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esearch Trends and Future Academic Goals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in Korea

        창덕(Changdeog Huh) 한국직업재활학회 2008 職業再活硏究 Vol.18 No.1

        본 연구는 직업재활의 학문적 성과를 알아보고 과학으로서의 직업재활의 발전방향을 모색하고 있다. 먼저, 지난 1991년부터 2006년까지 [직업재활연구]에 수록된 논문 200 여 편에 대하여 연구주제 및 연구방법을 분석하고 그 동향을 살펴보는 한편, 직업재활의 발전에 있어 필수적인 요소하고 할 수 있는 연구인력의 저변이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나아가 재활과학이 앞으로 학문적 발전을 이룩하기 위해 지향해야 할 방향성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 있다: 1) 사회학을 비롯한 다른 인문사회과학과의 교류를 통하여 직업재활의 이론적 영역을 보다 확장시킬 필요가 있다: 2) 연구주제와 관련하여 직업재활의 제도적 차원 및 사회문화적 맥락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3) 양적 연구방법을 이용한 연구 성과물에 비해 질적 연구방법을 이용한 연구성과물이 상대적으로 미약하다. 따라서 재활과학의 발전을 위해서는 양 방법론의 균형된 발전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ssess the development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science in Korea and to suggest the future direction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research and practice. The two-hundred and six articles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research question. This study found: 1)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authors from different academic disciplines and professional backgrounds, 2) diversity in subject matter, and 3) a shift to empirical and statistically-based methodologies. These trends suggest that the theoretical base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science in Korea is being strengthened through the incorporation of relevant theories from other disciplines and the experiences of practitioners in the field. The author recommends that the discipline should continue to include the advantages gained by the interdisciplinary exchanges and to further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vocational rehabilitation and its socio-cultural context.

      • KCI등재
      • KCI등재

        Reconsidering Framing Perspective in Social Movement Studies

        Huh, Chang-Deog(창덕)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8 人文硏究 Vol.- No.54

        어빙 고프만(Erving Goffman)의 틀(frame) 개념이 학계에 소개된 이래, 틀(frame) 개념은 사회학이나 심리학의 영역을 넘어 여러 분야에 걸쳐 인문 · 사회과학자들의 주목을 받아왔다. 특히, 프레이밍 관점(framing perspective)은 지난 20 여 년 동안 사회운동 및 사회문제의 연구에 주도적 패러다임으로 성장해 왔다. 본 연구는 프레이밍 관점(framing perspective)의 내용과 그 동안의 성과 및 한계를 먼저 살펴보고, 프레이밍 관점의 발전 방향을 이론적으로 논의해 보고자 하였다. 요컨대, 필자는 사회운동의 형성과 발전, 그리고 결과라고 하는 운동의 사이클에 있어서 사회문화적 특성이 미치는 영향을 강조하고, 프레이밍 연구자들이 앞으로 거시 맥락으로서의 문화적 환경에 보다 많은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고 있다. The social movement framing perspective has been the one of most important and popular paradigms for social movement scholars over the last 20 years. Despite this fact, the framing perspective has been criticized in several ways. The first criticism focuses on the interpersonal culture of framing, which is too focused on the micro-context within the movement. The second criticism of the framing perspective relates to the use of elite-centered models. While meaning is conceptualized as the negotiated product of an interactive process, as a practical matter the empirical work largely ignores rank-and-file “reception” of frames and emphasizes cognitive, social psychological, and elite-driven constructions. The third criticism of framing focuses on the range of the framing perspective, which includes only local interpretation and grassroots meanings. All three criticisms could be responded to in part by adjusting the framing perspective to bring in the wider cultural context. There is a need for wider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on a societal level and thus framing analysts need to link framing processes to cultural environments.

      • KCI등재

        중국 장애인의 소외의식에 관한 연구

        창덕(Changdeog Huh) 영남대학교 중국연구센터 2017 중국과 중국학 Vol.- No.31

        본 연구는 중국 장애인들의 소외의식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을 검토하여 장애인들이 갖는 소외의식의 심각성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장애인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장애특성을 영향변인으로 하여 각 유형별 소외의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자료수집은 중국 강소성 소재의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총 522부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기술분석, t-test와 다변량분산분석, 그리고 Logistic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소외의식 유형별 수준에서는 대인소외, 직무소외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둘째, 중국 장애인들의 대인소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별, 연령, 거주지유형, 가정형편 및 장애유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국 장애인들의 직무소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별, 월수입, 종교 유무 및 장애유형인 것으로 드러났다. 넷째, 중국 장애인들의 정치경제적 소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별, 거주지유형, 종교유무 및 장애유형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중국 장애인들의 사회문화적 소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별, 연령, 종교유무 및 장애유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연구대상자들의 소외의식 심각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월소득, 가정형편, 종교유무, 장애유형, 대인소외, 직무소외 및 사회문화적 소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discuss and explore the causes of alienation of those disabled persons in China. For this purpose, a survey questionnaire was given to 522 disabled persons from seven cities located in Jiang-Su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SPSS which applie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MANOVA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 the following findings, firstly, gender, age, residence, family circumstances and disability types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on interpersonal alienation. Secondly, gender, income, religion and disability types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on work alienation. Thirdly, gender, residence, religion and disability types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on political-economic alienation. Fourthly, gender, age, religion and disability types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on socio-cultural alienation. And lastly, amo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 recognition on the seriousness of alienation, work alienation has the biggest leverage on alienation, followed by socio-cultural alienation, religion, disability types, family circumstances and income.

