는 점에서 초기 연구의 의미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송사(宋史)』고려전(高麗傳)의 사원(史源)

        정동훈(Jung Donghun) 동북아역사재단 2023 東北亞歷史論叢 Vol.- No.82

        송은 정치 과정에서 일어난 모든 사안을 기록하고 관련 문서를 정리하여 여러 단계의 역사서를 편찬하였는데, 기거주(起居住), 시정기(時政記), 일력(日曆), 실록(實錄) 등이 그것이다. 그리고 송은 기전체(紀傳體)의 역사서인 국사(國史)를 총 네 차례에 걸쳐 편찬하였는데, 여기에는 고려 열전이 실려 있었다. 『송사』고려전은 역대 국사 고려전의 내용을 그대로 옮긴 것이다. 이는『문헌통고(文獻通考)』고구려 항목의 송 대 부분 서술과 『송사』고려전의 내용이 거의 일치하는 데서 알 수 있다. 따라서 『송사』고려전에 반영된 고려에 대한 시각과 인식은 송의 역대 국사 편찬자들의 관점을 거의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고 해도 좋다. 그런데 송의 역대 국사는 주로 고려와의 통교에 반대했던 구법당(舊法黨) 계열 인사들의 인식을 반영한 것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송사』 고려전은 주로 고려가 거란이나 금에 대해 연합을 제의했던 송에게 비협조적 태도로 일관했던 일, 고려와의 통교 때문에 송이 겪었던 폐해 등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즉 전반적인 서술에 고려에 대한 부정적 묘사와 비평의 관점이 깔려 있었던 것이다. 고려의 송과의 외교관계에 대한 현대의 연구는 대체로 고려의 외교가 ‘실리적’이었다고 평가한다. 이러한 평가는 어쩌면『송사』고려전에 담긴, 고려의 실리 추구를 비판적으로 바라보았던 송의 역사학자들의 평가를 뒤집어 수용한 것인지도 모른다. The Song Dynasty undertook the meticulous compilation of multilayered historical records, encompassing a comprehensive account of political developments and the systematic organization of associated documents. This compilation comprised various categories, including Diaries(日曆), Memoirs(備忘錄), Monthly Political Reports(時政記) and Veritable Records (實錄). Furthermore, the Song Dynasty produced a series of four National Histories (國史), complete with chronicles and biographical content, and sequentially compiled sections within these historical volumes to describe their diplomatic interactions with the neighboring Goryeo dynasty. Notably, the Goryeo section in the History of Song corresponds extensively with the Goryeo segment in the National Histories. This alignment is substantiated by the remarkable congruence between the Goryeo entries found in encyclopedias contemporaneously compiled. Consequently, the Goryeo section within the History of Song predominantly mirrors the historical perspectives and interpretations of Goryeo as perceived by Song Dynasty historians. However, the Song Dynasty’s historical account of Goryeo is widely regarded as a representation of the viewpoints held by conservatives who opposed diplomatic and trade relations with Goryeo. As a result, the Goryeo section in the History of Song primarily emphasizes Goryeo’s uncooperative stance towards the Song Dynasty, particularly concerning the proposal for a coalition against the Khitan Empire and Jin Dynasties. It highlights the challenges and difficulties that the Song Dynasty faced in its interactions with Goryeo. In essence, the overarching narrative adopts a critical and negative portrayal of Goryeo, emphasizing its perceived hindrance to Song Dynasty interests. Contemporary analyses of Goryeo’s diplomatic interactions with the Song Dynasty typically portray Goryeo’s diplomacy as ‘pragmatic.’ This assessment can be seen as a departure from and an acknowledgment of the Song historians’ critical appraisal of Goryeo’s pragmatic approach, as documented in the Goryeo section of the History of Song.

      • KCI등재

        몽골제국의 붕괴와 고려-명의 유산 상속분쟁

        정동훈(Jung Donghun) 역사비평사 2017 역사비평 Vol.- No.121

        The founding of Chosŏn Dynasty has an inseparable relation with the international situation change of the late 14th century, that is, the Mongolian hegemony collapsed and the Ming Dynasty replaced it. Koryŏ suffered a serious conflict during the 25 years of coexistence with the Ming Dynasty, which was basically about how to inherit or liquidate the legacy of the Mongol Empire. e Mongol empire increased the size of ‘China’ and raised its status in comparison with the previous period of Song and Jin Dynasties. And the Ming Dynasty wanted to inherit it. In the ritual dimension Koryŏ took the same attitude that was seen in the past Mongol empire. On the other hand, they tried to pursue their interest to real issues such as territory and population. As a result, the two countries concluded the inheritance dispute: at the ritual level, they recognized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 and at the practical level, to clearly divide the jurisdiction and the population. The basic framework has been largely followed in the laster Chosŏn-Ming relationship.

