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몽골과 북한에서의 전환기 정의(Transitional Justice): 유형적 연계성과 후기공산사회에서의 정치변동의 관점에서

        허만호 한국몽골학회 2019 몽골학 Vol.0 No.56

        Despite Mongolia’s successful "Democratic Revolution," the "settling of past accounts" has not be so successful. "The Law on Rehabilitation and Granting of Compensation to Victims of Political Repression" has restored the impaired reputation of about 31,000 victims and compensated rare survivors or remaining family members. However, there has been no identification or punishment of the perpetrators and originators of such crimes against humanity from the previous socialist regime. The aggressive and sadistic ruling behavior of Kim Jung-un in North Korea does not bode well for long-term dynastic survival. Thus, preparations are needed for radical or gradual political change in North Korea, including a focus on the national reunification of Korea. "Transitional justice" will be an essential component for establishing the identity and legitimacy of a unified Korean society, and will require investigating the crimes against humanity committed under the socialist regime and Kim dynasty, identifying and punishing the perpetrators, and providing reparation for the many victims. Accordingly, the current research identifies references from the Mongolian case as regards the typical connectivity and political change in a late-communist society. Restraining actual human rights violations is a prerequisite for instituting transitional justice. In the case of an illegal system, all related documents will be crucial evidence. Therefore, such documents should not be destroyed or lost during the reunification process. In a unified Korean society, the general impact of transitional justice, identity, and legitimacy will be key considerations. Thus, “settling past accounts” should not cause new conflicts. 몽골의 성공적 “민주혁명”에도 불구하고, “과거청산”은 그렇게 성공적이지 못하다. “정치적 탄압 희생자들 복권 및 보상 법”에 따라 약 31,000명의 희생자들에게 명예회복을 해주었고, 소수의 희생자 본인들이나 유족들에게 보상을 해주었다. 그러나 구 사회주의체제 하의 반인도적 범죄들에 대해 가해자들과 창안자(創案者)들에 대한 규명이나 처벌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북한 김정은의 공격적이고 가학적인 통치행태는 장기간의 왕조(王朝)적 생존을 예상하기 어렵게 한다. 따라서 북한의 급격한 정치변동 뿐만 아니라 완만한 정치변동에 대해서도 한민족의 통일에 초점을 두면서 대비(對備)해야 된다. “전환기 정의”는 통일된 한국사회에 정체성과 정통성을 세우는 데 핵심적 내용이 될 것이며, 사회주의체제-김 씨 왕조 하에서 자행된 반인도적 범죄들에 대한 조사와 가해자들 규명 및 처벌, 많은 희생자들에 대한 배상을 요청하게 될 것이다. 그래서 본 연구는 유형적 연계성과 후기공산사회에서의 정치변동의 관점에서 몽골 사례를 통해 준거를 얻고자 한다. 전환기 정의를 세우기 위해서는 현재의 인권유린을 억제하는 것이 필수조건이다. 불법체제의 경우, 모든 관련 문서들이 결정적 증거가 된다. 따라서 그 문서들이 통일과정에서 파괴되거나 유실되지 않도록 해야 된다. 통일된 한국사회에서는 전환기 정의, 정체성, 정통성의 전체적 영향이 핵심적인 고려사항이 될 것이다. 따라서 “과거청산”이 새로운 갈등을 야기하지 않도록 해야 된다.

      • KCI등재

        평화체제의 구축과 남북한 협력: 협상론과 제도적 구속성의 관점에서

        허만호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2019 국제정치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판문점선언과 평양선언을 분석하고, 6·25전쟁 종전선언과 현재의 휴전체제 전환과 관련된 유의점들을 규명하였다. 비대칭 협상의 특성을 지닌 양대 선언에 북한은 임의적 해석을 위해 뿌리 깊은 “원칙 합의” 전술을 사용하였다. 한국의 일방적 “교류·협력”은, 북한정부의 임금갈취 시스템에 대한 시정이 없기 때문에, 북한주민들에게 1/20에 그치는 불리한 경제적 파급효과를 낼 것이 확실시 된다. “9월 평양공동선언”은 이산가족 문제에서 제도적 후퇴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선언들을 살라미(salami) 전술과 양보의 가역성(可逆性) 면에서도 검토하였다. 휴전체제의 전환과 관련하여 휴전(정전)협정의 명칭, 대체의 당위성, 한국의 당사자 및 전환의 형식 문제에 대해 검토한 뒤에, 제도적 구속력의 확립을 제안하였다. 한반도 평화체제를 완성하기 위해서는 김대중 정부 이후의 모든 남북 합의들을 1991년 남북기본합의서의 기초 위에 결합시켜야 된다. 이 제도적 장치의 구속성에 대한 중국과 미국의 보증이 전쟁 억제력을 강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북한의 정치·사회적 변화 없이 평화협정이라는 서면(書面)협정으로의 단순 대체에 기초한 평화체제는 형식논리만 갖춘 허상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This research examines the two joint declarations from the inter-Korean summit talks at Panmunjom and in Pyongyang, and highlights attention points related to “the declaration to end the Korean War” and transformation of the current armistice regime. In both declarations, which have features of asymmetric negotiation, North Korea applies its deep-rooted tactic of “agreement in principle” for arbitrary interpretations. Meanwhile, the South Korean one-sided “exchanges and cooperations” will surely have a detrimental economic ripple effect on the North Korean people at 1/20 due to the lack of any adjustment for the current governmental wage extortion system in North Korea. Plus, the “Pyongyang Joint Declaration of September 2018” exhibits a retrogression of institutionalization on the question of dispersed families. This research also examines the declar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salami tactics and concession reversibility. Moreover, as regards transforming the current armistice regime, the name of the agreement (armistice/truce), appropriateness of replacement, question of South Korea as a legal party to the agreement, and mode of transformation are all reexamined, while also proposing ensuring institutional binding force. To accomplish a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all the inter-Korean accords since the Kim Dae-jung administration need to be combined based on the Inter-Korean Basic Agreement in 1991. The deterrence of war can also be strengthened by Sino-American assurances of the binding force of the institutional apparatus. However, without North Korea’s socio-political change, a peace regime based on simply replacing the paper agreement, i.e. Peace Agreement, is just an illusion fortified with formal logic.

