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출토 유물로 본 후기 십이대영자문화와 연문화의 네트워크

        현준(Bae Hyunjoon) 백산학회 2021 白山學報 Vol.- No.120

        기원전 6‧5세기~기원전 4세기대 후기 십이대영자문화에서는 연문화 요소가 지속적으로 확인된다. 이는 후기 십이대영자문화와 연산이남의 연문화 사이에 모종의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네트워크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처럼 하나의 후기 십이대영자문화 집단과 연문화 집단 간 단일한 네트워크는 아니었다. 남동구-동대장자유형은 연산이남 연문화의 중심지와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었다. 이 중에서도 동대장자유형은 후기 십이대영자문화 분포권에서 연산이남 연문화와 제일 인접한 지역에 위치한다. 그렇기 때문에 양 지역 간 문화교류도 왕성할 수 있었겠지만, 한편으로 연나라 입장에서는 이 지역이 가장 먼저 군사적 위협이 될 수 있는 지역이기도 했다. 따라서 이 네트워크는 군사적‧상업적 성격을 띠었을 것으로 보인다. 원대자 유적군은 연산이남 연문화의 2차 중심지와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었다. 당시 원대자 유적군은 후기 십이대영자문화권 내에서의 입지가 그다지 강하지 않았기 때문에 주변 여러 세력과 공존하는 방식으로 자신들의 명맥을 이어나가고자 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연나라는 요서지역에 일종의 군사적 완충지대 성격의 네트워크 거점을 형성하였던 것으로보인다. 정가와자유형은 연산이남 연문화 중심지 및 그 주변과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었다. 당시 요동지역의 중심 세력이었던 정가와자유형 집단의 정세를 파악하는 것은 연나라에게도 중요했을것이다. 다만, 지리적 한계로 인해 남동구-동대장자유형이나 원대자 유적군과 달리 어떤 정치‧ 외교적 성격의 네트워크를 구축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The late Shiertaiyingzi Culture and Yan Culture had coexisted during the 6‧5th and 4th centuries in Liaoning area. And They had different ways of coexistence respectively in Shiertaiyingzi Culture area. It’s because that they formed a different network connection among them. First of all, the Nandonggou-Dongdazhangzi Assemblage and Yan Culture network were formed between the top-tier classes. the Nandonggou-Dongdazhangzi Assemblage was directly closed to Yan Culture area located south of Yanshan mountain. Therefore, cultural exchanges between the two regions could have been active, but from the perspective of Yan state, this area was also the first place that could pose a military threat. So, this network would have had military and commercial characteristics. The network of Yuantaizi site group and Yan culture is the network formed with the sub center of Yan Culture located south of Yanshan mountain. At that time, the power of Yuantaizi site group was not strong in the late shiertaiyingzi culture area, so they used the way of coexistence with surrounding groups to ensure their own safety. Under this background, Yan state formed a network base of military buffer area in Liaoxi area. The network between Zhengjiawazi Assemblage and Yan culture was formed between two centers. It was very important for Yan state to grasp the situation of the Zhengjiawazi Assemblage, the central forces in Liaodong area at that time. Nevertheless, due to geographical constraints, unlike a Nandonggou-Dongdazhangzi Assemblage, it just needed to form a political and diplomatic network.