      • 머리 회전속도는 사이버 멀미에 영향을 줄 것인가?

        정동훈(Donghun Chung),이재석(Jae Suk Lee),최영인(Young In Choi),임정원(Jung Won Lim),최준우(Jun Woo Choi),조한솔(Han Sol Jo) 한국HCI학회 2019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2

        가상현실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여겨지는 사이버 멀미감을 해결하기 위해 여러 방면으로 연구가 이뤄지고 있는데, 그 중 하나가 머리의 움직임이다. 머리의 회전 속도가 빠른 행동을 자주 할 경우 그만큼 사이버 멀미감이 증가하기 때문에 이를 최소화 하는 식이다. 본 연구는 사용자가 가상현실 콘텐츠에 반응하는 머리 회전 속도가 사이버멀미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연구했다. 머리의 축을 따라 수평과 수직 방향 그리고 1 초 혹은 3 초를 응시하면 사라지는 도형을 없애는 게임을 통해 참가자들이 머리움직임의 속도를 조절하도록 유도하였다. 실험결과 그룹간 부분적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HMD 착용자가 머리를 빠르게 움직일 경우 사이버멀미가 높아진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콘텐츠를 제작하는데 있어 사이버 멀미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빠르게 사용자의 머리를 움직이게 해서는 안 된다는 사실을 밝혔다는 점에서 함의를 갖는다.

      • KCI등재

        홍무 5년(1372) 명 태조의 고려에 대한 의심과 ‘힐난 성지’

        丘凡眞 ( Koo Bumjin ),鄭東勳 ( Jung Donghun ) 명청사학회 2021 명청사연구 Vol.- No.55

        Zhu Yuanzhang 朱元璋, or Ming Taizu 明 太祖, gave a speech of denunciation to the Goryeo envoys sent by King Gongmin 恭愍王. This took place in the twelfth lunar month of the fifth year of the Hongwu 洪武 reign, or in mid-January 1373. The emperor exploded in rage, claiming that Goryeo killed his eunuch envoy he had sent earlier in the year. He also expressed his suspicions about Goryeo providing crucial military information to Naghachu, the famous Mongol warlord in Manchuria. Naghachu had in fact quite recently launched a surprise attack on the Ming troops stationed in the Liaodong peninsula in December 1372. In extreme anger, Zhu Yuanzhang went so far as to threaten a large-scale attack on Goryeo in the future. Historians have, up until now, interpreted this speech of denunciation as a significant turning point when the relationship between Ming and Goryeo suddenly soured and began deteriorating rapidly after having maintained a friendly relationship since the establishment of formal diplomatic relations in 1369. This paper presents an alternative interpretation to this conventional reading by re-reading and re-analyzing the imperial speech and paying close attention to the historical incidents from the spring of 1372. Our analysis shows that Zhu Yuanzhang began to suspect as early as the spring of that year that Goryeo was attempting military espionage activities in the Liaodong region. The emperor’s suspicions were strengthened by various incidents throughout the year. It must be noted that Zhe Yuanzhang was frustrated by a painful military setback against the Northern Yuan in the same year, and he seemed to realize that Goryeo should be seen as a competing force, rather than an ally when it came to the Ming advance to the Liaodong region. Goryeo was laying its own claim to the Mongol imperial legacy in the region at that time. As the military situation in the north turned unfavorable, the Ming emperor had sufficient reasons to be worried about Goryeo joining forces with Mongol. However, Zhu Yuanzhang could not simply sever the relationship with Goryeo in retaliation without any solid evidence to support his brewing suspicions. Therefore, Yuanzhang’s speech should be read as a precautious warning towards Goryeo, rather than an irreversible turning point in the breakdown of the diplomatic relationship that came later in 1375 after King Gongmin’s assassination in the autumn of 1374.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