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포항지역의 농지개간과 지역사회 변화- 포항 초곡리유적을 통해 본 신라의 농지개간 문제

        차순철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4 한국고대사탐구 Vol.16 No.-

        <Silla Monument in Naengsu-ri> found in Singwang-myeon in Pohang is the relic that clearly shows the property related disputes among local residents appearing in the course of social development in the Silla Dynasty during the Three States Period. Also, the study on recently investigated <Silla Monument in Jungseong-ri> showed that the conflicts between local residents similar to the disputes that took place earlier had continued to appear in Pohang area, and the disputes were settled in the trials given by the central authority and <Order>, the result of the trial. Although there are many opinions about what caused the dispute in Pohang at the time, the characteristics and definition of <Property> appearing in <Silla Monument in Naengsu-ri> are important, and there are still controversies about them while a number of opinions were given. This study intends to probe into the possibility that the characteristic of <Property> appearing in <Silla Monument in Naengsu-ri> is the land to which the right of receipt is newly given through the farmland development in Pohang area at the time. The remains that draw attention in relation to this are the Chogok-ri remains in Pohang. The excavation confirmed that the farmland was developed in the valley area during the 6th~7th centuries and the oxen were used in farming, and it shows that new farmland development, ox-driven plow, and iron farming tools spread widely to suburban regions of Silla at the time. Chogok-ri remains in Pohang are dated more or less later than the erection of the <Silla Monument in Naengsu-ri>, however, is considered as the source that can be referred to in estimating how the farmland was developed in Pohang during the Three States Period, and it would be possible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Property> more clearly if the remains related with farmland development dated earlier than the said period are found in the future. 포항 신광면에서 발견된 <냉수리 신라비>는 삼국시대 신라의 발전과정에서 나타난 지역주민들의 재산과 관련된 분쟁모습을 잘 보여주는 자료로 당시 신라사회의 발전과정을 보여주는 자료이다. 그리고 최근 조사된 <중성리 신라비>에 대한 연구 결과 앞서 일어난 분쟁과 유사한 지역민 사이의 다툼이 포항지역에서 계속되고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중앙의 재판과 그 결과인 < >를 내림으로써 분쟁을 해결하고 있다. 당시 포항지역에서 일어난 분쟁 원인에 대해서는 여러 의견이 있지만 <냉수리 신라비>에 나타난 < >의 성격과 규정이 중요하며, 이에 대해서 여러 의견이 이미 개진되어 있지만 아직 논란이 진행되고 있다. 본 글에서는 <냉수리 신라비>에 나타난 < >의 성격을 당시 포항지역에서 이루어진 토지개간으로 인해 새롭게 수취권이 만들어진 토지일 가능성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이와 관련하여 주목되는 유적은 포항 초곡리유적이다. 발굴조사 결과 6~7세기대에 계곡지역을 논으로 개간하고 이후 농경을 하면서 소가 사용된 모습이 확인된 점은 당시 신라 안에서 새로운 토지개간과 우경과 철제 농기구의 보급이 지방까지 폭넓게 이루어졌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생각된다. 포항 초곡리유적은 <냉수리 신라비>의 건립시기와 비교할 때 다소 늦은 시기의 유적이지만 삼국시대 포항지역에서 , 이뤄진 농지 개간의 모습 일부를 추정할 수 있는 자료로 생각되며, 향후 보다 이른 시기에 이루어진 농지개간과 관련된 유적이 확인되면 < >의 성격을 보다 분명하게 밝힐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출토유물로 살펴본 경주 성건동 창고유적