      • KCI등재

        김정은 집권 10년과 북한 주민들의 식량권 : Entitlement와 R2P의 관점에서

        허만호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2022 국제정치연구 Vol.25 No.4

        유엔 사회권규약의 당사국으로서, 북한당국은 “식량의 생산, 보존 및 분배의 방법을 개선” 하여 북한 주민들을 “기아로부터 해방” 시켜야 할 책무가 있다. 그러나 북한에서는 소위 “고난의 행군”(1995~1998) 시기에 대규모의 아사자(餓死者)들이 발생한 이후에도 지금까지 아사및 영양실조에서 비롯된 병사(病死)에 대한 보고가 계속되고 있다. 본 논문은 그 원인을 “식량 총공급량의 감소”(FAD)뿐만 아니라 아마르티아 센(Amartya Sen) 교수가 주창(主創)한“식량 접근권의 감소”(FED)라는 관점에서도 규명하고 있다. 북한 주민들의 식량권에 FAD와FED 모두가 작용하고 있음에도 김정은은 집권 10년간에 어느 것도 극복하지 못했다. 본 연구는, 한국을 비롯한 국제공동체의 효과적인 보호책임(R2P) 이행을 모색하기 위해 북한 주민들의 식량권에 대한 지속적인 침해가 북한의 경제・사회체계(systems)에 가져온 변화와 정치체제(regime)에 가해질 충격, 그리고 그에 따른 인권상황에 대한 영향을 후기공산주의사회의 이원적 분화와 시민사회의 등장 및 정치변동의 관점에서 베트남, 중국, 몽골 사례를 준거로 하여분석하고 있다.

      • KCI등재

        Political Change and Transitional Justice in Mongolia and North Korea: Determinants of Feature and Typological Connectivity

        허만호 인하대학교 국제관계연구소 2020 Pacific Focus Vol.35 No.3

        The current study examines the transitional justice experience in Mongolia and identifies possible points of reference for the North Korean situation. As transitional justice is a process with various potential features at different time points, the case of Mongolia is examined from a typological perspective, which is also useful to overcome the lack of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information. In terms of the implementation type of transitional justice, the Mongolian case was centered on victim relief, as the social atmosphere was regrettably complicit in ignoring or denying the wrongdoings of the past. Moreover, most of the variables for successful transitional justice were weak or disadvantageous, as determined by the rapport de force and weak civil society after the passive, so‐called “Democratic Revolution” in 1990. Albeit, the case of Mongolia represents a positive reference for a potential transition to democracy and transitional justice in North Korea, even though the current conditions do not satisfy the necessary requirements. Furthermore, the probability and mode of North Korea's transitional justice will unavoidably depend on its “transition to democracy” based on its civil society and dichotomous social differentiation in the late‐communist stage. Therefore, this paper contradistinguishes the situations in Mongolia and North Korea to determine the likelihood of political change in North Korea and then identify the absent and distorted elements for any related transitional justice.

      • KCI등재

        6・25전쟁 민간인 납북자 문제와 휴전회담: 납북자 명부와 휴전회의록 분석

        허만호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13 동서연구 Vol.25 No.3

        With the approach of the 60th anniversary of the Korean War Armistice, the issue of the South Korean civilian abductees must be resolved in order to bring institutional closure to the Korean War. As such, this question can serve as a starting point and criterion for the improvement of inter-Korean relations. There is substantial evidence proving that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planned to abduct significant numbers of South Korean civilians during the Korean War. Yet, such evidence is only partial and indirect. However, the general trend of abductions by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can be inferred from information on 96,013 abductees from five different lists, including the date, location, age, and profession, in relation to the North Korean invasion plan. The reasons for the persistence of the issue of South Korean civilian abductees originate from the fact that the Korean War ended without victory or defeat, and the self-legitimized behavior of the North Koreans based on their militant ideology. Notwithstanding, the key difficulties involved in resolving this issue are inherent from the Armistice Talks. 6‧25전쟁 휴전 60주년을 맞는 현 시점에서 전시 민간인 납북자 문제는 전쟁의 제도적 종결을 위해서도 해결되어야 할 과제이지만, 남북한 관계개선의 출발점이며 측정지표가 되어야 한다. 북한당국이 6․25전쟁 기간에 대규모의 남한민간인 납치‧납북계획을 가지고 있었던 사실을 증명할 수 있는 증거들은 여러 가지가 있다. 그런데 현재까지 발굴된 명단들 중에서 다섯 가지 명단 상의 납북자 96,013명을 북한의 침공계획 변화에 따른 납치 대상자들의 변화, 납치 시기와 장소, 피랍자들의 연령과 직업 등을 통해서 보면 전체적인 추세를 파악할 수 있고, 북한당국의 총체적 계획에 따라 납치가 자행된 것을 알 수 있다. 문제의 근원은 6․25전쟁이 승/패가 가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종전되었고, 정통성을 스스로 부여하며 모든 비전통적․비인도적 행위도 스스로 정당화시키는 공산측의 이념투쟁에 있다. 그러나 휴전협상 과정에 본 사안의 해결책을 찾기 어렵게 한 부분이 있었던 것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