      • KCI등재

        홍산문화와 중원 앙소문화의 관계 고찰

        현준(Bae Hyunjoon) 동북아역사재단 2021 東北亞歷史論叢 Vol.- No.74

        중국고고학에서 홍산문화 단·묘·총 유적군의 발견은 기존의 ‘중원중심론’을 해체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이후 여러 다양한 지역문화를 평등하고 대등한 관점으로 바라보는 ‘구계유형론’, ‘중국상호작용권’과 같은 새로운 관점이 출현하도록 하였다. 물론 여러 지역문화의 다양성을 인정하면서도 중원지역의 역할을 중요시하는 복합적인 관점도 출현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이것이 현재까지 이어져 오는 ‘다원일체론’의 기본 바탕이 되었다. 다양하고 독립적이며, 때로는 중원지역보다 선진적인 문화를 가진 지역문화를 하나의 중국 안에 편입시키기 위해서는 각 지역을 연결할 수 있는 실체적 근거가 필요하다. 홍산문화의 경우, 중원 앙소문화 묘저구유형에서 유행하던 채도가 출현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중원문화와 홍산문화를 직접적으로 연결하고, 이들이 교류하던 통로(Y형 문화대)를 당시 중국에서 문화의 교류와 충돌이 제일 활발한 용광로로 보기도 하였다. 그러나 채도 문양의 차이와 용도, 기반 문화와 사회적 성격의 차이는 공통점보다 차이점이 많으며, 채도의 교류 역시 홍산문화와 묘저구유형 양자의 직접적인 교류보다는 묘자구문화를 통한 간접적인 교류였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홍산문화와 중원지역의 신석기문화는 생각보다 긴밀한 관계를 갖지는 못한 것으로 보인다. 홍산문화를 중국문명의 일부로 여기는 근거는 묘저구유형의 채도와의 관계를 다소 과장하였기 때문이다. 채도에서 보이는 일부 유사성 외에는 고고학적 물질문화 및 사회 성격의 차이가 크다. In Chinese archaeology, the discovery of Hongshan culture promoted the disintegration of the ‘Central Plains Center Theory’, and the emergence of the ‘Regional System Theory’ and ‘Chinese Interaction Circle Theory’, which observed the cultures of each region without bias. Of course, there still existed theory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the Central Plains, while respecting the diversity of regional cultures. These theories finally became the ‘Diversity in Unity Theory’. In an attempt to put regional cultures, that are diverse, independent and sometimes more advanced than the Central Plains, in one China, evidences connecting them become necessary. For instance, popular painted pottery of Miaodigou type in the Yangshao culture of the Central Plains are also found in the Hongshan culture, implying a connection between the two. It would be considered that the Central Plains culture has a direct influence on the Hongshan culture, and the channel of communication between these is regarded as the most active cultural belt in China. But there exists the differences and functions of painted pottery patterns, in addition, basic culture and social characteristics have more differences than commonalities. And the communication of painted pottery is not the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but the communication through Miaozigou type is more likely. Therefore, the basis for taking Hongshan culture as a part of Chinese civilization is not solid. The reason why the Hongshan culture is usually considered as part of Chinese civilization is because it exagg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ainted pottery in Hongshan Culture and Miaodigou culture. In fact, apart from the few similarities that can be seen on painted pottery, there exists no common ground between the two cultures in either archaeological culture or social characteristics.

      • KCI등재

        春秋戰國시기 燕文化의 중국동북지역 확산 및 토착집단과의 관계

        裵炫俊(Bae Hyunjoon) 한국고대사학회 2017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87