      • KCI등재

        일반논문 : 지역사회운동에 있어서 운동프레임과 카운트 프레임의 형성과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군포 쓰레기소각장 반대운동 사례를 바탕으로

        창덕 ( Chang Deog Huh ) 한국환경철학회 2013 환경철학 Vol.0 No.15

        한국사회에 있어서 환경문제는 그동안 급격한 산업화와 함께 상당히 우려할 수준에 도달해 있었지만, 민주화라고 하는 정치적 화두에 가려 주목 받지 못하다가 1987년 민주화 항쟁이후 사회적 이슈로 주목 받기 시작했다. 운동전문단체의 국가단위의 환경운동과 달리, 쓰레기 소각장 반대운동은 지역주민에 의한 자발적 저항이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는데, 군포쓰레기 소각장 반대운동은 그 대표적 사례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군포쓰레기 소각장 반대운동에서 지역주민과 지방정부간의 운동프레임과 카운트 프레임이 어떻게 형성되는가를 분석하고 있다. 요컨대, 군포의 쓰레기매립지 설치 반대운동에 있어서, 운동프레임은 주로 알 권리, 공청회를 가질 권리, 공동체와 사회적 결속에 참여할 권리, 적절한 보상의 권리의 보장 이상 네 가지 가치들에 호소하고 있으며, 이에 반해 카운트프레임은 운동집단과 프레임 그 자체를 님비 현상(NIMBY syndrom)이라 규정하고, 운동집단을 비난하거나 지방정부의 책임을 축소하였으며, 그 이슈에 대한 초점을 분산시키는 한편, 동시에 그 주장을 반박하는 방식으로 대응함으로써 운동 프레임과 카운트 프레임을 각각 형성 발전시켜왔다. 끝으로, 필자는 어느 한 사회의 문화적 환경이 어떻게 집단 간 갈등과 사회운동의 전개과정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하고 있다.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opposing sides through movement frames and counter-movement frames. The Gunpo anti-incinerator case was the iconic social movement in Korea that had attracted controversy between activists and the larger culture. The current case study analyzes the Gunpo case to find how the two opposing sides justify their reasoning and which strategies each side adopted. This study defines actions taken by social movement groups as movement frames and actions enacted by government as counter movement frames. Various sources of data were utilized such as newspaper articles, interviews, and governmental documents in order to support their argument. The current study found different tactics used to respond to opposing side from the Gunpo case. For example, the social movement groups attempted to respond to the counter group in ways intended to ward off, contain, limit, or reverse them. In responding to the claims, the government responded to the movement frames of the movement group in ways intended for blaming, shirking, refuting, diverting, and appeasing. The study suggests that future research studies need to analyze cases as a dynamic interaction not only including the interaction between the opposing sides, but also including any people or group who pays attention to the dynamic interaction such as the general public or other grassroots organizations.

      • KCI등재

        특집논문 : 생활협동조합의 프레임 변화에 관한 연구

        김상희 ( Sang Hee Kim ),창덕 ( Cahng Deog Huh ) 한국환경철학회 2014 환경철학 Vol.0 No.17

        이 연구는 생활협동조합이 지역에서 성공적으로 정착하기 위해 어떠한 프레임 전략을 가지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생협에 종사하는 이사, 활동가, 조합원을 중심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심층면접을 통해 나타난 생협의 프레임 전략은 생태공동체 프레임, 사업 다변화 프레임, 사회적 경제프레임으로 분석되었다. 생태공동체 프레임은 농촌 및 도시의 도·농 생태 공동체를 통해 새로운 생태환경을 조성하는데 있다. 이는 생태계 파괴를 최소화하고 생산에 대한 윤리적 가치를 부여함으로써 정직한 소비를 조장하였다. 그러나 단순히 친환경 먹거리에 대한 주민들의 인식이 일반화됨으로써 생협은 지역 생활변화를 유도하는 사회운동으로서 역할을 하게 된다. 이는 곧 지역사회의 선순환의 역할을 생협에 부여함으로써 사회적 경제 프레임의 전략으로 나타나게 된다. 즉 친환경 농산물 및 윤리적 소비를 넘어 육아 및 의료생협 등 다양한 사회서비스 영역에 활동함으로써 생협이 지역을 재생하는 프레임전략을 수립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theory of Frame has been used as a powerful foundation to interpret social movements. This study focused on the frames that enabled to sustain the co-op in Korea during recent three decad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which social movement frames were evidenced in order for the Korean co-op to be settled successfully. The researcher had intensive interviews with three different groups who are involved in co-op; five directors, seven activists, and 9 active members of co-op. The results of the interviews indicated that there are three major frames that had evolved. Since 1998, "Ecological Community Frame"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enlightening the importance of ecology. Examples of this movement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reducing destruction of ecology, valuing the labor of product, and encouraging honest trades. Later the frame has been moved to "Diversifying Services Frame." During early 2000, the co-op adopted various services that are beyond the activities of the "Ecological Community Frame" such as parenting, medical services, and other social services. Around 2010, co-op has become to play a role of revitalizing a society, so called "Societal Economy Frame."