        차순철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21 불교문예연구 Vol.- No.17

        고대 국가에서 가장 중요한 재원은 조세로 거둔 곡물이며 이를 보관하기 위한 창고는 주로 산성 등에서 확인되고 있다. 당시 금석문과 산성에서 출토된 목간 내용으로 볼 때, 사찰 안에 창고가 존재했고, 산성 내 창고에는 보리와 같은 곡물을 60섬(石) 단위로 일정하게 관리했음을 알 수 있다. 이번에 경주 성건동 500-18번지 유적에서 조사된 다 수의 대호를 매납한 대형 건물지는 삼랑사 안에 마련된 창고로 장류와 같은 액상식품과 쌀 등을 보관하던 창고로 추정된다. 성건동 창고유적에서 확인된 대형 창고는 <매호식 건물>로 구분되며 건물 안에 대호를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해서 일정한 높이로 흙을 성토한 부분이 존재하고 있는 점이 특징이다. 이 성토부에서는 대호를 절반 정도 묻어둔 모습과 파손된 대호를 수시로 교체한 모습이 확인되며, 대호 위에 토제 뚜껑을 사용한 점은 저장물에 대한 보관관리가 상시적으로 이루어 졌음을 알려준다. 창고 유적에서 출토된 국자는 청동제와 목제 또는 조개껍질로 만들어 사용했는데, 보관중인 저장품이 변질되지 않도록 관리하기 위해서 필요에 따라서 다른 재질의 국자를 사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대호 안에서 출토된 숯으로 보아 삼국시대부터 장류를 담글 때 백탄을 사용했을 가능성이 있다. 이는 당시 식생활 모습을 살펴보는데 있어서 중요한 단서가 될 것이다. 당시 창고유적과 비교한 결과 경주 성건동 500-18번지 유적의 창고건 물은 삼랑사와 관련된 저장시설로 생각되며, 당시 황룡사, 실상사 등 당대 사찰 내 위치한 창고 모습을 알려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그리고 이러한 창고가 운영되기 위해서는 국가나 관청의 관리가 존재했음을 알려주므로, 향후 조사가 확대된다면 창고의 구조에 따른 차이가 확인될 것으로 판단된다. The building site with a number of buried large jars examined at the site located in Seonggeon-dong, Gyeongju is estimated to be a storage of liquid goods and rice. It is a <Jar Burying Building>, which mounded soil to a consistent height inside the building and buried large jars. Large jars, half buried in the mounded layer of the building, were replaced once broken, and earthen lids were placed on the jars to store and manage the stored items. The Ladles excavated from the site were made of bronze, wood, or shell, and ladles of different material were used as necessary to make sure the stored material is not deteriorated. The charcoal found inside the jars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fine charcoal could be used to prepare sauces from the Three States Period. The contents of epigraph and wooden tablet from the period indicate that the storage was inside a temple and crops such as barley were managed while uniformly divided by 60 sacks (石). In this respect, the storage at the site located in Seonggeon-dong, Gyeongju is presumed to be the storage facility related with Samnangsa Temple and shows the image of the storage inside the temple at the time.

      • KCI등재후보

        삼국시대 기와의 쐐기분할기법에 대하여

        차순철 한국기와학회 2022 한국기와학보 Vol.6 No.-

        According to the observation of the splitting traces on the side of the early Silla Dynasty roof tiles excavated from the moat of the Wolseong Fortress in Gyeongju, there was a new finding that the second separation process was performed by cutting the side and then sticking the cut side with a wedge, unlike the commonly known method. This technique was named the <Wedge Splitting Technique> by emphasizing the shape of the wedge remaining on the cut side, and similar cases and time of use was estimated. Silla’s roof tiles that used the wedge splitting technique were mostly togi guyeon ammaksae (roof-end tiles with earthenware strip around the rim), which were presumed to be the first roof-end tiles, and some convex roofing tiles. Considering that the wedge splitting technique was not confirmed with the earthenware artifacts excavated from the Earthenware Kiln No. 3 in District C-I-2 of Gyeongju Songok-dong and Mulcheon-ri Sites where togi guyeon ammaksae were produced, whether this technique was used or not may reflec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ile-making groups and the limitation of tile use at the time. It is presumed that the wedge splitting technique was used to smoothen the side of the tile during the production of tiles at the time, and considering that it was mainly excavated from the moat of the Wolseong Fortress, Crown Prince Palace, and the Wolji Site,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tiles were used exclusively. Considering that various types of short stamped roof tiles, including short stamped roof tile with the inscription of ‘Uibong 4 Nyueon Gaeto (儀鳳4年開土),’ which was produced in the 19th year in King Munmu’s reign (679) immediately after the unification of three kingdoms, were trimmed several times on the sides to erase the splitting trace, it is presumed that the production of roof tiles in Silla around the sixth century was divided into general splitting and additional splitting works. And the use of this specific technique is thought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tile-making group. 경주 월성해자에서 출토된 신라 초기 기와 중 무와통작법과 모골와통작법으로 제작된 기와의 측면부의분할흔적을 관찰한 결과 일반적으로 알려진 분할방법과 달리 추가로 2차 작업을 한 분할기법이 새롭게 확인되었다. 이 기법을 와도분할면에 남아있는 특징에 주목하여 <쐐기분할기법>으로 명명하고 유사사례와사용시기를 추정하였다. 신라기와 중 쐐기분할기법이 사용된 것은 대부분 최초의 암막새로 추정된 토기구연암막새와 일부 미구기와 등이다. 당시 토기구연암막새가 생산된 경주 손곡동‧물천리유적 C-Ⅰ-2지구 3호 토기요지 출토품에서 쐐기분할기법이 확인되지 않은 점으로 볼 때, 이 기법의 사용여부는 당시 기와제작집단과 사용처가 한정될 가능성을 보여준다. 쐐기분할기법의 존재는 당시 기와생산과정에서 기와 측면부를 매끈하게 만들기 위한 시도로 추정되며, 월성해자와 동궁과 월지유적에서 주로 기와가 출토된 점은 기와 사용처가 제한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삼국통일 직후인 679년(신라 문무왕 19)에 생산된 ‘의봉4년개토’명 단판타날기와를 비롯한 여러 종류의 단판타날기와는 측면을 여러 차례 다듬어서 와도분할흔적을 지운 모습이 확인되는 점으로 볼 때, 이미 신라는 6세기에 기와를 생산하면서 일반적인 분할작업을 사용한 것과 추가적인 작업공정을 한 것으로 구분했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이러한 특정기법의 사용은 기와를 제작한 와공집단의 특징을 반영한 모습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