        중국동북지역에서 확인되는 연문화 관련 유적은 춘추후기부터 전국시대를 거쳐 진한교체기까지 확인된다. 이 지역의 연문화는 어느 시점에 한 번에 확산된 것이 아니라 오랜 기간 동안 중국동북지역의 토착집단과 모종의 관계 속에서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이들 상호 간의 관계는 크게 교류관계, 평화 및 동화관계, 모순 및 회피관계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춘추후기부터 전국전기까지는 양자 간에 교류관계가 주를 이루었고, 전국중기에는 교류관계와 동화관계가 공존한다. 특히 전국중기의 교류관계는 요서지역이 연산이남의 연문화보다 훨씬 풍부한 청동예기를 갖추고 있어, 이 지역의 토착집단이 주동적으로 이끌었으며 교류의 대상도 연나라로만 국한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 동화관계는 이 지역의 토착집단이 연문화의 토제예기를 주동적으로 모방하여 제작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동일 공간 안에서의 평화적인 공존은 양집단이 대등한 관계 속에서 평화롭게 공존하였으며 점차 서로 동화되어가는 것을 보여준다. 반면 요동지역은 상대적으로 보수적이었다. 이후 전국후기가 되면 요서지역은 모순 및 회피관계가 두드러지는데, 토착문화는 거의 사라지고 순수한 연문화의 생활유적과 무덤유적이 전체적으로 확인되어 마치 연문화가 요서지역을 장악한 듯한 인상을 준다. 이와 동시에 동북계 청동무기류가 요서지역에서는 기본적으로 사라지는 동시에 요동지역에 계승된다. 한편 요동지역은 요서지역과 달리 연문화 일색으로 대체되는 상황은 발생하지 않는다. 오히려 토착집단과 연문화 집단이 공존하며 동화되는 양상이 확인된다. 이는 전국 전 · 중기와 마찬가지로 요동지역의 토착집단이 어느 정도의 보수성을 고수했고, 연나라가 요동으로 진출할 당시의 세력이 상대적으로 약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The Yan-Culture relics in the Northeast China have been from the late Spring and Autumn period, and those are not spreaded at one time, but have been formed for a long time in a relationship with indigenous group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can be divided into exchange relations, peace and assimilation relations, contradiction and avoidance relations. The exchange relations mainly exist between the two from the late Spring and Autumn period, the exchange relationship and the assimilation relationship coexist in the middle Warring States period. In particular, Liaoxi area has a much richer bronze ritual vessels than the Yan-Culture area of south Yanshan mountain at the exchange relationship. It may mean that Liaoxi groups have led that relationship, and the object of exchange may be not limited to the Yan State. The assimilation relations have been produced by indigenous groups actively imitating the artifacts of the Yan-Culture. Also, peaceful coexistence in the same space shows that both groups peacefully coexist in equal level and gradually become mutually assimilated. These relationships were led by indigenous groups in the Liaoxi area, and the Liaodong area were relatively conservative. In the late Warring States period, the contradiction and avoidance relations stand out like Yan-Culture occupying Liaoxi area. At the same time, bronze weapons of Northeast are basically disappearing in the Liaoxi and appear in the Liaodong area. On the other hand, there is no situation replaced by Yan-culture like Liaoxi area. Rather, indigenous groups and Yan-culture have coexist and assimilate relationship. This is because that the indigenous groups in the Liaodong area main tained a certain level of conservativeness and the forces of the Yan State were relatively weak at that time.

      • KCI등재

        요서지역 전국 연문화의 전개와 그 배경 - 출토 유물을 중심으로

        현준(Bae Hyunjoon) 동북아역사재단 2020 東北亞歷史論叢 Vol.- No.69

        요서지역 연문화는 지역별로 각기 다른 양상을 보이는데, 요서 남부, 중부, 북부지역은 연문화의 출현 시점과 전개양상에 차이가 있다. 토제예기의 경우 기형, 문양, 부장조합에서 지역 간에 연문화 계통이라는 공통점 외에는 차이점이 더컸으며 이러한 현상은 연문화가 요서지역을 전면적으로 장악하는 전국후기까지도 이어진다. 이는 각 지역별로 연산이남 연문화 집단과 개별적인 교류가 이루어졌기 때문이며, 때로는 토착세력이 연문화의 물질문화를 모방하여 직접 제작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한편 전국중기부터 요서 남부와 북부로 이원화되어 집중 출토되는 청동예기는 당시 토제예기를 소유한 계층보다 상위 계층이 소유한 것으로 연산이남 연문화 세력과 직접적인 교류를 하였음을 보여준다. 그런데 전국중기는 연산이남 연문화 지역의 경우 무덤에 청동예기가 부장된 사례는 극소수에 불과하며, 전반적으로 토제예기를 부장하는 양상으로 전환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요서지역에 풍부한 청동예기를 부장한 무덤의 출현은 이 두 지역에 연나라에게 전략적으로 중요한 지위에 있는 정치체가 존재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 두 지역에서 고고학적으로 확인되는 중심지(동대장자, 철영자)의 존재 배경에는 지리적·역사적 요인이 있다. 이 중 일부 문헌 기록을 고려하면, 요서 북부지역은 동호와의 관련성을, 요서 남부지역은 고조선과의 관련성을 상정할 수 있다. 당시 중원 제후국들과 경쟁하던 연나라에게 연산이북지역의 안정화는 중요한 화두였고, 이들과 일정한 정치관계를 맺고 전략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그 결과로 이 두 지역에 풍부한 청동예기를 소유한 집단이 출현할 수 있었던 것이다. This study found that there are different cultural conditions of Yan-Culture(燕文化) in the southern, central and northern areas of Liaoxi(遼西). The appearance time and development of Yan-Culture are different in each region. In terms of pottery ritual vessel, in the shape, decoration and burial combination, the differences between regions are greater than the commonality of belonging to the Yan-Culture system. This situation continued from the early Warring States period to the late Warring States period. The reason is that different regions separately communicate with the people of Yan-Culture of the south of Yanshan(燕山) mountain, and at the same time, it cannot be excluded the possibility that the aboriginal people can imitate the Yan-Culture and make pottery ritual vessel. On the other hand, from the middle of the Warring States period, bronze ritual vessels unearthed in the South and north of Liaoxi respectively indicated that there is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local top class and the Yan-Culture group of the south of Yanshan mountain. However, at the same time, there were few tombs with bronze ritual vessels in the south of Yanshan mountain, and most of the tombs have been transformed into the tombs with pottery ritual vessels. In this situation, the appearance of tombs with a large number of bronze ritual vessels in Liaoxi means that there are a very important strategic political systems for Yan state(燕國). The appearance background of the two archaeological centers (Dongdazhangzi東大杖子, Tieyingzi鐵營子) found in the South and north of Liaoxi has historical and geographical reasons. Considering some literature records, it can be inferred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northern part of Liaoxi and the Donghu(東胡) group, and the southern part of Liaoxi is related to Gojoseon(古朝鮮) group. And because Yan state had been competing with the vassal states in the Central Plains at the time, the stability of the north of Yanshan mountain was very important to Yan state. Therefore, Yan needed to establish a brief political relationship with them. So in order to maintain this relationship, Yan state provided rich bronze ritual vessels and other precious things to them.