      • KCI등재후보

        학교폭력의 유형별 경험 및 학생 당사자의 심각성 인식 연구

        육담성(Lu, Tansheng),창덕(Huh, Changdeog) 한국범죄심리학회 2014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0 No.1

        본 연구에서는 한국 중ㆍ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학교폭력과 관련된 설문조사를 토대로 하여 학교폭력을 논의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 대구광역시의 남구, 달서구 및 경상북도 경산시 소재의 5개 중ㆍ고등학교 학생 214명을 대상으로 학교폭력과 관련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우선 학교폭력 유형별 심각성에서는 신체폭행, 집단따돌림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학교폭력 유형별 경험의 순위에서는 학생들이 언어폭행과 신체폭행 등의 학교폭력 경험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폭력 발생원인으로는 대다수 학생들이 힘 센 학생의 주도권 차지, 가해학생이 피해학생을 만만하게 여김, 집단에서의 주도권 싸움, 주도권 및 과시욕 등 "권력형" 원인으로 응답하였다. 또한 학교폭력심각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가운에 학교 내 폭력서클수 및 학교폭력 경험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 청소년 학교폭력의 특성을 살펴보는데 나름대로의 의미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교폭력의 예방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에 대한 논의가 더욱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향후 학교폭력의 예방에 기여할 수 있는 다양한 연구가 지속되기를 기대한다.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causes of school violence perceived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 survey questionnaire was given to 214 students from five middle and high schools located in Kyung-Buk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SPSS. The results indicate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physical violence and bullying are the most common type of school violence. Also, those who experienced school violence responded that they mainly experienced verbal violence and physical assaults. Participants pointed out that school violence occurs as a means of obtaining or maintaining power. Second, this study found that students' perception of violence was most influenced by the number of groups that engaged in violence at school.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many prospective research topics to be investigated in the future.

      • LPG 지원제도의 폐지가 장애인들의 일상적 삶에 미치는 영향

        이달엽 ( Dal Yob Lee ),창덕 ( Changdeog Huh ) 한국장애인개발원 2010 장애인복지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지난 2006년 참여정부가 장애인에 대한 LPG 지원정책을 단계적으로 폐지한다는 방침을 밝힌 이래 정부정책의 폐지가 장애인들의 일상적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전국에 거주하는 등록 장애인 중 LPG 차량 소유주와 이용자(가족포함) 51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연구자들은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LPG 지원정책에 대한 정부의 일방적 폐지는 먼저, 장애인들의 LPG 사용량을 감소시켰을 뿐만 아니라, 직업 활동, 치료와 건강, 자녀교육 및 양육, 가계소득, 문화생활 축소, 대인 관계 및 사회참여의 기회 감소 등 일상생활을 수행하는데 있어 전반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LPG 차량 지원정책은 결혼 여부, 장애등급, 장애유형, 경제생활 유형에 따라 영향의 정도가 각기 다르게 나타나고 있으며, 자신들의 삶의 조건에 대한 결정과정에서 소외된 장애인들은 심리적 무력감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몇 가지 정책적인 대안들을 모색하고 있다. This study was aimed at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personal motor vehicle fuel subsidy policy for persons with disability. Korean Government started this policy in 2001 as a form of human rights service. Mobilit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independent living and work life. However, persons with significant physical disability have been encountered many constructional and transportation barriers in our society. They tend to have been tremendous man-made or built environments. This fuel subsidy policy adopted to provide persons who are registered as legally disabled with up to 250 liters of tax-free liquefied propane gas (LPG) each month. The current researchers attempt to scrutinize how the abolishment of this good LPG subsidy policy in Korea affects people with disability in their everyday lives. The impact of the policy change is described by means of survey questionnaires of which participants were 517 people with disability who own or use LPG-fueled cars or families with disabled family members. The major phenomenon the study found is that the total amount of consuming LPG has been decreased. Consequently, it impacted mobility of people with disability. Without the LPG support, they encountered difficulties in seeking jobs, securing a stable income, getting medical/health care services, rearing children and providing educational opportunity for their children. In addition to that, their social life has been negatively impacted. For example, the number of the social activities such as leisure, sports, socializing, and voting opportunities have been decreased. For a single participant, it was a serious problem when seeking his/her partner. The study also found that the level of policy influence differed depending on the level of severity and type of disability. The study concluded that people with disability suffered from psychological alienation due to social exclusion which was determined not by them, but by the policy makers. Based on the findings, the authors suggest alternatives that help people with disabilities to the policy maker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