      • KCI등재

        燕下都 土製禮器 副葬무덤의 年代에 대한 비판적 檢討

        현준(Bae HyunJoon) 한국상고사학회 2017 한국상고사학보 Vol.96 No.-

        동주시기 연나라 도성인 연하도의 토제예기 부장무덤에 대해서 현재까지 각 연구자들마다 각기 다른 편년안을 제시하고, 이러한 경향은 갈수록 더욱 심해지는 상황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보다 객관적인 편년안을 도출하기 위해 연하도 생활유적에서 찾을 수 있는 무덤 출토 유물과 관련된 층위 정보를 적극적으로 이용하여 연하도 토제예기 부장무덤의 상대서열을 정하고자 하였다. 또한, 주변 제후국 과의 비교를 통해 비교적 안정적인 편년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연하도의 토제예기 부장무덤은 총 5단계로 구분할 수 있으며 유물조합과 주요 기종의 형 식 변화가 비교적 뚜렷함을 알 수 있었다. 1단계는 전국초엽, 2단계는 전국전기, 3단계는 전국중기의 이른 단계, 4단계는 전국중기의 늦은 단계, 5단계는 전국후기~진한교체기까지의 시간적 범위를 가진 다. 특히, 최근 한국학계에서 전국후기로 편년하고 있는 구녀대 M16은 4단계에 속하며 전국중기의 늦은 단계로 위치지우는 것이 안정적이다. 또한, 최근 진 통일기~진한교체기로 편년하고 있는 5단계 의 신장두 M30은 상한을 전국 말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보는 것이 현재의 자료로서는 제일 적합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There are many different opinions about the date of the pottery ritual vessel tombs in Yanxiadu, this trend is getting more complicated. So, in order to construct more objec¬tive chronology frame, this article tried to make the relative sequence of the pottery rit¬ual vessel tombs by activately using the information of layers from excavation site in Yanxiadu. In addition, it also tried to make a relatively stable chronology frame through comparison with marginal state. As a result, it can divide the tombs of Yanxiadu into total of five-stages, and recog¬nize that the combination of artifacts and major model changes are relatively clear. The first stage is the beginning of the Warring states period, the second stage is the early Warring states period, the third stage is the early stage of middle Warring states, the forth stage is the late stage of middle Warring states period, the fifth stage is from the final phase of the Warring states period to the Qin-Han transition period. In particular, the Jiunvtai M16 is not in the late Warring states period but in the late stage of middle Warring states period. And the Xinzhuangtou M30 have to be in the fi¬nal phase of the Warring states ~ Qin-Han transition peri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